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한국미술사 연구의 뉴노멀: 방법론 모색과 탈경계 = The New Normal of Research in Korean Art History: Search for Methodology and Post-Boundary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2021년, 2022년 학계에서는 글로벌 미술사의 컨텍스트 속에서 한국미술을 조망하는 시도가 돋보였다. 특히 내·외국인 연구자의 영문 원고가 국내 출간 학술지에 게재되고, 해외 학술지 투고도 증가한 점은 연구 교류 및 확대 가능성을 보여준다. 두 번째로는 제작주체와 후원자, 제작공정이나 수집의 문제로 시야를 넓힌 점이다. 학문 분야의 보편적 경계에 도전하거나 사회문화적 분석을 지향하였으며, 주제면에서 화승과 조각승, 자수 및 공예 장인의 존재가 부각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는 연구지형의 변화가 주목된다. 우리 학계가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에도 뛰어난 성과를 도출할 수 있었던 저변에는 데이터베이스(고도서, 고문서, 의궤, 신문, 유리원판) 및 국공립박물관의 e뮤지엄과 같은 제반 환경들이 존재했다. 이제 아카이빙은 향후 한국미술 연구의 방향성을 선도하게 될 것이며, DB 자료의 구축과 선별에 연구자들의 관심과 협업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더보기

      2021 and 2022 were times which the attempt to survey Korean Art in the context of Global Art History stood out. Especially, the fact that journal publications written in English both by Korean and non-Korean researchers wer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long with increase in numbers of submission of overseas academic journals show the possibility of research exchange and expansion. Secondly, the scope has expanded to the issues of production subject, patron, production process, and collection. Universal boundaries of the academic subjects were challenged, pursuing socio-cultural analysis, and the presence of masters, such as monk artists, monk sculptors, and craftsmen of embroidery and handicraft, had emerged. Finally, the change in the topography of research should be noted. Overall, resources such as database (ancient books, ancient manuscripts, Uigwe , newspapers, gelatin dry plate) and e-museum , provided by national and public museums of Korea, were the bases how our academia could result in such remarkable outcome despite the era of Covid-19 pandemic. Now, archiving will be lead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es in Korean Art; attention and cooperation from researchers in establishment and sorting of database materials is necessary.

      더보기
      • 1 김민규, "驪陽府院君 閔維重 일가 묘소 석물 연구" 동양학연구원 (88) : 205-226, 2022
      • 2 문무왕, "흥천사(興天寺)와 행호(行乎)에 관한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127-147, 2021
      • 3 문명대, "흥천사(興天寺) 불교 건축의 성격"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15-30, 2021
      • 4 이용진, "흥천사 불교목공예의 공예사적 의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9) : 55-76, 2022
      • 5 최응천, "흥천사 불교 금속공예의 특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9) : 33-53, 2022
      • 6 손신영, "흥천사 명부전의 특징과 의미"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65-89, 2021
      • 7 문명대, "흥천사 대종 명문으로 본 흥천사의 성격과 대종의 보존"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9) : 15-32, 2022
      • 8 이혜원, "흥천사 대방(大房)의 건축적 특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91-125, 2021
      • 9 이강근, "흥천사 극락보전의 재건역(再建役)과 장엄(莊嚴)에 관한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31-63, 2021
      • 10 김양균, "흥천사 扁額·懸板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9) : 77-98, 2022
      • 11 서예진, "흥선대원군의 집권기 연향 전통의 변용과《戊辰進饌圖屛》(1868)" 미술사연구회 (41) : 191-222, 2021
      • 12 장계수, "효(孝)의 시각문화 그 일례 :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효자도10폭병풍》 고찰" 한국민화학회 (17) : 25-55, 2022
      • 13 강희정, "회암사지 출토 석조불상편 고찰" 한국미술사학회 311 (311): 87-113, 2021
      • 14 김연미, "회암사 보광전 주존 불상에 대한 종합적 추정" 한국미술사학회 311 (311): 115-150, 2021
      • 15 김동하, "황룡사 회랑 외곽 공간의 구획과 성격 - 동회랑 동편과 강당 북서편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학회 (108) : 131-176, 2022
      • 16 정명희, "화원(畫員)으로 불린 승려: 조선시대 불교회화의 제작자" 불교미술사학회 34 : 171-198, 2022
      • 17 유근자,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조성기「施主秩」 분석" 국립중앙박물관 (100) : 112-139, 2021
      • 18 최성은, "화엄사 대웅전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에 대한 고찰" 국립중앙박물관 (100) : 140-171, 2021
      • 19 최엽, "화승의 회화 제작 역량과 영역 - 민화와 관련하여" 불교미술사학회 31 : 141-164, 2021
      • 20 김석곤, "화승 월주 원덕문의 화맥과 화풍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34 : 199-230, 2022
      • 21 한정호, "화본(畵本)으로 본 석굴암 창건시기" 불교미술사학회 31 : 7-36, 2021
      • 22 이용윤, "화계사 <천수천안관음보살변상도>에 반영된 19세기 불교의 신경향" 불교미술사학회 32 : 179-205, 2021
      • 23 신광희 ; 문상련, "형상과 다라니의 융합: 고양 원각사 소장 기전(琪銓) 작 <관음보살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47) : 313-342, 2021
      • 24 송혁수, "혁필화의 기원으로서의 비백서 연구 - 납작붓 필획에 나타나는 필선의 형태를 중심으로 -" 한국민화학회 15 : 2021
      • 25 최윤철, "행실도 판화의 제사 표현 연구" 한국도자학회 18 (18): 129-152, 2021
      • 26 신은제, "해인사의 『대방광불화엄경(진본)』 (‘수창판’) 開板과 계승" 한국미술사학회 314 (314): 41-65, 2022
      • 27 유정애,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상 도상에 보이는 중기밀교적 특징" 불교미술사학회 31 : 219-243, 2021
      • 28 엄승희, "한양도성 城底十里 폐기유적 출토 근대도자의 현황과 특징 -동대문운동장, 무악2구역, 행당동 주개장 유적을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112) : 191-238, 2022
      • 29 김윤이,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의 근·현대기 존명 변화 과정과 그 의미" 한국미술사학회 312 (312): 141-173, 2021
      • 30 장지훈, "한글서예의 연구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서예학회 (38) : 97-115, 2021
      • 31 최응천, "한국의 범종 : 천년을 이어온 깨우침의 소리" 미진사 2022
      • 32 문명대, "한국의 반가사유상" 다할미디어 2022
      • 33 안휘준, "한국의 미술문화와 전시" 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 34 문명대, "한국불교회화사" 다할미디어 2021
      • 35 고연희, "한국미술사 연구(2019~2020년)에 대한 회고와 전망, 그리고 제언" 역사학회 (251) : 481-525, 2021
      • 36 고연희, "한국미술: 전통에서 현대까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2
      • 37 방병선, "한국도자제작기술사" 아카넷 2022
      • 38 이선용, "한국 불교미술에 수용된 범자의 특징 고찰(1)" 동악미술사학회 (32) : 267-295, 2022
      • 39 손환일, "한국 벼루의 연석(硯石) 산지(産地)와 벼루장" 전통문화연구소 (30) : 7-65, 2022
      • 40 최응천, "한국 범종의 기원과 변천을 통해 본 용문산 상원사 종의 특징과 의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3 : 7-30, 2022
      • 41 전상모, "한국 근대서예 연구(2) - 1910년대의 서예(1910-1918) -" 한국양명학회 (67) : 253-298, 2022
      • 42 김지혜, "한국 근대 시각매체로 본 소녀의 탄생" 대동문화연구원 (118) : 169-194, 2022
      • 43 전상모, "한국 근대 서예 연구(1) — 19세기말⋅20세기초의 서예 —" 동양철학연구회 (112) : 235-279, 2022
      • 44 장준구, "한국 근대 고사인물화 병풍의 한 가지 예: 韓維東 筆 《故事人物圖》 병풍" 미술사연구회 (42) : 79-103, 2022
      • 45 홍선표, "한국 근·현대 미술사론" 솔과학 2022
      • 46 박은경, "한국 괘불탱의 저변과 확장성" 석당학술원 (84) : 77-95, 2022
      • 47 임영애, "한국 고대 소형 전불(塼佛)과 그 용도"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4 : 7-30, 2022
      • 48 홍선표, "한국 개화기의 ‘풍경화’ 유입" 한국미술연구소 (52) : 101-131, 2021
      • 49 박정원, "한국 개인 소장 朝鮮前期 〈水陸會圖〉 硏究" 동악미술사학회 (30) : 35-63, 2021
      • 50 손한빈, "한·중 서예문화 교류와 조선 서예의 대외적 위상 - 16세기를 중심으로 -" 한국서예학회 (38) : 33-58, 2021
      • 51 김연미 ; 문상련, "학문의 사각지대 : 한국 불교부적의 지구사적 연구 가능성 탐색" 한국역사연구회 (124) : 485-500, 2022
      • 52 권보경,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의 함의와 기념비성"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2 : 123-150, 2021
      • 53 유근자, "풍양 조씨 분암(墳庵)과 남양주 견성암의 불상" 한국불교학회 (100) : 167-203, 2021
      • 54 김경연, "표구의 사회사: 기록되지 않았던 미술 이야기" 연립서가 2022
      • 55 이서현, "통일신라 석조미술사" 역사산책 2022
      • 56 정현숙, "통일신라 김생의 해서 연구 -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에 근거하여 -" 한국목간학회 (28) : 71-92, 2022
      • 57 박용진, "통도사 소장 대한제국 광무 3년(1899) 고려대장경의 인경과 봉안" 불교미술사학회 33 : 241-268, 2022
      • 58 김종일, "토기와 도자기 : 한국 도자기 문명사" 들녘 2022
      • 59 유수일, "태안 마도선(1·2호)의 성격과 출수청자의 소비재적 특징"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10 : 2022
      • 60 김지현, "태안 마도 해역 출수 ‘시루밑’의 복원적 고찰" 국립해양유산연구소 (16) : 227-258, 2022
      • 61 목수현, "태극기 오얏꽃 무궁화: 한국의 국가 상징 이미지" 현실문화A 2021
      • 62 심주완, "키질석굴과 골굴석굴의 비교사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6) : 119-150, 2021
      • 63 김귀한, "출토 백자를 통해 본 조선시대 독산성의 변천 과정" 백산학회 (119) : 107-132, 2021
      • 64 최열, "추사 김정희 평전" 돌베개 2021
      • 65 이안나, "청강 김영기(1911~2003)의 생애와 회화이론 - 196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3) : 203-229, 2022
      • 66 박주현, "책가도: 서양화법을 품은 조선의 그림" 다할미디어 2021
      • 67 고연희, "채용신(蔡龍臣)의 화조화(花鳥畵) 고찰을 통한, 근대기 화조화 수요(需要)의 성향에 대한 제언 -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채용신 필 《화조도8폭병》을 중심으로" 한국민화학회 (17) : 56-81, 2022
      • 68 고승희, "진영 화장사(華藏寺) 소장 고산당 축연(竺演) 작 <지장시왕지옥변상도(地藏十王地獄變相圖)>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301-330, 2021
      • 69 김수진, "지위・서열・책무의 표상― 조선 왕실 연향에서의 병풍의 기능과 의의" 대동문화연구원 (114) : 129-166, 2021
      • 70 문상련, "증명삼화상(證明三和尙)의 형성 배경과 불교적 위상" 보조사상연구원 (61) : 111-155, 2021
      • 71 장남원, "중국 가요(哥窯) 자기에 대한 조선의 인식과 시각화"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8) : 114-143, 2021
      • 72 신선영, "죄와 벌의 시각화: 일제강점기 김윤보(1865~1938)의 《형정도첩》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45 (45): 215-256, 2022
      • 73 유경희, "종남산 미타사 극락전 불화를 통해 본 19세기 원당의 불화"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9) : 195-224, 2022
      • 74 김지현, "족집게(鑷)의 유형과 사용 문화"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4 (54): 4-23, 2021
      • 75 이경화, "조영석이 그린 이지당 조영복 초상: 연거복본의 제작과 함의를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5) : 325-358, 2021
      • 76 이성훈, "조영석 작 〈조정만 송하안식도〉 연구: 초상화에 투영된 ‘은일(隱逸) 의식’"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9) : 114-157, 2022
      • 77 구혜인, "조선후기ㆍ대한제국기 선원전 祭需와 祭器의 관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4) : 153-194, 2021
      • 78 이연주, "조선후기 회화 주문제작의 확산과 영향" 한국미술사학회 315 (315): 177-212, 2022
      • 79 이연주, "조선후기 회화 속 초부(樵夫) 이미지와 부신(負薪) 장면의 성격" 미술사학연구회 (59) : 101-125, 2022
      • 80 서윤정, "조선후기 춘화(春畵): 젠더적 관점에서 본 경계와 차별, 재현을 둘러싼 문제" 미술사학연구회 (58) : 131-155, 2022
      • 81 이다란, "조선후기 청화백자를 통해 본 칠보문의 구성과 활용" 한국미술사학회 313 (313): 59-90, 2022
      • 82 남소라, "조선후기 찬합의 제작과 사용양상" 한국미술사학회 310 (310): 5-37, 2021
      • 83 구혜인, "조선후기 종묘 신실(神室)공간의 구성방식과 성격" 한국학중앙연구원 44 (44): 149-194, 2021
      • 84 김용덕, "조선후기 장식문양의 和尙魚" 한국민화학회 15 : 2021
      • 85 구혜인, "조선후기 왕실 연향용 주기(酒器)의 종류와 운용체계-의궤의 기용도(器用圖)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40 : 133-183, 2021
      • 86 박용진, "조선후기 사암채영찬 「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의 간행 및 내용 연구" 한국서지학회 (91) : 61-86, 2022
      • 87 오세덕, "조선후기 불교건축사: 승려장인의 활동지역과 건축기법" 민속원 2021
      • 88 최경화, "조선후기 백자 모란문의 연원 및 전개양상" 한국문화연구원 42 : 245-311, 2022
      • 89 김은경, "조선후기 백자 花卉紋에 보이는 청대 자기의 영향과 변용" 인문과학연구소 43 (43): 87-120, 2022
      • 90 장지훈, "조선후기 문인들의 尙藝的 서예미학" 한국동양예술학회 (50) : 103-131, 2021
      • 91 구혜인, "조선후기 국장(國葬)용 제기(祭器)의 조성과정과 성격 -정조(正祖) 국장관련 의궤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42 : 117-161, 2022
      • 92 박정애, "조선후기 華城 경관의 시각화 양상과 華城全圖"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3 (13): 167-193, 2021
      • 93 박용진, "조선후기 『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異本의 편찬 및 내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9) : 245-284, 2022
      • 94 김성희, "조선후기 <화성전도>의 경관 재현 방식" 인문과학연구소 42 (42): 313-339, 2021
      • 95 박용진, "조선전기 전라도 광양 만수암 간행 『석가여래행적송』 합간본의 서지 및 불교문헌학적 의의" 남도문화연구소 (46) : 123-162, 2022
      • 96 김준선,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금계 도상 연구"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10 : 2022
      • 97 사공영애, "조선시대 화훼문화와 자기 화분[磁盆]" 한국중세고고학회 (11) : 99-132, 2022
      • 98 한소윤,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 연구" 한국서예학회 (41) : 109-137, 2022
      • 99 유미나, "조선시대 최초의 사대부상, 최덕지(崔德之, 1384-1455) 초상화의 전승과 현황"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1 : 39-70, 2021
      • 100 장경희, "조선시대 왕실용 부채와 선장(扇匠)의 직역 변화 및 제작실태" 동양고전연구소 (47) : 221-250, 2022
      • 101 류경희, "조선시대 왕실여성 발원 불화" 마한백제문화연구소 37 : 18-35, 2021
      • 102 유근자, "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상의 연구" 불광출판사 2022
      • 103 황정연, "조선시대 수장(收藏)과 수장가(收藏家): 미술사적 의미와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이론학회 (33) : 5-35, 2022
      • 104 구혜인, "조선시대 선잠제 제기의 구성과 의미-영조 정해년 왕비친림작헌례의 제기를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112) : 87-135, 2022
      • 105 윤효정, "조선시대 사의(射儀)용 의례기 뿔잔 치(觶)의 쓰임과 성격" 한국문화연구원 42 : 7-38, 2022
      • 106 박정숙, "조선시대 사대부 남성의 한자‒한글 서간서체의 관련성 고찰: 김성일, 송시열, 김정희 서간을 대상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45 (45): 87-131, 2022
      • 107 박정혜, "조선시대 사가기록화, 옛 그림에 담긴 조선 양반가의 특별한 순간들" 혜화1117 2022
      • 108 박진경, "조선시대 동경(銅鏡)의 전개양상과 특징" 인문과학연구소 (33) : 119-146, 2021
      • 109 이은지, "조선시대 궁중 모란병 기화화원의 私的 賣畵 활동과 그 영향" 한국민화학회 (17) : 152-173, 2022
      • 110 강영주, "조선시대 국난극복을 위한 神像: 서울 관왕묘의 <관우도>"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185-218, 2021
      • 111 박용진, "조선시대 광양 백운산 일원 사찰의 불서 간행과 그 의의" 남도문화연구소 (43) : 39-75, 2021
      • 112 김세린, "조선시대 관영수공업에서 입사장(入絲匠)의직무 유형과 역할"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4 (54): 216-239, 2021
      • 113 최경현, "조선시대 耆英會圖의 일례: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본〈宣祖朝耆英會圖〉를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40) : 191-213, 2021
      • 114 박지영, "조선시대 睿眞의 성립과 전개 : 〈연잉군 예진〉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315 (315): 149-176, 2022
      • 115 구혜인, "조선시대 吉禮·凶禮 공예품 연구의 현황과 과제" 조선시대사학회 (100) : 411-458, 2022
      • 116 김이순, "조선시대 內喪在先 왕후릉과 석물제도 변화" 한국미술사학회 314 (314): 67-96, 2022
      • 117 박정숙, "조선시대 17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서체특징과 서예사적 고찰" 한국서예학회 (40) : 5-50, 2022
      • 118 김정선, "조선미술전람회 서부(書部)의 제도사적 고찰"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1) : 37-60, 2021
      • 119 안희숙, "조선말기 칠성도의 수노인 도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6) : 197-218, 2021
      • 120 장경희, "조선과 청대 궁궐 건축에 보이는 박쥐문의 유입과 그 영향 -19세기 중반 樂善齋와 恭王府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5) : 155-189, 2022
      • 121 신광희, "조선 후기 화승(畵僧)의 활약과 불화(佛畵)의 변화" 한민족문화학회 74 (74): 203-232, 2021
      • 122 강영주, "조선 후기 화가의 재발견― 휴당 이계호(1754~1833)의 생애와 포도도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120) : 33-72, 2022
      • 123 장찬, "조선 후기 청헌파 조성 목조불상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4 : 103-122, 2022
      • 124 허형욱, "조선 후기 조각승 端應의 造像 活動과 性格에 관한 고찰" 동악미술사학회 (32) : 171-202, 2022
      • 125 김현중, "조선 후기 신중도의『옥추경』도상 차용" 동악미술사학회 (32) : 65-92, 2022
      • 126 손명희, "조선 후기 선원전의 祭物과 祭器, 儀仗, 그리고 봉안 어진의 성격과 기능" 한국미술사학회 312 (312): 35-74, 2021
      • 127 명세라, "조선 후기 선원전 북벽 모란도 고찰" 국립중앙박물관 (102) : 12-37, 2022
      • 128 이성훈, "조선 후기 동래 밀양변씨 화가들의 회화 활동과 동래 지역 화단 연구: 대일교역용 회화 제작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43) : 125-155, 2022
      • 129 김세린, "조선 후기 끼움입사기법의 전개와 기술의 확장: 동제공예품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316 (316): 73-105, 2022
      • 130 제송희, "조선 후기 국왕의 御座 연구" 미술사연구회 (42) : 7-40, 2022
      • 131 윤민용, "조선 후기 濟州實景圖의 비교 연구: 《耽羅巡歷圖》와‘耽羅十景圖’후모본을 중심으로"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3 (13): 33-60, 2021
      • 132 윤민용, "조선 후기 宮中 所用 建築畵와 差備待令畵員 활동 연구" 미술사연구회 (41) : 155-189, 2021
      • 133 박정애, "조선 후기 名勝과 名勝圖 향유 양상― 《韓中名勝圖帖》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19) : 169-210, 2022
      • 134 양수정, "조선 후기 刺繡의 顧繡 受容과 展開" 한국미술사학회 311 (311): 45-86, 2021
      • 135 강신애, "조선 후기 <聚星圖>의 제작과 그 의미" 한국미술사학회 309 (309): 41-77, 2021
      • 136 조규희, "조선 최초의 방계 혈통 국왕, 선조(宣祖)와 그림 속 주인공이 된 여성과 하층민 ―풍속화 이해를 위한 시론"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30) : 58-91, 2022
      • 137 홍선표, "조선 초기의 회화 애호풍조" 한국미술연구소 (54) : 7-58, 2022
      • 138 이헌석, "조선 초기 해인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 후령통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316 (316): 5-37, 2022
      • 139 오영인, "조선 초기 용준(龍樽), 분청사기 상감 운룡문 호의 특징과 성격"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5 (55): 85-110, 2022
      • 140 최엽, "조선 중후기 왕실 도화서 화원들의 불화 제작과 그 영향" 온지학회 (68) : 9-35, 2021
      • 141 오영인, "조선 전기(15~16세기) 완상(玩賞)의 분위기와청자 화분의 재현" 한국중세고고학회 (10) : 189-216, 2021
      • 142 장진성, "조선 전기 회화와 ‘연사모종(煙寺暮鍾)’"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9) : 56-75, 2022
      • 143 유대호, "조선 전기 성문형 지장보살상의 유행과 도상의 특징" 불교미술사학회 33 : 175-203, 2022
      • 144 유대호, "조선 전기 도갑사 불상군의 특징과 제작 배경: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사진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40) : 163-189, 2021
      • 145 김소연, "조선 전기 磁器 雙耳盞의 제작과 전개양상" 동양미술사학회 13 : 227-255, 2021
      • 146 고연희, "조선 왕실 繪畵의 ‘公共性’―民을 그린 그림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90) : 227-249, 2021
      • 147 한혜선, "조선 영조대 연향의궤 속 도기의 용도와 조달방식" 한국문화연구원 40 : 51-79, 2021
      • 148 김귀한, "조선 세조~성종대 관요의 설치와 정비" 석당학술원 (82) : 277-304, 2022
      • 149 이승희, "조선 말기 經塔圖의 조형적 연원과 제작 배경" 미술사연구회 (40) : 275-305, 2021
      • 150 이다란, "조선 19세기 공예품에 나타난 단청 양식 칠보문의 의의" 국립고궁박물관 (15) : 201-222, 2022
      • 151 안세진, "조선 16세기 기영연(耆英宴)에 사용된 사연용(賜宴用) 화준(花樽)․주준(酒樽)의 조형 특징과 진설 방식 ) -<선조조기영회도(宣祖朝耆英會圖)>를 중심으로-" 동양미술사학회 14 : 65-94, 2022
      • 152 김귀한, "조선 16∼17세기 관요(官窯)‘별(別)’명 백자의 성격과 제작 배경"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5 (55): 214-230, 2022
      • 153 김윤정, "조선 15세기 중국 북방 자기 문화의 유입과 분청사기에 미친 영향" 한국미술사학회 312 (312): 5-33, 2021
      • 154 김귀한, "조선 15~16세기 內需司의 왕실 관련 銘文磁器 생산과 한계" 중앙문화유산연구원 (35) : 83-106, 2021
      • 155 서지민,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과 매납품에 관한 연구" 중원문화연구소 29 : 143-179, 2021
      • 156 이태호, "제주 사람, 변시지의 濟州畵"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10 : 2022
      • 157 이승희, "제주 근대기 전통불화의 제작과 특징" 숭실사학회 (47) : 385-412, 2021
      • 158 최지혜, "제국의 감성과 문화생활의 필수품, 라탄 체어 - 개항 이후 국내에 유입된 등의자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1) : 7-35, 2021
      • 159 유재빈, "정조와 궁중회화: 문예군주 정조, 그림으로 나라를 다스리다" 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 160 방병선, "정조 연간(1776-1800) 백자 연구의 諸문제"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9) : 145-170, 2022
      • 161 송희경, "정재(靜齋) 오일영(吳一英, 1890-1960)의 행적과 회화–일제 강점기의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근역한문학회 61 : 73-104, 2022
      • 162 김가희, "정선(鄭歚, 1676-1759)의 화가적 정체성과 예술 전략"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30) : 92-131, 2022
      • 163 김대원, "정부인 순창설씨에 관한 연구사 검토 및 그 과제" 한국서예학회 (41) : 5-31, 2022
      • 164 양혜원, "전주역사박물관 소장 《금강산·칠보산도》 연구" 한국민화학회 14 : 2021
      • 165 이규봉, "전주 불정사의 1604년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복장유물" 동악미술사학회 (30) : 115-135, 2021
      • 166 신광희, "전 이상좌 필 인물화" 한국미술연구소 (55) : 39-61, 2022
      • 167 김태은, "장한종의 사실주의적 어해 화풍의 성격과 형성배경"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7) : 128-159, 2021
      • 168 강영주, "장수와 복락, 多子의 고상한 염원 - 19세기 전북지역 묵포도도 전문화가의 활약" 한국민화학회 (17) : 82-109, 2022
      • 169 서유리, "잡지 《개벽》의 표지 이미지 연구― 민족주의적 주체와 정치의 기획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13) : 225-265, 2021
      • 170 김해리, "임군홍의 중국거주 시기(1939~1946) 작품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1) : 95-122, 2021
      • 171 김수천, "일중 김충현의 삶과 서예에 담긴 교육적 함의" 한국서예학회 (38) : 207-233, 2021
      • 172 김지현, "일제강점기 이후 복원된 석탑의 사례와 제문제" 동악미술사학회 (31) : 151-182, 2022
      • 173 최경현, "일제강점기 이상범의 신문 휘호 작품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4) : 95-120, 2022
      • 174 윤정아, "일제강점기 수출공예품을 통해 본 한국 근대 공예" 미술사연구회 (43) : 157-186, 2022
      • 175 최엽, "일제강점기 불교회화 인식과 우현 고유섭" 동악미술사학회 (32) : 117-139, 2022
      • 176 엄승희, "일제강점기 도자 전람회 개최에 따른 재조선 일본인 관료의 역할과 문화정치"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9 (19): 49-62, 2022
      • 177 권강미, "일제강점기 기록으로 보는 成佛寺 鐵造菩薩坐像 연구" 미술사연구회 (40) : 83-107, 2021
      • 178 김세린, "일제강점기 금속제 신선로의 제작양상과 소비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44 (44): 285-326, 2021
      • 179 신소연, "일제강점기 경기 개성 지역 석조문화재 보존사업" 미술사연구회 (40) : 109-140, 2021
      • 180 조민환, "일제 강점기 서화 작품에 나타난 항일의식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 (54) : 53-83, 2022
      • 181 엄승희, "일제 강점 전반기 일본인의 고려청자 수집과 재조일본인의 재현청자 제작에 따른 상관성 연구" 한국도자학회 18 (18): 49-69, 2021
      • 182 엄승희, "일제 강점 전반기 관립 중앙시험소 기술 관료집단의 요업정책 구현과 공업교육의 영향력" 국립무형유산원 (11) : 81-105, 2021
      • 183 박은순, "일본 오가타가尾形家 소장 姜希顏의 墨竹圖 模寫本에 대한 연구" 온지학회 (66) : 273-302, 2021
      • 184 신태호, "일본 兵庫縣 十輪寺 소장 〈五佛會圖〉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30) : 5-34, 2021
      • 185 김주연,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책거리(冊巨里)10폭병풍> 연구" 온지학회 (68) : 37-70, 2021
      • 186 손신영, "이천오층석탑의 반출과 조형"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19) : 43-80, 2021
      • 187 신수경, "이중섭 엽서화의 기법과 도상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3 (43): 185-216, 2022
      • 188 황유정, "이종우의 1920~1930년대 작품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3) : 175-201, 2022
      • 189 이상규, "이상정과 이여성: 달구벌이 낳은 예술가이자 독립운동가" 민속원 2021
      • 190 오임숙, "이경억 誌石 연구" 석당학술원 (83) : 71-99, 2022
      • 191 이애선, "의도된 미숙함 - 고희동과 김관호의 탈외광파 경향"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3) : 151-174, 2022
      • 192 김세린, "의궤를 통해 본 숙종~영조 연간(1674-1776) 상존호도감 보록 철제입사자물쇠의 시문기술과 금속재료" 한국문화연구원 40 : 7-50, 2021
      • 193 유홍준,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4: 조선 건축·불교미술·능묘조각·민속미술" 눌와 2022
      • 194 이용진,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 지역의 조선 후기 범종과 향로" 미술사연구회 (40) : 141-161, 2021
      • 195 정명희,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 사찰 불교회화의 현황과 과제" 미술사연구회 (40) : 59-82, 2021
      • 196 김계원, "유리건판 사진으로 보는 고미술― 세키노 타다시(関野貞)의 고적조사사업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14) : 7-36, 2021
      • 197 문명대, "유가유식종파의 신라 수용과 봉황리 마애 미륵보살반가유상군 및 고구려식 대(大)마애교각미륵불상의 종합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331-360, 2021
      • 198 송희경, "위사(渭士) 강필주(姜弼周)의 행적과 회화" 온지학회 (68) : 71-107, 2021
      • 199 유미나, "원광대학교박물관의 서화 수집과 민화" 한국민화학회 (17) : 6-25, 2022
      • 200 박슬기,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대곡사명 감로도〉연구 - 민화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민화학회 (17) : 110-131, 2022
      • 201 정병모, "원광대학교박물관 김태곤 컬렉션 무화의 특색과 의의" 한국민화학회 (17) : 132-151, 2022
      • 202 유재빈, "움직이는 어진― 兩亂 前後 太祖 御眞의 이동과 그 효과" 대동문화연구원 (114) : 101-127, 2021
      • 203 김권구, "울주 천전리 암각화의 편년과 성격"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4 (54): 98-119, 2021
      • 204 권형인, "욱천 진호섭 컬렉션 연구 - 조선시대 회화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4) : 229-257, 2022
      • 205 고승희, "용인 화운사(華雲寺) 목조아미타불좌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149-165, 2021
      • 206 주수완, "용인 화운사 목조아미타·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의 고찰"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167-183, 2021
      • 207 이광배, "용문산 상원사 종(上院寺 鐘)의 내력과 양식 재고 - 日本 중세 범종과의 교섭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3 : 31-54, 2022
      • 208 서지민, "옥천 용암사 마애여래입상의 양식특징과 조성배경" 호서사학회 (101) : 5-43, 2022
      • 209 김지현, "옥천 용암사 동서삼층석탑에 대한 고찰" 호서사학회 (101) : 77-114, 2022
      • 210 오병욱, "오지호와 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 <남향집>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1) : 247-274, 2021
      • 211 유근자, "오대산 상원사 제석천상의 도상과 봉안처" 불교문예연구소 20 : 267-313, 2022
      • 212 유근자,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 존상의 복장 기록 연구" 한국국학진흥원 (45) : 191-229, 2021
      • 213 유근자,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의 연구" 한국불교선리연구원 (30) : 251-304, 2021
      • 214 최열, "옛 그림으로 본 제주" 혜화1117 2021
      • 215 허형욱,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의 佛敎信行 내용과 『周易』 卦象 표현" 불교미술사학회 34 : 133-170, 2022
      • 216 김종민, "예일(YALE)대학교 소장 감지은자 『미륵하생경』과 고려후기 미륵신앙" 불교미술사학회 32 : 115-141, 2021
      • 217 고연희, "예술의 주체: 한국 회화사의 에이전시(agency)를 찾다" 아트북스 2022
      • 218 서윤정, "예술과 행위자성(Agency)― 李成桂(1335~1408) 관련 회화, 유물과 사적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14) : 63-99, 2021
      • 219 전호태, "영주 순흥 신라 벽화고분의 가치와 의의" 한국문화연구원 41 : 7-38, 2021
      • 220 이혜원, "여말선초 승려들의 詩畵卷 : 名號·堂號 주제의 ‘詩卷·’ ‘詩軸’ 기록을 통해 본 실체와 위상" 한국미술사학회 315 (315): 39-74, 2022
      • 221 심영신, "양주 회암사지(楊州 檜巖寺址) 4단지 문지 출토소조편(塑造片)을 통해 본 회암사 사천왕상"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4 (54): 168-191, 2021
      • 222 김경미, "양주 회암사지 석조불상의 양식과 가치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312 (312): 109-139, 2021
      • 223 김지현, "양산 통도사 사자목 오층석탑에 대한 고찰" 불교미술사학회 31 : 81-114, 2021
      • 224 선오, "양산 통도사 <자장암 마애아미타여래삼존상> 硏究" 불교미술사학회 33 : 205-240, 2022
      • 225 문명대, "양산 신흥사 승호 작 1682년 석조 석가수기삼존불상과 승호파 석불상의 유행"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9) : 225-244, 2022
      • 226 김경화, "양류관음도의 불교학적 의미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53) : 237-260, 2022
      • 227 박정민, "양구(楊口) 백자(白瓷)와 백토(白土)의 역사성과 문화자원으로서의 미래 가치" 인문과학연구소 42 (42): 341-365, 2021
      • 228 원세진,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悦, 1889~1961)의 ‘민화’에 대한 재고 - 민화 개념을 한국미술사에서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 -" 한국민화학회 15 : 2021
      • 229 조정육, "안교환(安敎煥)의 한글본 《성적진상도(聖蹟眞像圖)》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2) : 195-223, 2021
      • 230 김정희, "쌍계사(雙磎寺) 팔상도(八相圖)의 도상 특징과 의겸파(義謙派) 팔상도"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8) : 59-92, 2022
      • 231 문명대, "쌍계사 화엄7처9회도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8) : 273-297, 2022
      • 232 고승희,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의 양식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8) : 93-114, 2022
      • 233 안희숙, "쌍계사 삼장보살도의 도상 특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8) : 115-138, 2022
      • 234 문명대, "쌍계사 보관석가괘불도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8) : 259-271, 2022
      • 235 문명대, "쌍계사 대웅전 석가 삼세불회도(三世佛會圖)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8) : 17-57, 2022
      • 236 문무왕, "쌍계사 개산의 역사와 창건주 진감선사의 생애와 사상"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8) : 163-200, 2022
      • 237 유경희, "쌍계사 감로도(1728년)의 특징과 의미"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8) : 139-161, 2022
      • 238 배원정, "신예화가 박수근의 등단: 춘천과 평양에서의 초기 미술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연구소 (54) : 111-135, 2022
      • 239 정지희, "신선로의 명칭 및 유래 재고(再考)와 근대적 변화"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3) : 231-265, 2022
      • 240 최선아, "신라 陵墓와 추선 佛事 I : 서악동 고분군과 선도산 아미타삼존불입상" 신라문화연구소 59 : 357-390, 2021
      • 241 염미란, "신라 토기와 토우에 나타난 문양에 대한 연구" 한국도자학회 19 (19): 61-80, 2022
      • 242 김동하, "신라 왕경 사찰 불상의 재료 변화" 신라문화연구소 59 : 225-255, 2021
      • 243 신용철, "신라 왕경 불탑에 대한 고찰" 신라문화연구소 59 : 257-278, 2021
      • 244 조규희, "숭불(崇佛)과 숭유(崇儒)의 충돌, 16세기 중엽 산수 표현의 정치학 —〈도갑사관세음보살삼십이응탱〉과 〈무이구곡도〉 및 〈도산도〉"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7) : 28-67, 2021
      • 245 이종숙, "숙종대 장녕전(長寧殿) 건립과 어진 봉안"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7) : 68-101, 2021
      • 246 김세린, "숙종 연간(1674-1720) 산릉, 봉릉도감의 노야소(爐冶所) 운영과 야장(冶匠)의 역할" 한국문화연구원 42 : 77-115, 2022
      • 247 안희숙, "수화승 묘영(妙英)의 하동 쌍계사 승당(僧堂) 아미타극락회상도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9) : 171-193, 2022
      • 248 강영주, "수복문자도의 유형과 성격 - 잡체전 백수백복도를 중심으로 -" 한국민화학회 14 : 2021
      • 249 김민규, "송정악(宋廷岳, 1697-1775)의 『서행록(西行錄)』을 통해 본 묘비(墓碑) 건립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4 : 177-203, 2022
      • 250 김취정, "소동파(蘇東坡) 적벽부(赤壁賦)의 민화적 수용 양상 고찰" 한국민화학회 (16) : 6-19, 2022
      • 251 안세진, "세종대(1418~1450) 성주 세종대왕자(世宗大王子) 태실(胎室) 출토 <분청사기 상감연판문 반구형뚜껑>의 제작 특징과 제작지 고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4 (54): 192-211, 2021
      • 252 남동신, "세조의 원각사13층석탑 건립과 그 의미체계" 국립중앙박물관 (101) : 12-47, 2022
      • 253 송인희, "선화봉사고려도경의 나전안장에 관한 시논"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5 : 2022
      • 254 박은경, "석당뮤지움 소장 『감지은니묘법연화경』권3의 변상도 연구" 석당학술원 (81) : 37-59, 2021
      • 255 한정호, "석굴암 천불소탑과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동악미술사학회 (31) : 67-89, 2022
      • 256 임영애, "석굴암 조성 시기는 언제인가"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 : 2022
      • 257 송현숙, "서화가 송염조(宋念祖)와 혁필화" 한국민화학회 (17) : 224-249, 2022
      • 258 서울 마을제당무신도 조사연구단, "서울의 마을제당과 무신도" 민속원 2021
      • 259 박정민,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 명문을 통한 제작 하한 시기와 표기 배경 검토" 호서사학회 (104) : 141-177, 2022
      • 260 리송재, "서울 화계사 塔圖 목판의 판각과 유통" 미술사연구회 (40) : 245-273, 2021
      • 261 유근자, "서울 옥수동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유물 분석과 양식 특징" 불교문예연구소 17 : 339-384, 2021
      • 262 박영민, "서울 북한산 구기동 마애여래좌상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33 : 107-144, 2022
      • 263 이연주, "서울 寧國寺址 출토 金剛鈴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34 : 67-97, 2022
      • 264 유태용 ; 박유미, "서울 世運地區(6-3-1, 2구역) 出土倭沙器의 성격 검토" 동서미술문화학회 19 (19): 137-176, 2021
      • 265 김추연, "서산 개심사 보현선원 목조보살좌상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33 : 145-174, 2022
      • 266 전호태, "상주 물량리암각화로 본 선사 및 고대 한국의 눈 관념" 한국문화연구원 43 : 7-37, 2022
      • 267 강영주, "상서와 길상, 해학의 변주 : 사찰 벽화의 虎圖 도상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34 : 231-265, 2022
      • 268 오세덕, "삼국~고려시대 사찰의 비전(碑殿) 규모와 건립 위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33 : 77-106, 2022
      • 269 임희숙, "살다 사라지다: 삶과 죽음으로 보는 우리 미술" 아트북스 2022
      • 270 박아연,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浮彫像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3 : 79-105, 2022
      • 271 조규희, "산수화가 만든 세계" 서해문집 2022
      • 272 김세희 ; 김동하, "사천왕사지 출토 수파형전 유리질층의 원료 특성과 제작기법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8 (38): 496-508, 2022
      • 273 손한빈, "사명대사 유정 서예 연구" 한국서예학회 (39) : 29-53, 2021
      • 274 박주영, "사명 유정 진영의 도상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314 (314): 97-133, 2022
      • 275 임영애, "불상형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의 표훈(表訓) 창안 가능성"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9) : 26-55, 2022
      • 276 주수완, "불(佛)꽃 튀는 미술사: 삼국시대" 백두문화재연구원 2021
      • 277 최성은, "북한 소재 고려시대 불교조각의 연구현황" 인문과학연구소 (32) : 147-178, 2021
      • 278 김계원, "부채를 든 여인― 근대기 여성 인물화와 사물로서의 부채" 대동문화연구원 (118) : 195-234, 2022
      • 279 김수정, "부적을 만나다 - 조선불교에서의 安産부적 -"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10 : 2022
      • 280 강삼혜, "부여 東寺里寺址 오층석탑 건립 연대 고찰" 국립중앙박물관 (99) : 50-71, 2021
      • 281 신광희, "부안 개암사 <영산회괘불도>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32) : 93-115, 2022
      • 282 정병모, "봉황과 공작이 머무는 그곳" 다할미디어 2021
      • 283 문명대, "봉화 북지리 대사지(大寺址) 세계 최대 석조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의 종합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6) : 277-298, 2021
      • 284 유근자, "봉원사 명부전 존상(1704년)의 복장 유물과 발원문 분석" 보조사상연구원 (61) : 189-229, 2021
      • 285 유옥경, "병와(甁窩) 이형상(李衡祥)의「호연정팔폭(浩然亭八幅)」을 통한 출처팔폭(出處八幅)의 시각적 특성과 표상 고찰" 한국미술연구소 (54) : 59-89, 2022
      • 286 손영문, "병령사석굴과 골굴석굴에 대한 고찰"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6) : 47-73, 2021
      • 287 고승희, "베제크릭석굴과 골굴석굴의 비교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6) : 75-97, 2021
      • 288 신민정, "배운성의 파리 시기 - 잡지 『프랑스-자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2) : 293-321, 2021
      • 289 이화수 ; 정참희 ; 최학, "방사선 투과 이미지를 활용한 서울 화계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구조 해석"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219-243, 2021
      • 290 윤진영, "민화의 시대: 민화와 궁중회화의 경계에 관한 조망" 디자인밈 2021
      • 291 이다정, "민화 초본에 대한 연구 -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무신도 초본을 중심으로 -" 한국민화학회 15 : 2021
      • 292 윤열수, "민화 산수" 한국민화학회 15 : 2021
      • 293 심경보, "민화 고사인물도에 표현된 근·현대적 가족과 사회요소에 대한 고찰 - 전주역사박물관 소장 김철순 기증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민화학회 14 : 2021
      • 294 이화진, "민속품과 미술품 사이에서: 뮌헨 오대륙 박물관과 노르베르트 베버의 1926년 기증품" 한국미술연구소 (53) : 137-162, 2021
      • 295 노재현, "민속박물관 소장 <해주팔경도(海州八景圖)>에표현된 조선 후기 해주의 풍경과 풍물"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4 (54): 36-59, 2021
      • 296 윤범모, "미술품 기증문화와 이건희컬렉션"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11 : 2022
      • 297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미술로 하는 남북대화 2" 학연문화사 2022
      • 298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미술로 하는 남북대화 1" 학연문화사 2022
      • 299 정희정, "물질문화 연구론 관점에서 본 조선후기의 왕실 연향용 음식기명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52) : 31-54, 2021
      • 300 정소라, "문헌을 통해서 본 ‘戒盈盃’의 유래와 ‘器玩’으로서의 가치" 대동문화연구원 (118) : 387-407, 2022
      • 301 김지영, "문신의 일본 유학시기 연구: 초기(1940~50년대) 작품에 미친 영향 가능성" 미술사연구회 (43) : 7-34, 2022
      • 302 이인숙, "묵죽은 백 여 년 간 대구에서 어떻게 계속될 수 있었을까?" 한국학중앙연구원 44 (44): 201-234, 2021
      • 303 고연희, "명화의 탄생 대가의 발견: 한국회화사를 돌아보다" 아트북스 2021
      • 304 정은우, "마곡사 영산전 목조칠불좌상과 천불의 조영과 가치" 미술사연구회 (41) : 35-61, 2021
      • 305 신은제, "마곡사 소장 典籍 연구: 사적기와 세조본 『고려대장경』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41) : 7-33, 2021
      • 306 신광희, "동아시아 五百羅漢圖像의 계승과 확산 - 知恩院 소장 高麗 <五百羅漢圖>를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회 (31) : 5-33, 2022
      • 307 장준구, "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 소장 ≪자수 초충도 병풍≫을 통해 본 조선시대 초충도의 연원" 동서미술문화학회 20 (20): 89-116, 2021
      • 308 한동수, "돈황석굴과 골굴석굴의 전실 건축 비교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6) : 99-117, 2021
      • 309 문명대, "돈황 285굴과 골굴석굴의 석굴 구조와 도상의 비교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6) : 15-45, 2021
      • 310 유선미 ; 성인근, "독립문 편액 서자(書者) 연구" 한국서예학회 (41) : 139-158, 2022
      • 311 김방울, "도자 기술에 대한 오주(五洲) 이규경(李圭景)의 이용후생적 관점 고찰" 한국미술연구소 (52) : 55-76, 2021
      • 312 이경화, "덕촌 양득중 초상의 제작과 봉안" 한국실학학회 (41) : 301-336, 2021
      • 313 김명주, "덕온공주家 3代의 한글 서예미 연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83) : 85-121, 2022
      • 314 김지영, "대구근대화단의 일본인 미술가의 규모와 한일 미술교류"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4) : 121-154, 2022
      • 315 유경희, "담양 龍華寺 黙潭遺物館 소장 불화의 특징과 의미" 남도문화연구소 (43) : 189-223, 2021
      • 316 이근우, "단원 김홍도 아들 연록(延祿)과 양기(良驥) 이름 연원(淵源)에 관한 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24 (24): 61-83, 2022
      • 317 문명대, "단석산 석굴 구조와 유가파(瑜伽派) 마애미륵반가사유상과 미륵삼존불입상의 종합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361-391, 2021
      • 318 이규희, "논산 쌍계사의 근대 불화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29) : 33-65, 2021
      • 319 이경희, "노영의 <아미타팔대보살도 및 담무갈보살·지장보살 현신도>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4 : 77-102, 2022
      • 320 문상련, "납탑, 불복장 규범의 새로운 예 - 印佛과 印塔" 동악미술사학회 (31) : 91-120, 2022
      • 321 진정환,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의 특징과 조성 배경" 전북사학회 (64) : 39-68, 2022
      • 322 김소연, "남성적 외금강과 여성적 내금강― 근대기 금강산의 젠더 표상" 대동문화연구원 (118) : 143-168, 2022
      • 323 안휘준, "나의 한국 미술사 연구" 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 324 박용진, "나말여초 대경대사 여엄의 입당구법과 귀국 후 활동" 남도문화연구소 (44) : 217-249, 2021
      • 325 한정희, "꽃과 동물로 본 세상: 한국과 중국의 화조영모화" 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 326 문정자, "김충현의『槿域書譜』에 반영된 20세기 서예미학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서예학회 (40) : 73-97, 2022
      • 327 배재호, "김천 大休寺의 일본 불교 존상과 일제강점기 대구 遍照院" 국립중앙박물관 (101) : 48-65, 2022
      • 328 배원정, "김관호(金觀鎬, 1890-1959) 행적의 새로운 고증과 제 문제" 미술사학연구회 (57) : 7-37, 2021
      • 329 이희정, "기장 안적사 석조석가여래삼존불좌상 연구"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4) : 217-257, 2022
      • 330 김현권, "기억 속의 가공된 이미지: 蘇軾의 <偃松圖> – 김정희 <歲寒圖> 연구Ⅱ를 겸하여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2 : 253-276, 2021
      • 331 김민규, "금강산 백화암 <서산대사비> 건립과 17세기 승려 석장의 활동"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2 : 231-252, 2021
      • 332 원보현, "근대기 종 양상과 용문산 상원사 종 비교 고찰"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3 : 55-78, 2022
      • 333 김소연, "근대기 공주의 서화계 - 서화 창작과 수집, 그리고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4) : 39-64, 2022
      • 334 정지희, "근대관광의 성행과 공예품의 관광기념품화" 한국학연구소 (76) : 149-173, 2021
      • 335 우홍철, "근대 호남지역 묵국도와 민화 국화도 연구" 한국민화학회 14 : 2021
      • 336 조시내, "근대 창덕궁 주요 전각의 공간과 장식 특성" 한국미술사학회 315 (315): 213-244, 2022
      • 337 유순영, "근대 죽림칠현도의 시각화 양상: 전통의 계승과 변용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56) : 217-240, 2021
      • 338 노유니아, "근대 전환기 한국 ‘工藝(공예)’ 용어의 쓰임과 의미 변화에 대한 고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4 (54): 192-203, 2021
      • 339 송미숙, "근대 이후 제작된 ‘이순신’ 초상 이미지의 통시적 고찰"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4 : 241-266, 2022
      • 340 하에이미, "근대 미국의 한국도자 수집경향의 지역적 차이와 그 의의"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4 : 205-240, 2022
      • 341 김지혜, "근대 광고를 통해 본 신사의 시대" 대동문화연구원 (114) : 201-222, 2021
      • 342 최지혜, "근대 곡목의자(曲木椅子)의 수용 - 토네트 의자의 신화와 제국의 산업"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3) : 267-293, 2022
      • 343 박시현, "규장각 소장 〈全州地圖〉 연구: 조현명(趙顯命, 1690-1752)의 전주부성 재건 기록"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30) : 132-165, 2022
      • 344 장경희, "국장과 왕릉: 조선 국왕의 사후 상징과 만나다" 현암사 2022
      • 345 강관식, "국보 〈송시열 초상〉의 제작 시기와 맥락"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9) : 76-113, 2022
      • 346 강관식, "국보 〈송시열 초상〉의 이상화 양상"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8) : 62-113, 2021
      • 347 이경희,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감로도〉에 보이는 민화적 요소 고찰" 한국민화학회 15 : 2021
      • 348 허형욱,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사진에 보이는 북한 소재 불교조각의 고찰" 미술사연구회 (40) : 25-57, 2021
      • 349 권혁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자료의 공개와 정리" 미술사연구회 (40) : 7-24, 2021
      • 350 장진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사가기록화의 변화" 국립중앙박물관 (102) : 66-97, 2022
      • 351 황빛나, "구한말 왕실소장 일본미술 서적의 조사 및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52) : 77-100, 2021
      • 352 신광희, "구미 대둔사(大芚寺)의 근대기 불화(佛畵) 연구" 불교문화연구원 (98) : 115-141, 2022
      • 353 조은주, "구례 화엄사 대웅전 비로자나삼신불회도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4 : 151-176, 2022
      • 354 신지아, "구례 화엄사 각황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4 : 123-149, 2022
      • 355 유근자, "광양 백운산의 17세기 불상 복장기록 연구" 남도문화연구소 (43) : 77-117, 2021
      • 356 문명대, "광륭사(廣隆寺) 소장 신라 목조(木造) 미륵보살반가사유상(彌勒菩薩半跏思惟像)의 종합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6) : 299-313, 2021
      • 357 곽노봉, "광개토호태왕비의 탁본과 서체 고찰" 한국서예학회 (39) : 5-27, 2021
      • 358 박정애, "관촌 조진우의 평양 유람과 횡권 형식 평양도" 서울학연구소 (84) : 1-37, 2021
      • 359 문상련 ; 김연미, "관음(觀音) 42수주(手呪) 및 『오대진언』의 성립과 전개" 불교미술사학회 31 : 191-218, 2021
      • 360 유재빈, "과거를 통해 본 화가의 미래: 김용준의 조선시대 화가론" 미술사학연구회 (56) : 241-267, 2021
      • 361 박효정, "공주출신 화가 현암 정성원과 두산 정술원의 작품세계"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11 : 2022
      • 362 김미정, "공주(公州) 서양화가들의 활동과 작품세계 - 1900~1945년 출생 작가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4) : 7-37, 2022
      • 363 유홍준, "고화 칠제 - 최근 옥션에서 만난 옛 그림 일곱 점의 소견 -"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11 : 2022
      • 364 유경희, "고창 선운사 도솔암 현왕도와 독성도 고찰" 마한백제문화연구소 39 : 66-79, 2022
      • 365 제지현, "고종 연간(1863~1907) 제작 어보(御寶) 연구"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4 (54): 126-149, 2021
      • 366 유미나, "고전적 미인도의 재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채색사녀도》의 제작과 감상" 대동문화연구원 (119) : 103-137, 2022
      • 367 이희정, "고성 옥천사 대웅전 불석제(佛石製) 불상 연구" 석당학술원 (80) : 223-250, 2021
      • 368 문상련 ; 김연미, "고려후기 불교 부인(符印)의 전개" 불교문화연구원 (96) : 123-156, 2021
      • 369 박용진, "고려후기 분사대장도감 판각 전적의 규모와 그 내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7) : 265-297, 2022
      • 370 박용진, "고려후기 백련사와 송 천태종 교류―진정국사와 송 延慶寺의 교류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96) : 157-190, 2022
      • 371 박용진, "고려후기 및 조선전기 불전류(佛傳類)의 간행과 유통" 석당학술원 (80) : 193-222, 2021
      • 372 박용진, "고려후기 「妙法蓮華經三昧懺法」의 간행과 내용 연구" 한국서지학회 (86) : 121-143, 2021
      • 373 이토 이쿠타로, "고려청자·조선백자에 대한 오마주" 컬처북스 2022
      • 374 정은우 ; 임슬령, "고려중기 봉화 청량사 건칠보살좌상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32 : 83-114, 2021
      • 375 박지영 ; 정소라, "고려시대 타각(打刻)기법 금속공예품"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2 : 151-175, 2021
      • 376 최혜주, "고려시대 동자문(童子文) 청자의 제작과 그 배경" 한국미술사학회 315 (315): 5-38, 2022
      • 377 박용진, "고려시대 국가의 사원 조성과 성격 - 충청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80) : 63-95, 2022
      • 378 김보민, "고려시대 隨求陀羅尼의 유형과 활용 양상" 한국미술사학회 309 (309): 5-39, 2021
      • 379 황정연, "고려시대 王室 書畵收藏의 형성과 전개 -宋・元과 교류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5) : 69-109, 2022
      • 380 박용진, "고려시대 敎藏의 송・요 불교계 交流와 전승" 북악사학회 (13) : 155-185, 2021
      • 381 손희진, "고려시대 佛像의 腹藏 阿字圓相隨求陀羅尼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34 : 99-131, 2022
      • 382 박용진, "고려대장경판 정밀기록화 書誌調査 및 諸問題" 석당학술원 (79) : 185-215, 2021
      • 383 성인근, "고려국왕 책봉인(冊封印)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 (54) : 223-245, 2022
      • 384 김지현, "고려~조선시대 귀이개 형태와 장식기법"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5 (55): 6-21, 2022
      • 385 홍선표, "고려 회화" 한국미술연구소 2022
      • 386 강병희, "고려 중기 법상종 미술의 6각 평면" 불교미술사학회 31 : 245-279, 2021
      • 387 심영신, "고려 전기 불교미술의 지역성 고찰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부조 신장상을 중심으로-" 숭실사학회 (48) : 121-152, 2022
      • 388 장남원, "고려 전기 '순화(淳化)'명 청자 제기류의 현황과 의의" 한국미술연구소 (53) : 7-34, 2021
      • 389 김귀한, "고려 말∼조선 초 자기 수취와 사옹방의 역할 재검토" 호서사학회 (98) : 49-80, 2021
      • 390 고승희, "고려 기룡보살도(騎龍菩薩圖)의 특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8) : 223-233, 2022
      • 391 문명대, "고려 기룡보살도(騎龍菩薩圖)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8) : 201-221, 2022
      • 392 한혜선, "고려 강도시기 건물지 출토 도자기의 양상과 사용" 한국역사연구회 (121) : 67-102, 2021
      • 393 박용진, "고려 敎藏 및 「신편제종교장총록」 연구성과와 과제" 한국서지학회 (89) : 27-56, 2022
      • 394 정현숙, "고려 <인각사보각국사비>의 서체와 서예사적 의의" 한국서예학회 (38) : 5-32, 2021
      • 395 김승일, "고려 14세기 지장시왕도의 도상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31) : 35-66, 2022
      • 396 강건우, "고대 바닷길을 통해 한반도에 전래된 물질문화" 동아연구소 41 (41): 81-118, 2022
      • 397 진영아, "고대 금시조(金翅鳥) 도상(圖像)에 나타난 보주(寶珠) 연구: 여의주(如意珠)와 마라가타(摩羅伽陀)를 중심으로"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9) : 119-144, 2022
      • 398 강병희, "고구려 1탑 3금당 사찰 배치와 과거칠불신앙" 동북아역사재단 (75) : 175-218, 2022
      • 399 김수진, "계회도(契會圖)에서 계병(稧屛)으로: 조선 시대 왕실 계병의 정착과 계승"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7) : 102-127, 2021
      • 400 윤민용, "계화(界畫) 용어를 중심으로 본 건축화(建築畵)의 출현과 발전" 미술사학연구회 (56) : 7-29, 2021
      • 401 이가윤, "경천사지 십층석탑(敬天寺址 十層石塔)의 조성 배경과 건축 양식 재검토" 불교미술사학회 32 : 143-178, 2021
      • 402 한정호, "경주지역 신라 사찰 전래 석조의 용도와 욕실" 신라문화연구소 59 : 279-301, 2021
      • 403 이용진, "경주 황용동 황용사지(黃龍寺址) 출토 불교공예품의 성격과 제작시기"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4 : 31-54, 2022
      • 404 구청미, "경주 황룡사 금동찰주본기의 각자(刻字) 방법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4 : 55-76, 2022
      • 405 김동하, "경주 남산 불교유적의 형성과 성격" 한국미술사학회 314 (314): 5-40, 2022
      • 406 황정수, "경성의 화가들, 근대를 거닐다: 북촌 편" 푸른역사 2022
      • 407 황정수, "경성의 화가들, 근대를 거닐다 : 서촌 편" 푸른역사 2022
      • 408 정윤서, "경성 미쓰코시(三越) 백화점 판매 ‘조선특산 나전칠기’ 제작과 유통"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2) : 225-259, 2021
      • 409 정현숙, "경산 소월리 목간의 서예사적 고찰" 인문학술원 (16) : 129-160, 2021
      • 410 최완수, "겸제명품첩별집" 한국학자료원 2022
      • 411 김용철, "검열을 통과한 식민지 조선의 그래픽디자인과 러시아의 영향"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2) : 261-291, 2021
      • 412 유재상, "거창 송계사(松溪寺) 목조여래좌상과 18세기 후반 조각승 상정(尙淨) 불상의 작풍(作風) 연구"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4 (54): 242-261, 2021
      • 413 신광희,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 벽화>의 화승과 화풍 검토" 한국미술연구소 (52) : 7-29, 2021
      • 414 이경화, "강세황의 絶筆: 18세기 문인화가의 절필에 관한 사회문화사적 접근" 한국미술사학회 316 (316): 39-71, 2022
      • 415 유근자,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복장 유물과 중수발원문의 분석" 동국역사문화연구소 (72) : 115-155, 2021
      • 416 서윤정, "감추기와 드러내기― 젠더적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서화와 한글 텍스트" 대동문화연구원 (118) : 7-37, 2022
      • 417 손신영, "감로탱 중단 의식(儀式) 공간의 변화와 의미" 한국민화학회 (16) : 20-47, 2022
      • 418 김수진, "가회민화박물관 책거리 소장품의 유형과 성격" 한국민화학회 15 : 2021
      • 419 장계수,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낭은 필 《소상팔경시의도10폭병풍》 연구" 한국민화학회 15 : 2021
      • 420 고연희,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무이구곡도 12첩병풍》 고찰" 한국민화학회 15 : 2021
      • 421 이상국,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구운몽도>연구" 한국민화학회 15 : 2021
      • 422 김경숙 ; 문명대, "가사의 기원과 삼의제(三衣制)의 도상학"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6) : 151-167, 2021
      • 423 고승희, "가사(袈裟)의 수용과 전개에 대한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6) : 169-196, 2021
      • 424 이용윤, "麻谷寺 眞影 奉安 殿閣과 19세기 후반 眞影 造成 佛事의 의미" 미술사연구회 (41) : 97-127, 2021
      • 425 진정환, "高麗 初 河南地域 佛敎美術品의 造成 樣相" 한국문화사학회 (57) : 43-66, 2022
      • 426 박기헌, "高句麗 龕神塚 西王母 圖像에 대한 小考" 동악미술사학회 (32) : 5-35, 2022
      • 427 유미나, "靑綠, 도가의 선약, 선계의 표상― 청록과 청록산수화의 행위자성(Agency)" 대동문화연구원 (115) : 157-188, 2021
      • 428 신광희, "雙溪寺 國師庵 <神衆圖>의 製作과 奉安" 한국문화사학회 (55) : 133-154, 2021
      • 429 유순영, "集玉齋 소장 書畵‧金石 자료와 고종대 문화변동 연구" 온지학회 (71) : 207-246, 2022
      • 430 謝明良, "關於陶瓷倒灌壺" 한국미술사학회 310 (310): 77-101, 2021
      • 431 강민경, "金澤榮의 1909년 歸國과 安中植 筆 <碧樹居士亭圖>" 국립중앙박물관 (99) : 30-49, 2021
      • 432 조정육, "鄭殷采의 『孔夫子聖蹟圖續修五倫行實』의 연구" 경남문화연구원 (72) : 383-418, 2021
      • 433 조민환, "退溪 李滉 서예미학의 한국서예사적 위상에 관한 고찰" 한국서예학회 (41) : 29-54, 2022
      • 434 고연희, "詩軸을 爲한 <夢遊桃源圖>" 대동문화연구원 (114) : 37-62, 2021
      • 435 배영일, "興天寺 소장 歸眞寺刊 『大方廣佛華嚴經疏』 變相圖"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9) : 99-118, 2022
      • 436 손환일, "統一新羅時代 石碑 樣式의 變貌와 製作" 한국문화사학회 (56) : 5-28, 2021
      • 437 고선영 ; 임영애, "端應의 安東 鳳凰寺 三世佛坐像 및 三殿牌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2 : 203-229, 2021
      • 438 유기원, "秋史의 書如其人的 書藝美 ‘三變’ 考察" 한국서예학회 (38) : 59-96, 2021
      • 439 최완수, "秋史 : 평전과 연보" 현암사 2022
      • 440 신광희, "祖師 信仰과 祖師圖 연구 - 三十三祖師圖를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회 (29) : 7-31, 2021
      • 441 정제규, "石堂博物館 所藏 『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三의 歷史·文化的 價値" 석당학술원 (79) : 67-95, 2021
      • 442 박철상, "石亭 李定稷의 生涯와 著述 및 交遊關係" 대동문화연구원 (115) : 7-38, 2021
      • 443 김소연, "瓦塼을 그리다― 한국 근현대 예술과 瓦塼의 에이전시(Agency)" 대동문화연구원 (115) : 189-218, 2021
      • 444 엄기표, "瑞山 普願寺址 五層石塔의 初建 時期와 造成 背景" 한국문화사학회 (58) : 65-104, 2022
      • 445 강건우, "瑞山 普願寺 鐵造如來坐像 考察" 국립중앙박물관 (100) : 22-49, 2021
      • 446 유재빈, "烈女圖에 담긴 폭력과 관음의 이중 굴레― 《五倫行實圖 烈女篇》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18) : 39-72, 2022
      • 447 김양균, "洪錫龜(1621-1679) 印章의 造形" 한국미술사학회 310 (310): 39-75, 2021
      • 448 유지복, "河西 金麟厚의 書藝" 한국서예학회 (41) : 55-88, 2022
      • 449 조은주, "求禮 華嚴寺 覺皇殿 線描三世佛會圖 연구" 한국불교선리연구원 (32) : 291-330, 2022
      • 450 임명남, "楚亭 朴齊家의 書藝觀 一考" 한국서예학회 (40) : 51-71, 2022
      • 451 이승혜, "東海口 感恩寺의 기능과 의미 재고" 신라문화연구소 59 : 179-202, 2021
      • 452 이승혜, "李王家博物館 佛像 컬렉션의 형성과 의미" 한국미술사학회 309 (309): 107-144, 2021
      • 453 전남언, "朝鮮美術展覽會 工藝部 출품 靑磁의 제작양상과 특징" 동서미술문화학회 23 (23): 133-169, 2022
      • 454 엄기표, "朝鮮 前期 龜趺 마련 石碑의 特徵과 美術史的 意義" 한국문화사학회 (56) : 115-153, 2021
      • 455 양수정, "朝鮮 刺繡와 산동 魯繡와의 相關과 전개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자수산시청람도>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315 (315): 75-117, 2022
      • 456 박정민, "明 末期 넓은굽 청화백자의 제작과 朝鮮 17세기 官窯 백자에 미친 영향" 한국미술사학회 313 (313): 5-34, 2022
      • 457 김수현, "日本 日光 東照宮 소장 1642년작 朝鮮 梵鍾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31) : 121-150, 2022
      • 458 서지민, "新羅下代 禪宗寺院의 華嚴法身佛像 조성 배경 연구" 백산학회 (124) : 231-255, 2022
      • 459 정우택, "新出 阿彌陀三尊來迎圖" 동악미술사학회 (32) : 37-63, 2022
      • 460 송은석, "慶州 南山 三陵溪 第2寺址 石造佛坐像의 服制와 着衣法"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1 : 7-37, 2021
      • 461 민길홍, "彛堂 趙秉憲(1876~1938) 집안 전래 繪畫― 石亭 李定稷(1841~1910)과 전북 근대 화단의 일면" 대동문화연구원 (115) : 135-156, 2021
      • 462 고연희, "尹德熙(1685~1776)의 <책 읽는 여인>에 나타나는 젠더의 특성" 대동문화연구원 (118) : 73-101, 2022
      • 463 서지민, "寶林寺 철조비로자나불상의 後援과 制作工程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32) : 141-169, 2022
      • 464 신숙, "宣和奉使高麗圖經의 螺鈿鞍裝에 관한 試論" 인문과학연구소 (35) : 41-67, 2022
      • 465 조정육, "孔在憲의《孔夫子聖蹟圖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3 : 107-133, 2022
      • 466 남동신, "圓覺寺13層塔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오해" 국립중앙박물관 (100) : 50-81, 2021
      • 467 진정환, "南原 萬福寺址 佛敎美術品 造成과 그 背景" 전북사학회 (61) : 33-60, 2021
      • 468 허형욱, "儀禮로 보는 藥師信仰의 내용과 성격" 불교미술사학회 32 : 7-46, 2021
      • 469 카타야마 마비, "倭館窯에서 제작된 ‘立鶴文(타치즈루) 양식’ 茶碗의 성립 과정" 한국미술사학회 311 (311): 151-182, 2021
      • 470 손환일, "佛國寺釋迦塔 發見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書誌的 構成과 修理 復元 檢討" 한국문화사학회 (57) : 183-211, 2022
      • 471 서지민, "佛國寺 금동아미타불상과 금동비로자나불상 新硏究 - 圖像 再考와 尊格의 화엄교의적 解釋을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회 31 : 37-80, 2021
      • 472 송희경, "以堂 金殷鎬의 臣字款 회화"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68 (68): 237-267, 2021
      • 473 진정환, "三陟 鳳凰山 彌勒佛의 特徵과 造成 背景" 강원사학회 (37) : 133-160, 2021
      • 474 이승연, "『의궤』에 묘사된 현무 도상 연구" 한국민화학회 14 : 2021
      • 475 옥나영, "『오대진언(五大眞言)』 간행을 통해 본 다라니 신앙의 의미 - 『영험약초(靈驗略抄)』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53) : 119-149, 2022
      • 476 김정희, "『삼국유사』 소재 불화 기록과 신라의 불화"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2 : 7-38, 2021
      • 477 정희정, "『본초강목(本草綱目)』이 조선 후기 과도(果圖)에 끼친 영향" 한국미술연구소 (55) : 135-158, 2022
      • 478 유순영, "『당해원방고금화보(唐解元倣古今畵譜)』와 조선후기 화단" 인문과학연구소 42 (42): 149-177, 2021
      • 479 유지복, "『金石集帖』 碑文의 隸書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96) : 119-154, 2022
      • 480 이선용, "『造像經』과 17世紀 腹藏의 影響 關係 考察 - 修德寺 大雄殿 奉安 1639年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腹藏을 中心으로" 한국문화사학회 (57) : 93-125, 2022
      • 481 朴文烈,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의 版本 樣相과 文化財的 價値" 석당학술원 (79) : 97-131, 2021
      • 482 박지영, "『帝鑑圖說』 판본과 각국 수용 양상의 비교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311 (311): 5-43, 2021
      • 483 최응천, "『三國遺事』 에 보이는 미술사 자료의 분석과 검토"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2 : 63-99, 2021
      • 484 이용진, "『三國遺事』 속 불교공예의 양상과 특징"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2 : 39-62, 2021
      • 485 권혜은, "『Korean Games』와 기산 김준근 풍속화" 한국민화학회 (16) : 72-91, 2022
      • 486 서윤정, "《평생도(平生圖)》의 제작 경향과 변화 양상: 도상과 화풍의 전승과 변용의 관점에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6) : 177-211, 2021
      • 487 이상국, "《탐라순력도》 최종 제작지 및 작가 연구" 한국민화학회 14 : 2021
      • 488 임지수, "≪왕세자입학도≫ 제작기법 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22 (22): 39-70, 2022
      • 489 이슬찬, "‘이건희컬렉션’의 공공화에 대한 논점과 제언"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11 : 2022
      • 490 김창원, "‘업경대(業鏡臺)’ 명문분석과 도상학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6) : 219-245, 2021
      • 491 최옥경, "‘민화’의 대안으로서의 ‘장식화’ - 파리국립기메동양미술관 소장 이우환 컬렉션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56) : 77-103, 2021
      • 492 신광희, "‘경계’의 불화: 興正寺(고쇼지) 소장 조선전기 <석가설법도>" 불교미술사학회 31 : 115-140, 2021
      • 493 한혜선, "Utilization of Earthenware Pottery for Food Storage in the Goryeo Period" 한국학중앙연구원 24 (24): 177-212, 2021
      • 494 이승혜, "The Role of Laity in Rebuilding Buddhist Devotional and Material Culture in the Late Joseon" 한국학중앙연구원 62 (62): 63-101, 2022
      • 495 이승혜, "The Material Culture of Buddhist Propagation: Reinstating Buddhism in Early Colonial Seoul" MDPI 12 : 2021
      • 496 황정연, "The Last Majestic Ornamentation of Royal Portraits of the Joseon Dynasty: The Construction of New Seonwonjeon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in 1921 and Court Paintings"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83-142, 2022
      • 497 김윤정, "The Emergence and Iconography of Seosu (Auspicious Beasts) in the Twelfth-century Goryeo Celadon" 한국학중앙연구원 24 (24): 85-126, 2021
      • 498 이승혜, "Text, Materiality, and Enshrinement Practices: Visual Culture of a Buddhist in Late Medieval Korea" Duke University Press 27 : 2022
      • 499 PAKTAYLOR, "Rethinking the Picture Title: The Issue of Appellations of the Gamnodo"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7) : 160-191, 2021
      • 500 임영애, "Recent Discoveries on the Dry-lacquered Sculpture of Seated Amitabha Buddha in Daedunsa Temple in Korea" Arts Asia Publications ltd 51 : 2021
      • 501 유키오 리핏, "Puppy Love: The Legacy of Yi Am’s Paintings in Edo-Period Japan" 한국미술사학회 313 (313): 35-57, 2022
      • 502 장남원, "Perception of Goryeo Celadon in the Context of the Late Joseon Period" 한국학중앙연구원 24 (24): 11-40, 2021
      • 503 Youenhee Kho, "Meritorious Heroes: Allegorical Hawk Paintings in Yuan China and Early Chosŏn Korea" 동아시아학술원 21 (21): 1-25, 2021
      • 504 Seunghye Lee, "Korea's First Museum and the Categorization of “Buddhist Statues”" 동아시아학술원 21 (21): 51-81, 2021
      • 505 서윤정, "Joseon Paintings in Japan: Cultural Biography of Objects"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143-192, 2022
      • 506 Kyunghee Pyun, "Interpreting Modernism in Korean Art: Fludity and Fragmentation" Routledge 2022
      • 507 임영애, "From Vertical to Horizontal The Unique Layout of Seokguram" Brill Academic Publishers 26 : 2022
      • 508 고연희, "Figurative Shaping of Peaks and Rocks on Geumgang Mountain: The Korean Temperament and Vision" Oxford press 2022
      • 509 유재빈, "Feminine Space in Court Paintings of Late Joseon Dynasty"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11-82, 2022
      • 510 Pierre Cambon, "Dome Architecture in Ancient Asian Art and Seokguram Grotto: In comparison with Western Dome Constructions" 한국미술사학회 313 (313): 155-170, 2022
      • 511 Kho Youenhee, "A Mid-Spring Night’s Dream: Collecting Poems for A Dream Journey to Peach Blossom Spring" 한국학연구원 24 (24): 49-76, 2021
      • 512 임영애, "A Golden Treasure from Korea: The Gilt-Bronze Bodhisattva Statue of Silla" MDPI AG 13 : 2022
      • 513 이기범, "<설씨부인권선문(薛氏夫人勸善文)>의 조성 배경 고찰"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17 : 15-44, 2021
      • 514 장지훈, "<구산사비(龜山祠碑)>의 서예학적 연구" 한국서예학회 (39) : 55-91, 2021
      • 515 임영애, "9세기 신라 왕경의 비로자나불상" 이화사학연구소 (62) : 229-263, 2021
      • 516 신숙, "8세기 「買新羅物解」와 韓日 보석장식 공예품 교류"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9) : 275-312, 2021
      • 517 김지현, "7 - 8세기 경주지역 석탑의 기단부 조성에 대한 고찰" 동악미술사학회 (32) : 235-266, 2022
      • 518 김윤정, "21세기 도자사 연구의 확장과 다변화"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4 : 267-296, 2022
      • 519 최효진, "20세기 초 영국 성공회 선교사 스탠리 스미스(Stanley T. Smith) 한국 컬렉션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3) : 295-325, 2022
      • 520 장경희, "20세기 초 양기훈 필 <자수매화병풍> 연구" 한국예술연구소 (35) : 213-239, 2022
      • 521 박근아, "20세기 민화의 제작과 유통 일면 고찰 - 전주역사박물관 김철순 기증민화를 중심으로 -" 한국민화학회 14 : 2021
      • 522 김은경, "19세기 조선백자에 보이는 淸代 多角甁의 수용양상과 의미" 한국미술사학회 313 (313): 91-119, 2022
      • 523 박지영, "19세기 장승업(張承業, 1843~1897)과 타키 카테이(滝 和亭, 1830~1901)의 기명절지도(器皿折枝圖) 비교 연구" 한국민화학회 (17) : 204-223, 2022
      • 524 방병선, "19세기 백자 연적과 계영배(戒盈盃)를 통해 본 조선시대 기교자기 제작의 함의(含意)" 한국미술사학회 309 (309): 79-105, 2021
      • 525 이다란, "19세기 발기[件記]에 기록된 보석 장신구 무역의 양상" 한국문화연구원 42 : 207-241, 2022
      • 526 신은미, "19세기 말~20세기 전반 한국사찰의 조왕신앙과 조왕도"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8) : 235-257, 2022
      • 527 박은순, "19세기 말 20세기 초 회화식 지도와 실경산수화의 변화 - 환력(宦歷)의 기록과 선정(善政)의 기념" 미술사학연구회 (56) : 189-216, 2021
      • 528 유재빈, "19세기 고동(古董) 수집의 실상과 책거리 기물의 간극"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9) : 188-243, 2022
      • 529 김수진, "19~20세기 평안도 安州 刺繡의 盛衰와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119) : 211-244, 2022
      • 530 유지복, "1930년대 金台錫의 서예·전각 활동과 그 영향:《南游印譜》를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42) : 41-77, 2022
      • 531 이애선, "1920년대 전반기 문예동인지에 나타난 미술론 분석: 김환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연구소 (54) : 91-110, 2022
      • 532 전용근, "1920년대 잡지 『상공세계』의 발행과 새로운 시각디자인"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3) : 327-359, 2022
      • 533 김정선, "1920년대 부산 화단과 미술의 대중화" 인문과학연구소 (100) : 153-177, 2022
      • 534 장선예, "1920~1930년대 개성화단의 전개와 특징 - 미술단체·후원자·전람회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1) : 61-93, 2021
      • 535 유지복, "1908년 일ㆍ청에서 출판한 金台錫 印譜 연구" 진단학회 (137) : 129-167, 2021
      • 536 엄승희, "1900년 파리만국박람회 출품 한국 도자와 조력자 빅토르 콜랭 드 플랑시 -프랑스 국립기술공예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국립무형유산원 (13) : 5-36, 2022
      • 537 김수진, "19-20세기 조선 궁궐의 건축 공간과 서화"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9) : 158-187, 2022
      • 538 정명희, "18세기 후반 마곡사 대광보전의 재건과 불교회화" 미술사연구회 (41) : 63-95, 2021
      • 539 이용윤, "18세기 후반 개심사(開心寺) 불화에 반영된 화승집단의 변화" 인문과학연구소 43 (43): 257-285, 2022
      • 540 방병선, "1870년대 이후 조일(朝日) 요업 근대화 비교 고찰"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7) : 245-273, 2021
      • 541 송인희, "1848년 진찬의궤의 당화준(唐畫樽) 사용의 의의" 한국문화연구원 40 : 81-132, 2021
      • 542 김현중, "1804년 통도사 대웅전 <신중도>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31 : 315-342, 2021
      • 543 김미라, "18-19세기 의궤에서 보이는 음식차림용 목제 ‘반상(盤床)’의 쓰임과 형태" 한국문화연구원 42 : 163-205, 2022
      • 544 경유진, "17세기 충청도 지역 장엄신 괘불화와 화승 응열" 불교미술사학회 31 : 281-314, 2021
      • 545 이현주, "17세기 전기 왕실 여인들의 불사(佛事) 연구: 장열왕후와 인목대비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56) : 155-187, 2021
      • 546 한혜선, "17세기 의궤 속 화원이 사용한 백자의 종류와 지급방식" 한국문화연구원 42 : 39-75, 2022
      • 547 장경희, "1755년 경혜인빈 김씨의 상시호 죽책(竹冊)과 은인(銀印) 관련 물품의 제작 장인 연구 -『敬惠仁嬪上諡封園都監儀軌』책인조성소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역사민속학회 (61) : 95-150, 2021
      • 548 허문행, "1741년 作 《景賢堂賡載帖》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102) : 98-121, 2022
      • 549 박정숙, "16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서체 특징과 서예사적 의의" 한국동양예술학회 (50) : 269-300, 2021
      • 550 장경희, "1694년 <二十功臣會盟軸>의 제작 과정과 공예사적 의미 : 『保社功臣復勳都監儀軌』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315 (315): 119-147, 2022
      • 551 성인근, "16-17세기 안동김씨 인풍(印風)의 형성과 전개" 한국서예학회 (39) : 119-147, 2021
      • 552 강민주, "13세기 말~14세기 초 元代 봉황문의 유입과 봉황문 상감청자의 제작"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2 : 177-201, 2021
      • 553 이승혜, "10~11세기 中國과 韓國의 佛塔 내 봉안 『寶篋印經』 재고" 이화사학연구소 (62) : 1-42, 2021
      • 554 자현, "(지장 신앙의 성립과) 고려불화 지장보살도: 지장 신앙의 흐름과 도상의 탄생" 불광출판사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