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식민주의, 언어, `프랑스어권`흑아프리카 = Le colonialisme, Le Langage, L`Afrique noire francophon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5-183(39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Des appelLations comme Afrique francophone ou Afrique anglophone, etc., posent Le probLeme de L`heritage colonial. Neanmoins si nous appelons souvent L`Afrique noire francophone, des pays anciennement colonises par La France, situes dans La region subsaharienne, c`est au moins partielLement pour La raison que Les pays en question se regroupent dans Le secteur francophone. C`est de Leur propre initiative, apres La decolonisation, qu`est fondee L`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OIF). D`ailLeurs, presque tous Les pays de cette region donnent a La Langue francaise Le statut de Langue officielLe, bien que Le nombre de Locuteurs du francais y reste tres faibLe. L`Organisation de La Francophonie affiche son but comme La defense de La diversite culturelLe et linguistique contre La monopoLe de L`anglais dans Le monde entier. Pourtant, il nous sembLe que L`ideologie de La francophonie tente de defendre Les priviLeges anciens du francais qui a ete contraint de ceder a L`angLais son statut de Langue internationaLe. De plus, La situation linguistique des pays d`Afrique francophone montre que cette me?me ideologie s`eleve tout autant contre Les revendications des minorites quant a Leur propre droit linguistique fondamental. Au lieu des Langues autochtones africaines, c`est Le francais qui y est impose comme La Langue de L`administration et de L`education. En faveur de ce statut du francais comme Langue officielle, des gouvernements africains mettent en avant des raisons comme La facilite de communication, La possibilite plus grande de prendre pLace dans La communaute internationaLe et L`anticipation des avantages economiques. La multiplicite des Langues autochtones et Le taux d`analphabetisme tres haut justifient ce choix. Mais d`un autre co te, il y a de fortes oppositions a ce statut inverse du francais et des Langues africaines. D`une part, on constate Le fait que Le statut officiel du francais n`a que peu de reLations avec son usage par La popuLation. La francophonie de L`Afrique subsaharienne semble etre due a La francisation Linguistique de certaines couches sociaLes, qui partagent depuis L`ere de La colonisation La conviction mythique de La cLarte francaise et de La mission civilisatrice associee a La Langue francaise. D`autre part, certains s`opposent a La domination linguistique dans La perspective du nationalisme ou du post-colonialisme. Parce qu`ils considerent Leur Langue comme fondement de L`identite nationaLe et intermediaire de La culture traditionnelle, certains revendiquent Le soutien et Le developpement des Langues africaines. Deux tentatives representatives de cette demarche ont ete La politique Linguistique pour La decolonisation culturelLe de Guinee, et Le mouvement Kaddu de Senegal contre La dependance a La France mene par Le gouvernement de Senghor. Mais L`echec de ces deux tentatives a montre plusieurs probLemes difficiLes autour de La domination linguistique. Entre Le rejet total de La Langue colonisatrice ou sa reappropriation pour s`exprimer, Les debats continuent.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8 | 0.18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3 | 0.11 | 0.577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