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학원 교육 투자 수익률 분석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2024. 8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Analysis of the return on investment for graduate education in China
형태사항
82 p. : 삽화 ; 30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고장완
참고문헌: p. 72-79
UCI식별코드
I804:11040-000000180036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원 교육의 경제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국 대학원의 교육 투자 수익률은 어떠한가? 둘째, 전공별에 따른 교육 투자 수익률은 어떠한가? 셋째, 성별에 따른 교육 투자 수익률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CGSS (중국 종합 사회조사)이다. 중국 종합사회조사는 국제 기준에 따라 2003년부터 매년 중국의 모든 성, 시 및 자치구에서 10,000명 이상의 가구에 대해 연속적인 조사를 실시해 왔다. 교육 투자수익률을 계산하기 위해 Mincer의 소득 함수를 기반으로 분석모형을 확정하고 OLS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 학위 효과, 전공별, 성별 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대학의 학위 효과를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는 학위 효과를 엄밀히 분석하여 대학원 학위 소지자가 학사 학위 소지자보다 받는 급여 효과를 한정하여 분석한 후, 분석 범위를 더욱 확대하여 석사, 박사 등 교육 수준별 급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교육 투자 수익률이 같은 집단 내에서 서로 다른 학문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원 졸업 이상의 남녀 성별 소득 격차를 알아보았다. 위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교육이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대학원 교육의 가치에 대한 의구심도 커지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석사 학위의 효과가 실재함을 확인하였다. 중국의 교육 투자 수익률은 교육 투자와 소득 상승 사이에 4.5% 수준의 플러스(+) 선형 관계를 나타낸다. 이는 대학원 교육을 받은 사람이 받지 않은 사람보다 4.5%의 급여를 더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며,개인의 교육 투자가 임금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같은 그룹 내에서도 교육 투자 수익률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중국의 대학원 교육은 경제학, 경영학 투자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농학은 근무 연수가 증가함에 따라 플러스(+)의 선형 관계를 나타낸다. 셋째, 전반적인 추세를 보면 남성의 투자 수익률이 여성의 투자 수익률보다 훨씬 낮고 여성의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학위 효과가 남성보다 높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투자 수익률에 대한 세 가지 제언을 정리하였다. 교육을 통한 지원과 투자 방향을 결정할 때 성별 차이로 인한 소득 수준과 교육 수준을 좀 더 세심하게 고려함으로써 교육을 통한 소득 재분배 등 정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교육 투자는 소득 상승효과를 보인다. 학원 관리 체계를 개선하고, 대학원 교육의 정확성을 높이며, 교육 개혁을 진행할 것을 권장한다. 셋째, 대학의 특성화 교육을 유도하고 지역 고등교육 수준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더불어 대학은 사회와 적극적으로 통합하여 교육 및 연구 성과를 실질적으로 지역 경제와 사회 발전에 기여하도록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Chinese graduate education.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is the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in education in Chinese graduate schools? Second, what is the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in education by major? Third, what is the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in education according to gender?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CGSS (China Comprehensive Social Survey). Since 2003, the China Comprehensive Social Survey has conducted continuous surveys on more than 10,000 households in all provinces, cities, and autonomous regions of China every year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In order to calculate the return on investment in education, the analysis model was confirmed based on Mincer's income function and estimated through OLS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university degree effect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degree effect was strictly analyzed, and the scope of analysis was further expanded to confirm the benefit effect by education level such as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Secon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in education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within the same group. Finally, the gender income gap between men and women who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or higher was investigated.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deriv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graduate education expands rapidly, doubts about the value of graduate education are growing, bu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a master's degree is real. China's return on education investment shows a positive (+) linear relationship of 4.5% between education investment and income growth. This means that educated people receive 4.5% more salary than those who do not, and it is interpreted that individual investment in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wage increases. Second,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rate of return on education investment within the same group, and graduate education in China has a relatively high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in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and agriculture shows a positive (+) linear relationship as the number of years of work increases. Third, looking at the overall trend, the return on investment for men is much lower than that of women, and the higher the income level for women, the higher the degree effect than for m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ee suggestions for the return on education investment are summarized. Policy effects such as income redistribution through education can be expected by more carefully considering income level and education level due to gender differences whe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support and investment through educa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