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농성 간농양의 원인균 및 치료의 최근 변화 = Recent Changes of Organism and Treatment in Pyogenic Liver Abscess
저자
나병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 김연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강릉아산병원) ; 문희석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강릉아산병원) ; 박기오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강릉아산병원) ; 김선문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강릉아산병원) ; 이엄석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강릉아산병원) ; 양현웅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강릉아산병원) ; 서승원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강릉아산병원) ; 김석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강릉아산병원) ; 이병석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강릉아산병원) ; 김남재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강릉아산병원) ; 이헌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강릉아산병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5-283(9쪽)
KCI 피인용횟수
12
제공처
목적: 최근의 간농양 환자들의 임상상, 원인 및 치료에 대해 분석하여 기존의보고와 비교함으로써 변화의 유무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6년 3월부터 2001년 9월까지 5년간 본원에 입원하여 화농성 간농양으로 치료를 받은 94예를 대상으로 연령, 성별, 증상, 신체검사 소견, 검사실 소견, 세균학적 검사, 동반질환, 감염경로, 농양의 특징, 치료법, 합병증 및 예후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60±14세였으며 남자가 55명 여자가 39명으로 남녀 비는 1.4:1이었다. 남자에서는 5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여자인 경우는 60대에서 빈도가 가장 높았다. 임상증상은 발열(79.8%), 오한(43.6%)이 신체검사 소견으로 발열(53.2%), 상복부 압통(44.7%)이 흔하였다. 농양이 단발성인 경우가 85.1%이었고. 우엽에만 있었던 경우가 70.3%이었다. 84예 중 67예에서 배양이 되어서 78.8%의 양성율을 보였고 단일 균주였으며 Klebsiella pneumoniae 44예(65.7%), E. coli 11예(16.4%)였다. 동반질환은 당뇨병이 14예, 악성 종양이 10예(간담도계 7예, 간세포암 2예, 직장암 1예), 담낭 절제술을 시행 받았던 예가 2예, 간경변증 1예, 만성 신부전 1예, 다낭성 신증 1예 및 막성사구체 신염 1예였다. 원인을 찾지 못했던 예가 70예(74.5%)로 가장 흔하였으며, 상행성 전파가 20예(21.3%), 혈행성 3예(3.2%) 및 직접 전파된 경우가 1예(1.1%)였다. 경피적 배액술을 시행한 경우가 69예(73.4%), 경피적 흡인술을 시행한 경우는 15예(16.0%), 경피적 배액술과 경피적 흡인술을 같이 시행한 경우는 2예(2.1%), 항생제 치료만을 시행한 8예(8.5%)였다. 경피적 배액술을 시행한 예중 6예(8.7%), 경피적 흡인술을 시행한 예중 2예(13.3%), 항생제만 쓴 경우는 1예(1.3%), 총 9예(9.6%)에서 사망 도는 가망이 없어서 퇴원하였다. 호흡기 합병증이 23예(24.5%)로 가장 흔하였고 급성 신부전이 4예, 복막염은 3예, 농양의 파열이 2예, 치료적 시술이 필요한 답즙낭 발생이 2예 및 횡경막하 농양의 발생이 1예에서 있었다. 결론: 최근의 화농성 간농양에서 Klebsiella pneumoniae가 가장 흔한 균이며 일차적인 치료로는 경피적 배농술(경피적 도관 배액술, 경피적 흡인 천자)을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Aims: With the advance of antibiotics and the development of newer imaging techniques, marked changes in etiology,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of liver abscess have been reported.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data related to 94 patients with pyogenic liver abscess. Results: Of the 94 patients in the study group,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4:1 and the peak incidence of liver abcess was in the 7th decade. About three quaters (74.5%) of the abcesses were of unknown origin. The predominant location was in the right lobe (70.3%). Single lesion was found in 80 patients and multiple lesions in 14 patients. Pathogens were identified in 67 patients, of which Klebsiella pneumoniae (65.7%) and E. coli (16.4%) were the most common. The modalities of treatment were percutaneous drainage with antibiotics (73.4%), percutaneous aspiration with antibiotics (16.0%), or antibiotics alone (8.5%). The case fatality rate, mainly from associated underlying diseases, was 9 cases (9.6%). Associated diseases were diabetes mellitus (14.9%) and malignancy (10.6%). Conclusions: Our study revealed that the most common organism was Klebsiella pneumoniae an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and/or catheter drainage were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ies for pyogenic liver abscess. Prognosis was determined by the underlying condition.(Korean J Hepatol 2003;12:275-283)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2-06-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 KCI등재 |
2011-01-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간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4-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6-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1 | 0.11 | 0.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42 | 0.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