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터넷상 허위조작행위에 대한 합리적 규제방향 - 관련 현행법 및 입법안 검토를 중심으로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4(2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국회의원들은 최근 드루킹 김씨의 여론조작사건과 그 이전부터 논의되었던 가짜뉴스의 문제에 즉각 반응하여 현재까지 인터넷상 허위조작행위에 대응하기 위한 법률 제.개정안으로 50여개의 입법안이 발의되어 있고(공직선거법 개정안 13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22개, 신문진흥법 개정안 11개, 언론중재법 개정안 4개 그리고 통합법 제정안 2개), 정부는 허위조작정보를 규제하기 위한 정책들을 꾸준히 내놓고 있다.
인터넷상의 허위사실유포 또는 여론조작은 진실한 의사소통·정보전달 또는 민주적이고 자유로운 의사형성과정을 방해하거나 위태롭게 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제도적.법적 규제는 신중히 검토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인터넷상의 여론조작행위 등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조치가 오히려 국민의 기본권인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인터넷상의 허위사실유포 또는 여론조작행위를 규제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자유로운 의사형성을 저해하는 가짜뉴스 또는 인터넷 여론조작행위에 적용될 수 있는 현행법을 개관하고, 이와 관련하여 발의된 입법안들의 내용 및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현재 발의된 입법안들은 가짜뉴스에 대한 불명확한 개념정의로 인해 규제대상 행위를 명확히 기술하지 않고 있고, 형벌 또는 과징금이나 과태료로 제재하는 방안을 우선시하는 과잉규제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 여론조작행위 등을 합리적으로 규제하기 위해서는 규율대상인 행위를 중한 행위와 그렇지 않은 행위 즉, 특정 정치적 목적으로 조직적으로 매크로 조작 또는 불법개인정보이용을 통한 댓글 조작 등의 방식으로 여론을 조작하는 행위와 단순 허위정보유포 행위를 구별할 필요가 있으며, 형사제재를 강화하는 것은 전자에 한해야 할 것이다. 전자에 한해서는 현행 정보통신망법이 불충분하게 규율하고 있는데, 그러나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자율적 규제와 관련하여서는 현재로서는 먼저, 행정지도의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정보통신망서비스 제공자의 자율적 이행을 촉진하는 정책을 취하고, 형벌이나 행정벌을 투입하는 방안은 유보하여야 할 것이다.
인터넷 여론조작행위 등에 대한 대응책은 - 현재까지 제안된 입법안과는 달리 - 좀 더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숙고하여 모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Congress has responded promptly to recent Public Opinion Operation and Fake News on the Internet Issues, and up to 50 Legislation has been proposed to date.
Public Opinion Operation and Fake News on the Internet can hinder or endanger True Communication or Democratic and Free Communication. But Institutional and Legal Regulations on this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This is because institutional measures to prevent Public Opinion Operation and Fake News on the Internet may reduce the Freedom of Expression, which is the fundamental Right of the People. Therefore, Reasonable measures to Regulate Public Opinion Operation and Fake News on the Internet without violating Freedom of Expression should be sought.
In this article, we reviewed the current Legislation that can be applied to Public Opinion Operation and Fake News on the Internet and reviewed the Contents and Problems of Legislation proposed. The Legislation currently proposed did not clearly describe the subject of regulation because of the unclear Definition of Fake News, and Over-regulatory nature that Prioritizes Penalties, Sanctions or Penalties. In order to reasonably regulate Public Opinion Operation and Fake News on the Interne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acts that are subject to discipline and acts that do not, that is, acts on the use of Macro Programs and the spread of simple false facts. For Internet Service Providers, policies should be promoted to promote Autonomous implementation, and the Penalties should be reserve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Public Opinion Operation and Fake News on the Internet - unlike the legislation proposed to date - should take some time to ponder an seek.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9-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Law Review -> Law Review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7-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Law Review -> Korean Law Review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法學硏究 -> 법학연구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2 | 1.02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7 | 1.02 | 1.083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