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을 통해서 본 ‘젠더’ = A meaning of Gender in Judith Butler’s theo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5-240(26쪽)
KCI 피인용횟수
6
제공처
이 논문의 목적은 버틀러의 ‘젠더’의 의미를 명료하게 하는 것이다. 기존의 젠더의 의미가 섹스의 불변성을 토대한 반면, 버틀러의 젠더는 제도 담론의 산물이므로 본질의 존재 자체를 부정한다. 그럼에도 기존의 논의들이 고정적 정체성을 가정하는 이유는, 버틀러의 논의에 의하면 인간존재의 이상적 모델로 설정해 놓은 가상의 세계가 혹은 담론이 의도하는 젠더가 ‘본질’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젠더는 그러한 가상의 세계를 패러디하는 정체성으로, 권력에 반복해서 복종하는 정체성으로, 제도의 금기를 내면화하는 우울증적 정체성으로 드러난다. 말하자면, 버틀러의 젠더는 제도 담론의 수행성을 통해 규정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두 가지의 논점을 통해 버틀러의 젠더의 의미를 명료화할 것이다. 즉 이 연구는 정체성의 본질이 가상임을 니체의 『도덕의 계보』를 통해 증명하고, 젠더 주체가 주권적 자율성을 가진 주체가 아니라 제도 담론의 수행성을 수행하는 수행적 주체임을 증명한다. 『도덕의 계보』는 선·악의 구도가 인간이 설정한 이상, 즉 이분법적 구도로부터 출현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본질’의 의미를 깨뜨린다. 이 논의는 젠더 정체성의 고정성이 권력의 책략일 뿐이라고 말하는 버틀러의 주장을 정당화한다. 그리고 두 번째로 언급되는 근대 주체에 대한 논의는 본질적 정체성을 가지지 않는 인간 존재가 제도 담론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논한다. 이 논의에서는 젠더가 어떻게 주권적 주체인 것처럼 형성되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수행적 주체임을 말하고자 한다. 그의 수행적 주체는 제도 담론, 즉 이성애적 이데올로기와 남근로고스중심주의의 분류를 통해 형성되고, 그것을 수행함으로써 비로소 사회의 성적 주체가 된다. 따라서 그의 젠더는 총체성이 영원히 보류되고, 주어진 시간대에 완전한 모습을 갖출 수도 없는 다양한 양상으로 드러날 뿐이다. 버틀러의 젠더양상들, 즉 패러디적 정체성, 반복·복종의 정체성, 우울증적 정체성은 본질을 상실하고 제도 담론의 수행성을 수행하는 버틀러의 젠더의 모습이다. 그리고 그의 수행적 주체는 역사의 우연성 속에 존재하는, 변화를 숙명으로 받아들이는 주체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clarifies the meaning of Judith Butler‘s gender. While the meaning of gender has been dependent on constant quality of sex, Butler‘s gender is a product of system of discourse. Therefore, Butler‘s gender identity is of no essence. Butler‘s gender is regulated by the performative of system of discourse. Therefore, first, with genealogy of moral written by F. Nietzsche, this thesis refutes the point of view that identity essentially is being. According to genealogy of moral, good and evil are established on the assumption of human idealism. By exposing that they precisely appear in binary system, meaning of the essence is destroyed. According to Butler, it is only through the ruse of power that gender identity is fixed. Second, this thesis refuses the point of view that modern subject has sovereign autonomy. It seems as if modern subject has sovereign autonomy, even though it is performative subject that acts on discourse. That is because of the performative of subject. Butler‘s performative subject is formed by the system of discourse, more specifically, by consolidation of heterosexist and phallogocentric power regime. If they performed it, then, they become a sexual subject within society. Thus, gender is only a complexity whose totality is permanently deferred, never fully what it is at any given juncture in time. It appears in the context variously. Parodic identity that does not assume that there is an original, the identity of iterabilitive and subjective gender that does repetitively perform power, and melancholic identity that internalizes taboo of system or ritual all together are gender‘s appearance. They do not have essence. And they perform the system of discourse. Thus Butler‘s performative subject enters existence of the contingency of history, and it recognizes that endless change is its destiny.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8 | 1.432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