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7대 대선을 통해 본 정치자금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저자
임성학 (서울시립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정치외교사논총(Journal of Korean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주제어
KDC
349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25-351(27쪽)
KCI 피인용횟수
15
DOI식별코드
제공처
한국 정치자금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논의된 한국 정치자금의 문제점, 즉 정치자금의 적정규모, 제도적 불안전성, 한국정당의 카르텔화 현상, 미디어 비용의 상승과 흑색비방의 증가 등에 대한 대안을 세우는 것이 중요한다. 정치자금의 적정규모에 대해서는 먼저 일반 국민의 의식이 변해야 할 것이다. 정치에 필요불가결한 요소인 정치자금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이에 대한 비용지출을 피하면 안된다. 둘째, 제도적 불안정성에 대한 대안은 우선 대통령후보자 후원회의 설립허용이 급선무이다. 다행히 17대 대선 이후 대통령선거 후보자 및 예비후보자의 합법적 정치자금 모금∙사용 보장을 위하여 후원회 설치를 허용하고 선거비용제한액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금액을 모금∙기부할 수 있도록 하였다(정치자금법 제6조). 그러나 선거비용제한액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금액은 선거운동을 효과적으로 하기에는 매우 부족하다. 이외에도 현직과 비현직, 무소속후보와의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 셋째, 한국정당의 카르텔화를 막는 것뿐만 아니라 정당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라도 국가가 선거에 들어가는 거의 모든 비용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정당 스스로 선거와 정당 운영을 위한 최소한 자금은 모금할 수 있는 책임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라도 중앙당의 후원회를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비용의 상승과 흑색비방의 증가문제에 대한 논의의 시작은 보다 균형있는 시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저비용이라도 민주주의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제도보다는 고비용이라도 민주주의에 발전에 도움이 되는 제도를 채택해야 한다는 점이다. 매스미디어를 이용한 선거운동방식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점차 비용이 상승하고 선정주의에 빠질 위험이 높다. 그리고 매스미디어에 접근하기 어려운 계층의 정치적 소외는 점점 커질 것이다. 따라서 매스미디어방식과 더불어 이런 계층에 접근할 수 있는 선거운동방식을 같이 고려해야 한다. 현재와 같이 선거비용보전에서 매스미디어방식 이외의 부분에 대해 비용보전을 해주지 않는다면 이런 문제는 계속 발생할 것이다.
더보기Despite successful reforms on political finance system in Korea there are many things to be done to improve our political fund and election campaign. First, more practical approach to the political finance is needed. We should understand that money is ‘a necessary evil’ for democracy. The second is to reduce the unstability of political institutions. During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candidates had a difficulty to fundraise for the election. There were no institutions for a political financing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No Supporters’ Associations for Presidential candidates were established because the enactment of Supporters’ Association for Presidential Candidates has not passed. Fortunately after the election the National Assembly enacts the law that allows Presidential Candidates can fundraise an equivalent of 5/100 of the election expense limit amount. But 5/100 of the election expense is not enough money to run competitive election campaign. Third, the cartelization of political parties should be prevented. Most of election expenses were reimbursed by the government.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more than 90% of expense of major candidate were from state’s subsidy. This is not desirable for the sound development of political party. The final problem to be resolved is the increasing cost and sensationalism of mass media in the election. We are better to have a realistic but a little high than to have unrealistic but low type system.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 | 1 | 1.924 | 0.3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