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선 후보 토론회의 정책 대결 유도 방안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소통학보(Journal of Speech, Media & Communication Associa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0-251(32쪽)
제공처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으로 불린다. 그렇다고 모든 선거가 민주주의에 기여하는 것은 아니다. 선거가 민주주의에 기여할 수 있으려면 대안적인 선택이 가능하고 유권자의 선택이 합리적이어야 한다. 즉, 정책이 다른 후보들이 경쟁해야 하고, 유권자는 후보들의 정책을 잘 알고서 후보를 선택해야 한다. 민주주의에 기여하는 선거가 되려면 후보들은 자신들의 정책을 유권자들에게 잘 알리고 유권자는 후보들의 정책을 잘 알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민주주의를 위한 선거라면 후보들이 자신들의 정책을 알리고, 타후보들의 정책과 자신의 정책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그 수단은 동시에 유권자가 후보들의 정책과 그 차별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다행히 후보자 텔레비전 토론이 그런 수단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오늘날 텔레비전은 편재하고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에 후보자 텔레비전 토론은 잘만 운영하면 진정한 민주적선거 운동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대통령선거 후보자 텔레비전 토론회가 비난과 비방의 장이 아니라 진지한 정책 대결의 장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Election is called “the flower of democracy”. But all elections do not contribute to democracy. If it can contribute to democracy, it have to offer alternative choices and the choice of electorate should be reasonable. In other words, there must be competition among candidates who are different in platforms and policies, and electorate have to vote after knowing candidates’ platforms and policies. For democracy to stand and progress, candidates have to make their platforms and policies known to electorate, and in turn, electorate have to do their best to know candidates’ platforms and policies. In order to make an election contributable to democracy, therefore, candidates must have a means to make their platforms and policies known to electorate, and to distinguish their platforms and policies from those of other candidates. And the means should be such a one as to make electorate easily grasp the platforms and policies of candidates and differences among them. Fortunately, candidates’ television debate could be such a means. Thanks to television’s ubiquity and accessibility, television debate, if well-organized, can be a democratic means for election campaign. Television debate can be also a useful means for political reform, because it can bust money politics. Considering this positive aspect of television debate, authorities concerned such as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nd Broadcasting Commission should recommend and institutionalize television debates between candidates. Broadcasting companies should hold as many television debates as possible, because it contributes to their public service, thus increasing their status, and because its viewer rating is usually high. Broadcasting companies should hold more debates other than the ones stipulated by the Election Act, and help electorate fully grasp platforms and policies of candidates. To candidates, television debate is a best means to inform electorate about their platforms and abilities without money. Needless to say, candidates should be subject to testing of their ability and policies. Accordingly, candidates should ask broadcasting companies to hold television debates and participate in it. In all these cases, debates should be organized in a way that they can test candidates’ platforms and policies to be useful to electorate in their voting. Thus this paper tries to probe into the ways to make television debates between candidates become a productive forum for policy confrontation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