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원천징수의무자에 대한 납세고지의 법적 성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egal Nature of Tax Notice to Withholding Obligato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7-248(5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According to Article 21, Paragraph 3, Item 1 and Article 22, Paragraph 4, Item 2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the Act’), the national tax liability for income to be withheld shall come into existence at the time when the person or entity having the obligation to withhold tax on income (‘withholding obligator’) makes the payment of income to a taxpayer who derives the income, and shall be determined without the application of special procedures to determine the liability. As such, the academy and court decisions have acknowledged a firm position that a tax notice to a withholding obligator is to urge payment of national tax that has already been created and determined by the tax law and accordingly it should constitute an enforceable collection of tax not an enforceable assessment of tax.
On the other hand,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issued an administrative interpretation, assuming that a tax notice to a withholding obligator is not the enforceable tax collection but the enforceable tax assessment. This administrative interpretation presents different viewpoints from the existing conventional views or court decisions on the nature of such notice and has brought to public attention several issues, such as the legal nature of tax notice to a withholding obligator, legal issues in terms of taxation procedures concerning the creation and determination of tax withholding and perspectives regarding the reassessment request system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reassessment request for tax withholding in 2003.
This paper examine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automatic determination of tax liability among various aspects of tax laws concerned in relation to the withholding, and then focuses on evaluating the legal nature of tax notice to a withholding obligator, in other words whether it should constitute the enforceable tax assessment or the enforceable tax collection in substance.
In conclus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ch notice can be understood as an enforceable tax assessment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Act. Notwithstanding such possibility, however,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at the tax notice issued by the tax authorities subsequent to the creation and determination of tax liability constitutes an enforceable tax collection since the tax liability for national taxes to be withheld shall be created and determined at the point of the payment of income subject to withholding tax.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possible legislative improvements to ease excessive burden placed on withholding obligators and administer multiple schemes under the Act in a consistent manner.
국세기본법 제21조 제3항 제1호 및 같은 법 제22조 제4항 제2호에 의하면 원천징수하는 국세는 원천징수의무자가 원천납세의무자에게 소득을 지급하는 시점에 납세의무가 성립하고 특별한 절차 없이 세액이 확정된다. 따라서 원천징수의무자에 대한 납세고지는 세법에 따라 이미 성립․확정된 국세의 납부를 촉구하는 것으로서 부과처분이 아닌 징수처분으로 보는 것이 학계와 판례의 확고한 입장이다.
그런데 2017.11.21. 기획재정부는 원천징수의무자에 대한 납세고지가 징수처분이 아니라 부과처분에 해당함을 전제로 행정해석을 내린바 있다. 이러한 행정해석은 기존의 통설이나 판례의 견해와 상이한 입장을 취한 것으로서, 원천징수의무자에 대한 납세고지의 법적 성격에 관한 문제뿐만 아니라, 원천징수하는 국세의 성립과 확정에 관한 조세절차법적 문제, 2003년에 원천징수에 경정청구가 도입된 것과 관련하여 경정청구 제도를 바라보는 관점에 관한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수면 위로 끌어 올렸다.
이 글에서는 원천징수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국면의 법률관계 중 납세의무의 자동확정방식의 특성과 문제점에 관해 먼저 살펴본 다음 원천징수의무자에 대한 납세고지의 법적 성격, 즉 부과처분 또는 징수처분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에 관해 집중적으로 규명하였다. 결론부터 언급하면, 국세기본법 해석상 부과처분으로 이해될 여지가 일부 있으나, 원천징수하는 국세는 소득 지급시점에 납세의무가 성립․확정되므로 그 후 과세관청이 행하는 납세고지는 징수처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원천징수의무자에게 발생하는 과도한 부담을 완화하고 국세기본법에 존재하는 여러 제도들을 정합성 있게 운영하기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도 아울러 제시하였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