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감은사지 삼층석탑 창건 과정과 意匠計劃에 대한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30(26쪽)
KCI 피인용횟수
10
제공처
소장기관
감은사가 창건되던 시기는 삼국통일을 통해 한반도를 장악한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의 遺民들을 흡수ㆍ통합하며 專制王權을 강화해 나가던 시기로, 새로운 국가체제를 정비하고 통일국가의 위상을 표방하기 위한 신라 王室主導의 조영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던 때이다. 당시에 펼쳐졌던 조영활동의 특징으로는 服屬地域에서 유입된 遺民들의 참여로 인해 이전 시대에 보이지 않던 새로운 양식과 기술의 출현을 지목할 수 있다.
당시 신라에 새롭게 등장하는 석조기술 가운데 문무왕 3년(663)에 건립된 長倉址에서 처음으로 출현하는 嵌石은 이미 백제 미륵사지 석탑에서 선례를 보이고 있어 당시 신라의 조영활동에 百濟遺民들이 깊이 관여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百濟의 건축에서 유래된 嵌石이 신라에 유입되는 과정과 비교해 볼 때 신라 典型石塔의 始原이자 완성을 구현한 감은사지 삼층석탑은 신라의 삼국통일을 계기로 진행된 백제 건축과 신라 건축 요소의 결합을 통해 완성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양식의 석탑이 백제 멸망 후 20여 년이 경과한 후에 비로소 감은사에 건립되는 배경은 海風이 심한 海邊이라는 감은사의 氣象學的 立地條件으로 인해 木塔보다 내구성이 강한 석탑이 적합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 사찰조영에서 堂塔건립의 선후관계는 문헌자료를 검토한 결과 탑보다 금당이 먼저 건립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감은사 역시 석탑 내에서 발견된 건축부재와 문헌자료에 비추어 볼 때 탑에 앞서 금당이 먼저 건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감은사지의 조사와 관련된 여러 보고서에 수록된 각종 측정치와 실측도면을 통해 감은사지 석탑의 의장계획을 분석한 결과 감은사지 석탑 지대석의 폭(650㎝)은 감은사 前庭 동서 길이 (6,500㎝)의 10분의 1의 규모로 설정되었음이 복원되었다. 또한 복원된 석탑의 전체 높이 (1.300㎝)는 바로 지대석의 두 배와 일치하며, 상륜부는 석탑 전체 높이의 4분의 1의 높이로 계획되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비례는 이후에 건립되는 8세기 신라 전형양식의 삼층석탑에서도 대부분 적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감은사지 석탑의 수평체감은 석탑 지대석의 폭650㎝를 약 31㎝씩 21등분으로 수직 분할한 선에 의해 각 部材의 폭이 결정되는 것으로 복원되었으며, 이러한 規則은 석탑의 外部로 드러나 있는 部材뿐만 아니라 석탑의 핵심공간이라 할 수 있는 內部의 刹柱孔과 舍利孔의 空間규모에 이르기까지 치밀하게 계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사찰 전체평면과 감은사지 석탑의 규모를 비교한 결과 감은사지 석탑은 주변을 두르고 있는 각 회랑 基壇의 內側 지대석 끝에서 각각 석탑 전체의 높이만큼 떨어진 지점에 석탑의 중심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익랑이나 회랑으로 석탑을 직각으로 눕힐 경우 刹柱의 끝은 각 회랑의 內側 基壇 지대석의 끝선과 정확하게 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의장은 황룡사 구층탑에서도 확인된 바 있어 삼국시대 단탑식 가람의 조영원리가 통일신라시대 쌍탑식 가람에 어떻게 변용되었는가를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발굴조사가 진행중인 四天王寺址 목탑의 복원에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Gameunsa was founded at the time when Silla, having achieve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made vigorous efforts to establish the absolute royalty by winning the mind of the former Goguryeo and Baekje peoples and thus actively engaged in the construction work to demonstrate the prestige of a united nation. With new artisans from Goguryeo and Baekje joining the work, new construction styles and skills were implemented Particularly the use of special stone called gamseok (嵌石) for stone pagodas at the temple, which was first known at the site of Jangchang in Silla, was probably brought by the former Baekje people, for it was earlier seen in the stone pagoda of Mireuksa of Baekje This suggests that the creation of stone pagodas at Gameunsa which marks the beginning of typical Silla-style pagodas, was influenced by the earlier Baekje tradition in material and technology. The decision to erect stone pagodas must have been affected by d1e location of the temple near' the seashore where the significant erosion of wooden pagodas by salty wind would have been inevitable.
In constructing Buddhist temples in Silla, pagodas were generally built earlier than golden halls. Extant architectural constituents of pagodas as wells as literary evidence indicate that the building of the pagodas preceded that of me golden hall at Gameunsa as well.
The detailed measurement of the plan of Gamenusa reveals that me width of the base of a stone pagoda (650 centimeters) was a tenth of mat of the front courtyard of me temple compound (6,500 centimeters). The original height of a pagoda was twice the width of the base. The pole disclosed above me pagoda measures a fourth of me height of a pagoda. This proportion was faithfully followed in later three-story pagodas of Silla. The base of a pagoda was divided into twenty one segments, and each segment measuring 31 centimeters was used as a module in me gradual diminution of the upper parts This principle was meticulously applied to the position and size of me relic hole as well. The distance between two pagodas are exactly twice me height of a pagoda. All these clearly show me architectural principle applied to me design of stone pagodas in relation to the overall plan of the temple, which could be availed as useful information in me reconstruction of wooden pagodas at Sacheonwangsa built around the same tim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2 | 1.02 | 1.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2 | 1.04 | 1.591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