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찰 강력범죄 수사체계의 개선방안 = A Study on Reform of Police Investigation System on Serious Violent Crim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안행정학회보(Korean Associati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주제어
KDC
35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8-75(28쪽)
KCI 피인용횟수
9
제공처
지난 몇 십년간 우리사회는 국민적 이목을 집중시켰던 수많은 강력범죄들을 경험해왔다. 강호순, 정남규, 유영철, 정두영 사건 등을 비롯하여 올해 초 발생한 김길태 사건까지 우리의 기억 속에 여전히 각인되어 있는 사건만도 손으로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이다. 이러한 범죄들은 대개 불특정 타인을 대상으로 한 연쇄범죄라는 특징을 띠고 있다. 이렇게 전혀 관계가 없는 타인에 의해 저질러지는 범죄는 현장증거나 목격자 등이 없으면 사건해결이 매우 어렵게 되거나 시일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 그 사이에 최초 범죄자는 연쇄적인 범죄행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불특정 타인을 대상으로 하는 강력범죄에 대한 수사는 엄밀한 현장조사를 포함하여 치밀한 과학적인 수사기법을 요한다. 그러나 기존의 수사관행을 보면, 아직도 현장증거를 중심으로 하는 치밀한 과학수사기법보다는 목격자 탐문 등 전통적인 수사기법에 의존하여 해결하려는 경향이 우세하다. 이러한 경향은 우리의 사회적 환경이 복잡한 인종과 문화 그리고 분화된 사회계층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여타 나라와는 달리 인종ㆍ문화적 복잡성이 선진국에 비하여 덜 진행된 대면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이제 우리나라도 급격히 다문화ㆍ다인종 사회로 진행되고 있고, 범죄의 광역화ㆍ기동화ㆍ지능화로 인해 익명성이 점점 더해지고 있기 때문에 지금처럼 목격자 등을 통한 탐문수사에 의존해서는 불특정 타인을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를 해결하기 힘들 것이다.
따라서 강력범죄수사도 이제는 과학적 기법을 중심으로 하는 과학수사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실제 과학수사기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그 대표적인 분야로 유전자분석, CCTV 및 통신수사, 범죄자 프로파일링 분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강력범죄에 대한 수사체계도 기존의 형사요원 중심에서 과학수사요원들도 수사의 중심으로 끌어들여 더욱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범죄해결능력의 상향평준화를 이루기 위해 정기적인 테스트를 실시하는 것을 제도화하고 과학수사요원 부족의 현상을 상호지원시스템 구축으로 해결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그 외에 특진제도를 발전적 측면에서 축소시키고, 장기미제사건 전담반을 지방청 과학수사계에 설치할 것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강력범죄에 대한 수사자료관리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학계 등에서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강력범죄의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serious violent crimes that gives our society shock are occurring frequently. Although serious violent crimes are universal phenomena that can occur at anytime and in any society, the important problem is that the cycle of occurrence of these shocking violent crimes has become shorter, comparing past time.
These shocking violent crimes are characterized by serial crimes that target at random people. If the first offense of this serial criminal is not solved immediately, that causes serial violent crimes. That reason that the solution to the first offense of serial criminal is difficult is that the clues of solution to the crime targeting at random people are not found out easier than the crime that occurs between acquaintances. So these kinds of crimes are difficult to solve or need to take a long time, if crime scene evidences or witnesses are not found out.
Especially, the investigation into the violent crimes that target at random people needs to forensic investigation including crime scene investigation. The representative fields of forensic science are DNA analysis,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criminal profiling, etc. These fields have been developed rapidly for last decade.
With the development of these forensic investigation fields, we have to reform the investigation system of violent crime. First, we have to focus more on forensic investigation by forensic investigator than on traditional investigation by general investigator. Second, we have to institutionalize for criminal investigators taking the periodic test to raise crime solution ability of investigators to the higher level. Third, we need to operate the swing cover system to cover the insufficient investigative personnel. Finally, we need to construct the criminal investigation data management system and connect the system with criminologist to share the investigation data and to solve the violent crim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3-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 korean Journal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6 | 0.96 | 0.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2 | 1.084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