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무용과 AI 기술의 협업을 통한 공연 창작연구 - 무용 작품 ‘Query’의 안무를 중심으로 -
저자
김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과)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8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103(2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논문은 무용 작품 「Query」을 안무하는데 있어서 무용과 AI기술의 협업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 지를 연구하였다. 안무의 구성 단계에서 설정된 ‘상생’의 주제를 생성형 AI와 협업을 통해 이뤄진 창작과 공연 과정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무용과 AI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창작 과정을 탐구하며, 전통적인 무 용의 경계를 허물고 기술과 예술이 융합된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 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첫째, 본 안무자는 작품 내용구성에서 생성된 AI 이미지를 인격화시켜 작품의 주제를 여러 관점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본 작품의 내용적 구성으로 만들어진 생성형 AI의 텍스 트와 이미지는 새로운 차원의 시각적 확장성을 통해 환경의 진보를 가지고 왔다. 셋째, 무용 작품에서 무 용수의 움직임과 생성형 AI 기술의 도입을 통한 내용적 구성은 새로운 형태의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였 다. 넷째, 무대 공간의 창의적 활용 방법을 통한 무대 디자인과 AI 기술을 결합하여 가상공간과 현실 공 간의 경계를 허물어 무대 경계의 해체를 가지고 왔다. 본 연구는 상생의 철학적 의미와 AI와의 협업을 통 한 새로운 무용창작의 가능성을 탐구한 하나의 사례로서, 이후의 예술 창작 과정에서 다양한 기술적, 철 학적 확장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AI의 가상 기술과 무용 예술의 현실 사이에 는 괴리가 존재하며, 이를 직접 작품에 적용하고 실행하는 데는 현실적인 한계를 지닌다. 이 연구가 무용 창작 현장에서 무용 예술이 단순한 움직임을 넘어서 예술과 기술의 협업이라는 새로운 예술 방법론을 확 장시켜 나가는데 기여하길 바라며 본 연구는 무용과 기술의 협업이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 방향성에 생 각하고 다양한 표현 방법을 통해 작품으로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무용 작품에서 하나의 도구가 아닌 인간과 기술 사이의 소통과 상호작용으로 하나가 되어 작품으로 어떻게 나타났는지 의 과정을 연구함으로써 하나의 사례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This study examines how the collaboration between dance and AI technology was expressed in the choreography of the dance piece 「Query」.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creative and performance process achiev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generative AI, focusing on the theme of coexistence” set in the choreography development stage. By exploring a new creative process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dance and AI, this study aims to break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dance and present a new artistic experience that integrates technology and a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oreographer personified AI-generated ima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work, presenting the theme from multiple perspectives. Second, the AI-generated texts and images based on the work’s narrative structure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the creative environment by offering a new dimension of visual expansion. Third, the integration of dancers’ movements and generative AI technology in the composition of the dance piece provided a novel artistic experience. Fourth, the creative use of stage space, combined with AI technology in stage design,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virtual and real spaces, leading to the dissolution of conventional stage boundaries. This research serves as a case study exploring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coexistence and the potential for new dance creation through collaboration with AI. It can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further technological and philosophical expansion in future artistic creation processes. However, there remains a gap between AI's virtual technology and the reality of dance art, posing practical limitations when directly applying and implementing such collaborations in actual performanc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dance creation beyond mere movement, fostering a new artistic methodology that embraces the collaboration between art and technology.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think about the direction of how dance and technology collaboration should be carried out and study how it should be implemented as a work through various expression methods. I think it will be an example by studying the process of becoming one throug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rather than a tool in a dance work.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