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찰과 민간경비의 상호협력방안에 대한 실증적 연구 = The Empiric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Private Security Syste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안행정학회보(Korean Associati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주제어
KDC
35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24(30쪽)
제공처
국민의 안전에 대한 섬세하고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경찰과 민간경비간의 상호 협력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들과 민간경비원들이 보다 긴밀한 상호협력 시스템을 구축하여 경찰의 대국민 치안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민간경비 산업을 육성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경찰공무원 및 민간경비원들의 인식을 조사ㆍ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실증적인 연구방법으로서 K도에 근무하는 경찰공무원 및 민간경비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경찰공무원과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한 이유는 범죄예방 분야에서 이 두 주체가 업무 현장에서 경험하게 되는 상호협력에 대한 인식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며, 설문 대상을 선택할 때도 경찰은 지구대 소속 경찰공무원들을 주로 선정하였으며, 마찬가지로 민간경비원들에 대해서도 주로 실제 업무 현장에서 순찰 활동을 하는 일선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설문조사의 기간은 2006년 10월 4일부터 10월 24일에 걸쳐 약 20일간 실시하였으며, 경찰공무원들에게는 129부, 민간경비원들에게는 111부를 회수하였다. 또 한, 본 연구에 사용한 질문지는 응답자가 직접 응답을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지 조사법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과 민간경비의 상호협력 방안으로서 크게 운영적인 측면과 상호의식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상호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양자간의 운영적인 측면으로서, 양조직간에 범죄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정보공유를 바탕으로 합동 방범심방, 연계 순찰 등으로 범죄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민간경비와 경찰의 합동근무의 시행으로 범죄억제효과를 높이며, 신속한 현장출동으로 현장검거 시스템의 확립이 필요하다.
또한, 상호 의식적인 측면에서는 우선 민간경비원과 경찰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다. 이는 민간경비원 자신이 범죄예방의 주체라는 인식을 갖는 것 뿐만 아니라, 민간경비 업무가 공공성을 갖는다는 업무에 대한 자긍심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또한 경찰의 민간경비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함께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양조직의 신임교육부터 상호 협력에 대한 교육과 현장체험 등을 통하여 상대의 입장을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여야 하며, 주기적인 합동근무로 상호 협력의 필요성을 몸소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loser mutual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police and private security companies with a view to satisfying various security needs of the people, enhance the quality of the police's public security service for the people, and promote healthy private security industry to cope with actively and efficiently the increasing demand for public security.
This study is methodologicall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research(using data from 129 policemen and 111 security employees in K province). As statistical analysis, mainly simple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package.
This study is split into four chapters. Chapter Ⅰ is the introduction part. Chapter Ⅱ introduces the reader to mutual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police and private security, and Chapter Ⅲ analyzes the conceptions of mutual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police and private security with the case of K province in Korea. Chapter Ⅳ is a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methods are presented for establishing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private security system.
First of all, looking at the operational side, both organizations should share crime information. To do this, they need to conduct joint and connected patrol for crime prevention and hold regular meetings among the agencies concerned.
The change in the understanding of private security guards and policemen is needed. It is important that security guards have an understanding that they are the main body of crime prevention, as well as they take pride in themselves in that the business of private security has the public good.
Lastly, to upgrade the quality of private security guards, a qualific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guards should be instituted, and every effort to inspire their morale should be made.
To ensure excellent security guard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ff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field-oriented training and specialized education in each field should be prepare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