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발해 도성의 의례공간과 왕권의 위상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7-168(32쪽)
KCI 피인용횟수
7
제공처
발해 도성은 내성이 외성의 중북부에 위치했을 뿐만 아니라, 중축선에 의한 좌우대칭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경성이 삼중성으로서 위와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는것과 달리 서고성이나 팔련성은 내외 이중성이다. 세 도성은 그 규모와 평면에서 그다지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발해 도성의 입지조건으로는 농업·유목접경선의 남쪽에 접한 농경지대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구국, 중경, 상경, 동경의 네 곳의 도성의 방어체제가 당, 말갈(흑수말갈)이나 거란을 주로 고려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농경 지역에 대한 통치기능과 유목 지역에 대한 외교적 정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곳이 선택된 것이다. 또한 발해 도성이 가로구획을 통한 계획도시라는 점에서 발해의 국가 전략을 엿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발해는 天孫의식을 가진 동북아시아의 覇者로서 천하에 그 위엄을 드러낼 수 있는 도성을 만들고자 하였다. 때문에 고구려의 도성과 수당의 도성을 연구하고, 또한 일본의 도성도 참고하여 도성계획을 수립하였다. 발해가 상경성의 전체 구도와 구획에서 수당의 장안성을 참고한 것은 황제국의 위상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고, 궁전의 배치를 고구려의 안학궁 궁전과 같이 한 것은 천손으로서의 고구려 계승의식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The basic features of the castle town of Balhae are the inner castle located in northern central part of the outer castle and the bilateral symmetry by the axis line. Unlike Sanggyeong Castle has those features as a triple castle, Seogo Castle and Palryeon Castle have no outer castle wrapping around the outside as a dual castle in and outside. The three castle towns are a dual or triple castle,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in size and plane among them.
The stepwise construction theory that focused on the scale development of Seogo Castle-Sanggyeong Castle-Palryeon Castle in the Chinese academic world wa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he castle town system of Balhae was the complete embodiment of the experiences of Seogo Castle, which was thoroughly constructed by mimicking the format of Jangan Castle, in the middle 9th century. It emphasizes the influence theory that the capabilities and cultural level of Balhae grew and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Tang Dynasty. However, it should be reviewed again given that the palace arrangement phenomenon of Sanggyeong Castle was different from the Taegeuk and Daemyeong Palace of Jangan Castle in certain ways and that “Gyeongoimaejang” proves the existence of urban planning for Sanggyeong Castle.
Finally, Balhae’s space dominance through its castle town was examined in two aspects. As for the conditions of location of its castle town, it was situated in the agricultural areas adjacent to the agricultural and nomadic line in south, which is also demonstrated in the defense system of the castle town in Guguk, Junggyeong, Sanggyeong, and Donggyeong that usually considered Tang Dynasty, Malgal(HeuksuMalgal) and Kitan. They chose a location from which they could perform the ruling function over the agricultural areas and the diplomatic and political functions over the nomadic areas. The fact that the castle town of Balhae was a planned city through road blocks gives some clues about its national strategies.
In addition, Balhae wanted to build a castle town to show its majesty as the supreme ruler of Northeast Asia with the consciousness as the descendent of Heaven throughout the world, thus investigating the castle town of Doseong and Sudang in Goguryeo and consulting the castle towns of Japan to make a castle town plan. Balhae consulted the Jangan Castle of Sudang for the overall composition and zoning of Sanggyeong Castle to demonstrate its status as an imperial state and followed the Anhak Palace of Goguryeo for its palace arrangement to manifest its consciousness of inheriting Goguryeo as the descendent of Heave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