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북진흥계획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창지투개발계획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5-140(26쪽)
제공처
소장기관
2009년말 기준으로 중국의 수출규모는 세계 1위로 올라선 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중국의 GDP가 세계 2위를 차지하게 되면서 중국은 이제 세계에서 미국과 G2의 위치와 역할을 차지하게 되었다. 중국은 1978년 덩샤오핑이 표방한 개혁개방노선을 추진한 지 30년을 지나오면서 연해지역개발에 성공한 데 이어, 최근에는 그동안 낙후지역이었던 동북3성지역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09년 11월 18일 중국 국무원은 두만강유역개발개방선도구: 창-지-투를 중심으로(이하 ``창지투개발계획``)을 중앙정부차원에서 국가전략사업으로 선정하고 비준하였다. 창지투개발계획은 1차적으로 중국 동북지역의 개발사업의 성격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적 성격을 벗어나 주변국인 북한, 러시아, 몽골, 한국, 일본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밖에 없는 국제적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복잡하고 예민한 개발계획이라고 분석된다. 하지만 중·북·러는 창지투의 핵심국가로 분류되며, 한·몽·일은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 배후국가들이라고 그 성격을 규정할 수 있다. 중국동북진흥계획은 1992년에 유엔의 UNDP가 두만강유역공동개발계획을 제안하였으나, 관련국들의 참여와 투자유치 부진 및 국제적 문제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과거사례에 비추어 볼 때, 창지투개발계획은 향후 성공여부와 국내외에 미치는 영향력 및 그 파급효과는 어느 정도가 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관심사안일 수밖에 없다. 창지투개발계획에 대해서 한국은 향후 어떠한 대책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의제가 될 것이다.
더보기In late 2009, China`s exports were ranked as first in the world and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its GDP was ranked second in the world. Therefore, China has achieved the position and role of G2 just behing the United States. As China has successfully developed its coastal waters for 30 years since its Economic Reform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led by Deng Xiaoping, that started in 1978, it has spurred development of the three northeastern Chinese provinces. On November 18, 2009, the government of China designated the Changchun-Jilin-Tumen Development Plan as a national strategic project and ratified it. Analysis of the plan shows that it is very complicated and sensitive in that it cannot help but be related with North Korea, Russia, Mongolia, South Korea, and Japan although its focus is on the northeast provinces of China. However, China, North Korea and Russia are classified as central nations to the development plan, and South Korea, Mongolia, and Japan are included to a lesser extent.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suggested a joint development plan for the Tumen River Basin in 1992, but no special results have been achieved due to international problems such as the poor participation of relevant nations and low investment. Therefore, in considering the past case, the Changchun-Jilin-Tumen Development Plan is very important in respect to its future success and its influence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What measures South Korea should take in respect to the development plan of China will be a very important issu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