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소아 천식 환아에서 유도 객담내 호산구수와 Eosinophil Cationic Protein의 진단적 의의에 관한 연구 = Significance of Eosinophils 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in Induced Sputum in Childhood Asthma
저자
발행기관
대한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llergolog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KDC
516.939
등재정보
KCI등재,ESCI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7-177(11쪽)
제공처
목 적 : 기관지 천식은 비만 세포와 호산구의 침투를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천식 환아에서 기도의 염증 정도를 알기 위해 유도 객담내 호산구와 객담 ECP, 천식 증상의 정도, 폐 기능, 베타콜린에 의한 비특이 기관지 과민도와의 관계를 비교하고 또한 말초 혈액 호산구및 혈청 ECP와 비교하여 유도 객담내 호산구와 ECP의 진단적 의의를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1997년 11월에서 1998년 6월까지 대구파티마병원 소아알레르기 진료실을 내원한 6세 이상의 아토피성 소아 천식 환아 40명을 천식 증상을 동반한 현재 천식군(A군) 15명과 최근 2주간 증상이 없는 25명의 안정 천식군(B군)으로 구분, 고농도 식염수(3% 혹은 4.5%)를 분무 흡입하여 배출된 객담을 0.1% dithiothreitol로 처리, 원심 분리 후 부유액은 -70℃에 냉동 보관 후 ECP를 측정, 침전물은 cytospin 처리 후 Wright 염색하여 세포 백분율을 구하여 객담 호산구와 객담 ECP, 증상의 정도, 폐 기능, 메타콜린에의한 비특이 기관지 과민도와의 관계를 비교하고, 말초 혈액 호산구 및 혈청 ECP와 비교하였다.
결 과 :
1) 객담 호산구수는 정상군에 비해 천식군에서(P<0.01), 천식군의 경우는 B군에 비해 A군에서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P<0.05).
2) 천식군에서 객담 호산구수와 천식 중상 정도와의 관계를 보면 천식 중상이 심할수록 객담 호산구수가 높게 나타났다(r=0.76, P<0.01).
3) 현재 천식군에서 객담 호산구수와 FEV_1과의 관계를 보면 객담 호산구수가 낮을수록 FEV_1이 높게 나타났다(r=-0.65, P<0.01).
4) 안정 천식군애서 객담 호산구수와 LogPC_20치와의 관계를 보면 객담 호산구수가 낮을수록 LogPC_20치가 높게 나타났다(r=-0.45, P<0.05).
5) 천식군에서 객담 호산구수와 객담 ECP치와의 관계를 보면 객담 호산구수가 높을수록 객담 ECP치가 높게 나타난다(A군: r=0.77, P<0.01,3군; r=0.39, P<0.05).
6) 천식군에서 객담 호산구수와 혈청 ECP치와의 관계를 보면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7) 천식군에서 객담 호산구수와 말초 혈액 호산구수와의 관계를 보면 A군에서만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67, P<0.05).
결 론 :유도 객담내 호산구와 ECP는 소아 천식에서 기도의 염증 정도를 평가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고 말초 혈액 호산구 및 혈청 ECP와의 관계는 향후 좀더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irway eosinophilic inflammation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asthma. Sputum analysis can be used as a non-invasive tool to assess severity of the airway inflamm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relationships between sputum eosinophils to other parameters of airway inflammation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utility of sputum eosinophils and ECP in childhood asthma.
Methods : A total of 40 asthmatic children over 6 years of ag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Group A of 15 current symptomatic subjects and Group B of 25 stable asymptomatic subjects with history of asthma for 2 weeks. Eosinophils in induced sputum were compared with the severity of asthma symptom, pulmonary functio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by methacholine, sputum ECP, blood eosinophils and serum ECP.
Results :1) Asthmatics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sputum eosinophils than the control subjects(15.2±17.8% VS 3.8±4.5%, P<0.01). Group A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sputum eosinophils than group B(22.9±21.7% VS 11.2±14.8%, P<0.05). 2) Sputum eosinophils were correlated with symptom scores in asthmatics(r=0.76, P<0.01), inversely correlated with FEVI in group A(r=-0.65, P<0.01) and with LogPC2o in group B(r=-0.45, P<0.05). 3) Sputum eosinophils were correlated with sputum ECP for group A; r=0.77(P<0.01) and for group B; r=0.39 (P<0.05) but not correlated with serum ECP. 4) Sputum eosinophils were correlated with blood eosinophils in group A(r=0.67, P<0.05), but not in group B.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portion of eosinophils and the level of ECP in induced sputum may be sensitive and accurate means of assessing the airway inflammation in childhood asthma,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blood eosinophils or serum ECP are to be studied further.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