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장애아동 교육 상담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The reality and the awareness of teachers in educational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49-370(22쪽)
KCI 피인용횟수
6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특수학교 초등부와 일반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아동 교육상담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초등특수교사의 교육상담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봄과 동시에 현장에서의 교육상담에 대한 필요정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부산지역 특수학교 초등부 및 일반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초등특수교사(N=237)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부모, 담임 이외 교사, 기타 인적자원과의 장애아동 교육상담은, 방과 후 10분 가량씩 교실에서 아동의 이해 및 정보수집을 위해 실시되고 있었으며, 주로 상담일지를 이용한 대면상담의 방법을 사용하되 개방적 질문의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다른 인적자원과의 연계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내 별도의 상담을 위한 공간 마련 및 인터넷 카페, 동호회 활용 등을 통한 수시상담이 활성화 되어야 함을 의미함과 동시에 장애아동에게 질 높은 최상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아동과 관련이 있는 치료사, 활동보조인 등과 정기적인 상담일자를 정하는 등과 같은 기타 인적자원과의 상담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한편, 교육상담이 가장 필요한 대상자는 학부모로 아동의 학습과 행동에 관한 정보제공 및 공유를 위해 교육상담이 필요하고, 학년 적응기에 방과 후 교실에서 30분 정도씩 대면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업무과다로 인한 시간 부족은 교육상담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희망하는 연수 프로그램으로 상담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많이 듣고 싶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육상담에 대한 요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상담에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없는 현장 교사들의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써 일선 현장에서의 노력도 중요하겠지만 시도 교육청 차원의 상담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연수기회 마련, 국가 차원의 교수학습자료 개발을 통한 교사의 업무 부담 경감 등 근본적인 정책들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교육상담에 대한 만족도와 필요도는 전반적으로 보통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변인에 따라서는 교육경력이 많고 상담관련 연수경험이 있으며 특수학급 교사인 경우 만족도와 필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이라는 현장에서의 특수성으로 인해 상담관련 요구가 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특수학급 교사의 경우 만족도가 높은 만큼 그 필요에 대한 요구도 높았음을 짐작할 수 있으며, 상담에 대한 필요성을 알고 그와 관련된 연수를 들은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러한 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더 상담의 필요를 절감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시도교육청 차원의 통합환경인 특수학급 교사의 상담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연수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시함과 동시에 교육상담에 대한 필요성을 특수교사뿐만 아니라 일반교사와 부모, 기타 인적자원으로까지 확대하여 인식시키는 적극적인 노력들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satisfaction degrees in educational counsel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investigate necessity of educational counseling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reality in educational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in elementary special school and special classroom within an ordinary school. To do this, 237 teachers who teach in elementary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rooms within ordinary schools were survey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Crosstabulation Analysis using SPSS and the result ha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educational counseling with special children was taken place in the classroom with their parents, other teachers, and other human resources for about 10 minutes after school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children and collecting information, conducting face to face counseling using a counseling diary with open questions. The counseling was not connected with other human resources. This result showed that separate spaces for counseling and more counseling at any time, such as on-line counseling or a club, were needed. Also, to offer the best education to special children, other endeavors as counseling more regularly with other human resources, such as therapies who are related to the children, or assistants, should be advanced.
Meanwhile, those who need educational counseling most for offering and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children's learning and behavior were parents, and face to face counseling should be done for 30 minutes in classroom after school for adjusting to school system. However, it was shown that the time shortage caused by the excessive loads of teacher was turn out to be one of the reasons which impeded the educational counseling. And the teachers wanted to be participated at counseling programs. This results implied to the reality of the teachers who cannot fully invest their time in spite of the need for educational counseling. Thus, fundamental policies, such as more advertisement or opportunities for training about educational counseling, or excessive load relief through the developmen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improved.
Second,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degree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counseling were recognized and showed at high level for those who had more educational careers and experiences. It showed that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had high demands for educational counseling and those who knew the necessity for counseling and had more experiences on counseling perceived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counseling more than those who did not know and have. Therefor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planned and put in effect, based on understanding the need for counsel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necessity for educational counseling should be recognized teachers in ordinary schools, parents, and other human resources as well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6-1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1 | 1.15 | 1.374 | 0.3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