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ye 症候群의 腦波所見 = Electroencephalography in Reye's syndrome
저자
朴寧雨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神經精神科學敎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2
작성언어
Korean
KDC
51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67-273(7쪽)
제공처
Reye 症候群의 腦波所見을 硏究하기 위해 1979년 12월부터 1982년 12월까지 慶北醫大附屬病院 腦波檢査室에서 腦波檢査를 實施한 이 症候群 患兒 8名의 腦波記錄과 그들의 臨床資料를 調査分析했던바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腦波檢査를 實施한 8名中 5名에서 異常腦波를 나타냈는데, mild abnormality가 2名, moderate abnormality가 2名, marked abnormality가 1名이 었다. 그리고 異常腦波의 異常程度가 marked abnormality 또는 이보다 좋게 분류됐던 모든 患兒들은 완쾌되거나 호전되어 생명을 건졌다.
clinical seizure는 이 急性疾患의 경과중 아주 빈번했다. 그러나 독특하게도 clinical seizure는 있었지만 epileptiform discharge의 發顯은 없었다.
그외 암모니아혈중농도, 肝기능, 뇌척수액압등은 EEG 변화와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아울러 장차 EEG on-line monitoring과 콤퓨터分析을 施行한다면 강력한 치료를 이 症候群의 어느 시기에 시작하는 가를 결정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study EEG findings in Reye's syndrome, the EEG records in relation with clincal data in 8 children who had been diagnosed as Reye's syndrome were analized. The selected examinee were those who had been taken EEG examination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hospitalization periods from Dec. 1979 to Dec. 1982.
Out of total eight cases, five showed abnormal EEG; mild abnormality in two, and marked in one. All patient whose EEG was classified as marked abnormality or above survived.
In seven cases, seizures were common during the courses of their illnesses. But, curiously, the athor could find little temporal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and electrographic seizures in seven cases.
Blood ammonia, liver function, and CSF pressure were not closely correlated with the EEG changes.
In the future, EEG on-line monitoring and computerized evaluation will likely be useful for aggressive therapeutic interven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