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와인축제 방문객 분석 및 축제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Development Strategy and visitor`s Analysis for Wine Festival : On Cases of International Food & Wine Festival in Daeje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9-135(7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푸드&와인 페스티벌 사례를 중심으로 와인축제 기간 동안 행사장을 다녀간 축제 방문객의 특성과 관광형태, 소비지출 성향 등을 파악함으로써 방문객들의 축제 참여 목적 및 행태를 파악하는데 있다. 또한 국내 와인축제로서 대전 푸드&와인 페스티벌 사례를 통해 와인축제가 지속적으로 변모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보다는 여성들의 와인축제에 대한 관심도와 참여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소주나 위스키 같은 고도주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남성보다 맥주나 와인 같은 저도주를 즐기는 여성들의 선호도와 관련이 있다. 둘째, 연인 및 친구 단위 방문객과 가족단위 방문객을 포함한 방문객의 비율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함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와인의 특성상 와인 음용이 주로 연인, 가족, 친구 및 SNS를 통한 동호회 모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셋째, 방문객 대상 행사장내 필요한 정보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다수인 44.4%가 ‘와인구매 및 와인 고르는 방법’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와인상식과 식문화에 쉽게 접근 가능한 세미나 프로그램 보완이 필요하다. 끝으로 대전 국제 푸드&와인 페스티발 사례를 통한 와인축제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내외 다양한 와인 및 음식축제와 협력 및 홍보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와인과 문화공연을 결합한 차별화된 예술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와인관련 산업형 이벤트 비중을 높여 와인 생산자 및 유통사업자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공간 창출로 와인축제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넷째, 다양한 방문객 니즈(needs)와 원츠(wants)에 부응하는 주변 관광 프로그램과 연계 및 방문객 와인 가격선호에 따른 티켓 판매가 필요하다. 끝으로 방문객에게는 다양한 와인시음 및 음식축제의 즐거움 제공과 식음료 할인 구매기회를 통해 재방문을 유도하고 와인과 식문화 그리고 비즈니스가 접목된 식음료축제로 가치를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This study focuses on Daejeon International Food & Wine Festival and aims to examine visitors’ characteristics, types of tourism, and tendency of consumption to find out their purpose of visit and attitude. Also, by examining the domestic wine festival, it searched ways to make the wine festival change continuously.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female visitors is related to their preference for low alcohol such as beer and wine compared to the male preference for high alcohol. Second, the ratio of visitors such as couples, friends, and families was high, which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ose who drink wine are mainly families, friends and groups organized through SNS. Third, in the analysis on the information visitors felt needed in the festival, 44.4% replied they needed information on ‘how to choose and purchase wine’, reflecting the need of seminar programs that make easy access to knowledge and culture about wine. Lastly, ways to improve wine festiv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cooperation with various wine and food festivals and ways of promotion. Second, distinguished artistic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combining wine and cultural performance. Third, by raising the ratio of events of wine-related industry, there should be efforts for differentiation that provides networking opportunities to connect wine producers and distributors. Lastly, by providing visitors with chances to experience various wine and food and to purchase them at lower prices, the festival should become a highly-valued food and drink festival that combines wine, dietary culture, and business.
더보기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푸드&와인 페스티벌 사례를 중심으로 와인축제 기간 동안 행사장을 다녀간 축제 방문객의 특성과 관광형태, 소비지출 성향 등을 파악함으로써 방문객들의 축제 참여 목적 및 행태를 파악하는데 있다. 또한 국내 와인축제로서 대전 푸드&와인 페스티벌 사례를 통해 와인축제가 지속적으로 변모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보다는 여성들의 와인축제에 대한 관심도와 참여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소주나 위스키 같은 고도주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남성보다 맥주나 와인 같은 저도주를 즐기는 여성들의 선호도와 관련이 있다. 둘째, 연인 및 친구 단위 방문객과 가족단위 방문객을 포함한 방문객의 비율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함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와인의 특성상 와인 음용이 주로 연인, 가족, 친구 및 SNS를 통한 동호회 모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셋째, 방문객 대상 행사장내 필요한 정보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다수인 44.4%가 ‘와인구매 및 와인 고르는 방법’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와인상식과 식문화에 쉽게 접근 가능한 세미나 프로그램 보완이 필요하다. 끝으로 대전 국제 푸드&와인 페스티발 사례를 통한 와인축제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내외 다양한 와인 및 음식축제와 협력 및 홍보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와인과 문화공연을 결합한 차별화된 예술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와인관련 산업형 이벤트 비중을 높여 와인 생산자 및 유통사업자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공간 창출로 와인축제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넷째, 다양한 방문객 니즈(needs)와 원츠(wants)에 부응하는 주변 관광 프로그램과 연계 및 방문객 와인 가격선호에 따른 티켓 판매가 필요하다. 끝으로 방문객에게는 다양한 와인시음 및 음식축제의 즐거움 제공과 식음료 할인 구매기회를 통해 재방문을 유도하고 와인과 식문화 그리고 비즈니스가 접목된 식음료축제로 가치를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This study focuses on Daejeon International Food & Wine Festival and aims to examine visitors’ characteristics, types of tourism, and tendency of consumption to find out their purpose of visit and attitude. Also, by examining the domestic wine festival, it searched ways to make the wine festival change continuously.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female visitors is related to their preference for low alcohol such as beer and wine compared to the male preference for high alcohol. Second, the ratio of visitors such as couples, friends, and families was high, which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ose who drink wine are mainly families, friends and groups organized through SNS. Third, in the analysis on the information visitors felt needed in the festival, 44.4% replied they needed information on ‘how to choose and purchase wine’, reflecting the need of seminar programs that make easy access to knowledge and culture about wine. Lastly, ways to improve wine festiv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cooperation with various wine and food festivals and ways of promotion. Second, distinguished artistic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combining wine and cultural performance. Third, by raising the ratio of events of wine-related industry, there should be efforts for differentiation that provides networking opportunities to connect wine producers and distributors. Lastly, by providing visitors with chances to experience various wine and food and to purchase them at lower prices, the festival should become a highly-valued food and drink festival that combines wine, dietary culture, and busines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83 | 1.366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