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장르 의식의 소산으로서의 정지용 동시 연구 = A Study on Jeong Ji-yong’s Children’s Verse as a Product of His Genre Consciousnes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71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70(32쪽)
KCI 피인용횟수
5
DOI식별코드
제공처
In children’s verse as a sub-category of children literatu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are ‘children’ as a being with ‘children’s mind’ and the use of a poetic language fit for children’s level. Accordingly, it is the core of discussion on Jeong Ji-yong’s children’s verse to examine how he understands children’s mind and what linguistic.emotional devices he uses in order to narrow the distance to children, the major readers of children’s verse. When we examine the prose included together with the five pieces of children’s verse in the first issue of Hakjo, we can read the writer’s selfconsciousness and his consciousness that the emotion to be contained in children’s verse is the pure and simple mind in childhood that cannot be recovered now in adulthood. Through this, we can find that Jeong Ji-yong did not try it as a practice for writing adults’ verse but created children’s verse based on his deliberation on what contents children’s verse genre should have and in what form.
Researchers’ opinions are not consistent on the number of Jeong Jiyong’s children’s verses. This study sorted out his children’s verses based on:(1) whether they contain emotion and consciousness understandable to children readers; (2) whether they satisfy children readers’ interest in the aspects of linguistic expression and structure; and (3) whether the writer’s genre consciousness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se criteria, we classified 19 pieces of Jeong Ji-yong’s works into children’s verse, and analyzed how Jeong Ji-yong’s genre consciousness of children’s verse was embodied in these verses.
From the aspect of form, Jeong Ji-yong’s verses are similar to other children’s verses in those days in that they pursue a typical meter, but they also show correlation with folk songs as they take the form of 2.foot matching stanza rather than 7.5 meter. In this sense, we can say that Jeong Ji-yong’s children’s verse is diachronically connected to orally transmitted children’s songs. Other distinctions of his children’s verse from adults’ verse are the use of plain poetic language and the use of sound symbols for producing an animated environment.
From the aspect of contents, on the other hand, his poems reveal strongly the absence of family and the resultant sense of loss. It may be valid to view that this is not from his real life events but from the influence of the trend of children’s verses in his days. It is because the sorrowful emotion arising from the absence of family members was a tendency observed commonly in children’s songs and verses in those days. It is also a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s of his children’s verse to listen to children’s life emotion and to describe innocent children sympathizing with nature.
정지용이 동심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그가 동시의 주된 독자인 아동과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어떠한 언어적·정서적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은 정지용 동시 논의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학조 창간호에 수록된 정지용의 시편과 줄글을 중심으로 동시에 대한 정지용의 장르 의식을 규명하고, 그것이 작품 속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이 글에서는 (1) 아동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서와 인식을 담고 있는지,(2) 언어 표현과 구성 면에서 아동 독자의 흥미를 충족시키는지, (3) 작가의 장르 의식이 드러나는지를 기준으로 정지용의 동시 작품의 목록을 정리하였다. 이에 따라 그의 작품 중 총 19편을 동시로 규정하였다.
형식면에서 정지용의 동시는 정형적 율격에 대한 지향을 보인다는 점에서 당대 동요 장르들과 유사하지만, 7·5조가 아닌 2음보 대응 연첩의 형식을 취하고 있어서 민요와의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소박한 시어의 사용이나 발랄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음성상징어의 사용 등도 그의 동시가 성인시와 차별화되는 점이다. 내용면에서는 아동의 생활에 기반한 정서를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의 동시 중에는 가족의 부재와 그로 인한 상실감을 진하게 드러내는 작품이 많는데, 이는 그의 생애사적 사실에 기인한다기보다는 당대 동시들의 작품 경향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아동의 생활 정서에 귀를 기울이고 자연과 교감하는 천진난만한 아동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또한 정지용 동시의 특징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1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 | 0.9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4 | 1.458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