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원 레이저 센서 데이터의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자율 주행 구간 및 선회 인식 방법 연구 = Study on Recognition of Autonomous Traveling Range and Turning Using Clustering Methods of 2-Dimensional Laser Sensor Data
저자
김국환 ( Gookhwan Kim ) ; 이재수 ( Jaesu Lee ) ; 한길수 ( Kilsu Han ) ; 이현동 ( Hyundong Lee ) ; 이상규 ( Sanggyu Lee ) ; 홍영기 ( Youngki Hong )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주제어
KDC
5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8-158(1쪽)
제공처
자율주행 농기계를 구현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주변의 환경을 인식하고 그 환경에 따라 문제 없이 이동하는 것과 작업 구간을 벗어 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선회하는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단순한 센싱 메커니즘과 저렴한 센서를 활용하여 제품의 단가를 줄이는 것 또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레이저 센서만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영상화한 후, 클러스터링 기법(cluster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주행 구간을 결정하여 과수원 사이를 안정적으로 주행하면서 선회 구간을 인식, 판단하여 안정적으로 다음 작업열로 진입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고 시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작물열 및 선회 구간 인식을 위해 자체 제작한 로봇 플랫폼을 사용하였고, 작물열, 장애물 및 선회 구간인식을 위해 로봇의 전, 후방에 이차원 레이저 거리 센서(SICK, LMS111모델)를 장착, 사용하였다. 작물의 위치 식별 시스템을 활용하여 로봇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나무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algorithm)을 사용하였는데, K-means 클러스터링 기법은 두 열의 작물열을 대표하는 둘 중 하나의 클러스터를 측정 지점으로 할당하는 방식으로 개별 작물들은 하나 이상의 레이저 센서로 측정되어 각 나무 주변으로 측정 지점에 대해 작은 클러스터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로봇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작물 기준점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구하고, 그 거리가 작물간 간격의 0.75배보다 작으면 동일한 지점으로 간주하여 동일한 클러스터로 할당하였고, 유클리디안 거리가 0.75배보다 크면 새로운 클러스터로 할당하는 방식으로 작물열에 대한 클러스터를 구성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얻어진 클러스터들을 기반으로 선회 구간의 인식 방법에도 적용하였다. 선회 구간 인식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선회 구간에 도착하였을 때를 판단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레이저 센서로 작물열을 판단하기 위해 작물의 위치 정보를 클러스터 형태로 저장하였기 때문에 레이저 센서의 측정 범위와 작물열간 거리를 고려하면 한번의 스캔으로 측정 가능한 작물의 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렇게 검출된 작물에 대한 클러스터의 수가 과수열의 누락을 고려하여 4회 연속 존재할 경우 주행구간으로, 4회 이하로 존재할 경우에는 로봇은 선회 구간이라고 판단하여 로봇의 선회 및 다음 작업열로 진입하는 방식으로 선회하였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