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희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본 학술적 글쓰기의 효율적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f an Efficient Educational Method to Teach Academic Writing Based on a Kyunghee University Course - Focusing on the process of writing an articl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37-372(36쪽)
KCI 피인용횟수
6
DOI식별코드
제공처
‘학술적 글쓰기’는 대학 글쓰기의 주요한 위치로 자리매김하며, 그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그러나 ‘논문쓰기’라는 학술적 글쓰기의 본령이 강의의 실제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서 본고는 경희대학교 학술적 글쓰기인 〈글쓰기2〉강좌를 대상으로, 새로운 이론의 접목과 같은 거창한 방안이 아니라 학습자의 입장에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점 방안은 5단락 글쓰기의 연습을 통해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기초체력을 기르는 한편, 반개방적 테마를 제시하여 조별아이디어를 협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학술적 글쓰기의 초반 단계에서 겪게 될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더불어, 공통의 관심사에 대한 소통을 통해 자신의 문제의식을 예각화하여 궁극적으로는 각자 하나의 논문을 완성하게 하고, 논문을 써나가는 과정 속에서는 다시 함께 협업할 수 있도록 지도했다. 이 과정에서 교수자는 매주 조별 단위로 실질적인 합평을 진행하며 개별적 피드백을 온전히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제시한 수업 모형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역시 만족스러운 편이었으며, 논문에 대한 접근성 또한 개인적으로 접근할 때에 비해 상당부분 향상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와 같은 ‘소통’과 ‘협업’에 중점을 둔 개별 논문 작성이라는 ‘학술적 글쓰기’의 수업 모형을 더욱 정치하게 발전시켜 나갈 필요성이 있다. 나아가 본 논의의 수업모형이 논문이라는 테두리를 벗어나 ‘학술적 글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교수자-학습자 사이에 실질적인 효용성을 갖출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Academic writing has become the standard for writing at universities. However, the pinnacle of academic writing, “writing a thesis,” is accompanied by various difficulties in the actual practice of lectures. In this regard, this article present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academic writing 〈Writing 2〉 at Kyunghee University, one that emphasizes class participation and the learner’s perspective. This method aims to develop basic skills in academic writing through the practice of writing five-paragraph essays and allowing students to collaborate on group ideas by presenting semiopen themes for essay topics. This allows learners to minimize the confusion they will encounter in the early stages of academic writing. In addition, through communication about common interests, the learners become aware of their writing problems, complete a single paper, and learn to collaborate during the process of writing a thesis. By using this methodology, the instructor is able to evaluatie each student’s writing on a weekly basis and provide individual feedback.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presented teaching model were satisfactory, and access to the theses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when they were accessed individual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urther develop the teaching model of academic writing to focus 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addition, I hope that the teaching model discussed in this paper will move beyond its use for thesis writing and have practical utility for teachers and learners who have difficulty in academic writing.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6 | 1.173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