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사회의 이미지를 통해 본 시뮬라시옹의 효과 = Simualion effect through image of consumer society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 2007. 2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한국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ⅷ, 48 p. ; 26cm
소장기관
Art not only has been reflected on current spirits and states in the flux of art history, but also perceived problems of human-being society by a special way, and has been influenced to human-life and culture through various changes. This thesis which are related to either my own work process or explanation is observ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ossibilities of various expression ways in terms of images that are manufactured and consumed in the state of post-modernism as one of period syndromes.
In this thesis, I especially concentrate on finding out reality images that my works are dealing with and ways that are representing to. The continuos development of reproduction technology and mass production of the industrial period after inventing the camera in 19th century, resulted the crisis of traditional painting spirits. Painting cannot be a competitor of photography in aspects of its own faithful representation of nature. Photography also can be existed as an original piece when it becomes to be reproduced. As a result, it blurs the border between reproduction and the original work and makes possible to reproduce without any limits. Also capitalized production is available to reach art to the point of mass-production. Nowadays images are possible to keep in touch with many kinds of type through such as newspaper, mass-media and magazines etc. by crossing over time and place. By all means mass-media hides away the fact that the actual existence is not tangible and then make to visualize a plausible looks.
I used the expression way, so-called appropriating made-up images in my works. In short, I represented contemporary society that are controlled and manipulated by signs and images, overflowed by signs and images without the actual existence. Advertisement manipulated by virtual images rather tend to speak to consume products than lead to consume objects which are surrounded by social images, namely signs. Therefore my works maintain that publics of contemporary society are obsessed and live in like the fabricated world that are full of such these images and signs. In other words, I try to find out the present age ontological speculation significance which are captured by realistic images that are more real than reality throughout my work. Hence I examined closely the essential aspects of post-modern society through the theory of Jean Baudrillard (1929~), 'Simulation' and poured all my endeavors to provide theoretical basis about my works.
Contemporary painting has been extended the area up to postmodernism where it is freely spreading across the unlimited ground along with the slight slow progress of formalism and modernism. In these context, pluralism can be said to give influences to these tendencies like that contradict the notion of absolute value while it takes a serious view of all the states. Therefore, my works are reflecting the intention of making ambiguous the border between life and art by the way of appropriating the actual objects and mixed media throughout work process.
Also I expressed and interpreted as the other way such as an insatiable strong desire that are people like to posses manipulated images which are endlessly manufacturing by mass-media and meaning that are in the desire with subjective sensibility. In the present age of culture, images and styles are attached importance to and individuals are obsessed by the desire of possessing and showing off images. This generates problems either representing over-eroticism on advertisements because a company and an individual desire engaged each other or we who are exposed by those are dull by fabrication showed by there. Images seem to be simple that are manipulated by mass-media, but those are not simply tell everything. I reveal the hidden fabrication in mass-media images through my works and hope to express the fact that is distorted dangerous desire and that seem to exist as intangible things as like existing at real state, kind of simulation. Thus, I incorporate into my perimeters about the fact that ourselves who are exposed consecutively by these distorted images in mass-media through everyday contacting advertisements in consumer society are unconsciously controlled and lived by the desires.
I think that my works speak volumes in terms of looking dominant advertisements in our life, images and problems of consumer society at cynical perspective and representing to various ways.
While I was writing the thesis I could sort out problems about both of theory and practise of my works along with understanding about contemporary society. Moreover, it guides to find out my next direction of work.
미술사를 흐름에서 미술은 시대의 정신과 상황을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사회의 문제를 특수한 방법으로써 자각하게 하고 다양한 변화를 통해 인간의 삶과 문화에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해왔다. 본인의 작품제작 및 설명과 관련된 본 논문은 시대적 현상으로서의 포스트모던 상황 하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그 이론적배경과 다양한 표현방식의 가능성들을 고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본인의 작품이 다루고 있는 현실의 이미지들과 그것들이 재현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9세기 카메라의 발명 이후 지속된 복제기술의 발달과 산업화시대의 대량생산방식은 기존 회화 정신의 위기를 초래했다. 회화는 자연의 충실한 재현이라는 측면에서 사진의 경쟁상대가 될 수 없었다. 사진은 복제된 그 순간 또한 원작이 되며 이는 복제와 원본 사이의 차이를 흐리게 만들며 원작의 무한한 복제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자본주의적 생산은 예술마저도 대량으로 복제해 내는데 이르렀다. 오늘날 이미지는 신문, 방송, 잡지 등 미디어를 통해 도처에서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형태로 이미지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매스미디어는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실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숨기고 그럴듯한 모습을 만들어 낸다.
본인은 작업에서 허구성을 지닌 이미지를 차용하는 표현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작품을 통해 기호와 이미지에 의해 통제되고 조작되는 현대 사회, 실재가 없이 기호와 이미지만이 넘쳐흐르는 현대 사회를 표현하였다. 가상적인 이미지로 만들어진 광고는 사물을 소비하라고 이야기하기보다(기표:記表), 사물을 둘러싼 사회적 이미지(기의:記意), 즉 기호를 소비하도록 조장한다. 본인 작업에는 현대 사회의 대중들이 이와 같은 이미지와 기호로 이루어진 허상에 사로잡힌 채 살아가고 있음이 표현된다. 다시 말해 본인 작품을 통하여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이미지들에 포착되어 버린 현대의 존재론적 사유의 의미를 모색해 보려고 하였다. 따라서 본인은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1929~ )의 이론인 '시뮬라시옹(Simualtion)'을 통해 포스트모던 사회의 본질적인 측면을 살펴보면서 본인의 작업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다.
형식주의와 모더니즘의 추진이 미미해짐에 따라 현대회화는 거의 무제한의 자유라는 지평으로 확산되는 포스트모더니즘으로까지 그 영역을 확장을 해왔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다원주의는 절대적인 가치의 개념을 부정하면서 모든 현상을 중시하는 경향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는데, 본인이 작품을 표현하는데 있어서도, 매체간의 혼합, 실제 사물들을 차용하는 방식으로 삶과 예술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의도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본인의 작품과 관련하여 매스미디어에 의하여 끊임없이 생산되는 조장된 이미지를 소유하려는 욕망과 그 속에 담겨져 있는 의미를 주관적인 감수성으로 해석하고 표현해보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의 문화에서는 이미지와 스타일이 중시되고, 개인은 이미지를 소유하고 과시하려는 욕망에 사로잡혀 있다. 이는 기업과 개인의 욕망이 맞물려 광고에 과도한 에로티시즘이 표현된다는 거나 이것들에 노출된 우리들이 거기에서 보여 지는 허상성에 무뎌지게 된다는 점 등의 문제점을 방생시킨다. 매스미디어를 통하여 만들어진 이미지들은 단순하게 보여 지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본인은 작품을 통해 매스 미디어의 이미지 속에 숨겨진 허상성을 폭로하고,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려는 욕망(일종의 시뮬라크르)이며 왜곡된 위험한 욕망임을 나타내려고 하였다. 따라서 소비사회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광고를 통하여 매체 속에 왜곡된 이미지들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우리들이 무의식적으로 욕망에 지배당하며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본인 작업에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인의 작품은 20세기 후반과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으로서,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광고, 이미지, 소비사회의 문제들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그것들을 다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재현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논문을 쓰면서 현대사회에 대한 이해와 함께 본인의 작품에서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많은 문제점들이 정리되었으며, 앞으로의 작업에 대한 방향설정 또한 가능하게 해주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