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연극치료 즉흥극에서 치료사의 개입과 역동 분석 -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1(4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연구는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의 분석과 활용이 실제 연극치료 사례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즉흥극에서 치료사가 어떻게 개입하는지, 그로 인해 어떤 역동이 발생하는지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참여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에서 하늘과 땅이라는 전혀 다른 배경을 가진 이질적 존재인 나무꾼과 선녀의 결합은 ‘사슴의 보은’으로 이루어지며 방법은 ‘날개옷 감추기’이다. 선녀를 서사적 주체로 바라보면 선녀의 관심은 나무꾼이 아니라 날개옷을 되찾는 것이다.
첫 번째 즉흥극 사례는 일대일 사례로 극 중에서 참여자 A가 선택한 ‘화난 선녀’를 고려하여 치료사는 ‘두려운 나무꾼’으로 즉흥극에서 배우로 직접 개입하였다. 부부 말다툼으로 인한 단순 가출로 아내의 상실을 부인했던 A는 즉흥극을 통해 자신의 폭력 가해를 고백하고 잘못을 인정했으며 아내의 상실을 수용했다.
두 번째 즉흥극 사례는 부부 사례로 부부가 선녀와 나무꾼이 되어 즉흥극을 진행하였고 치료사는 연출로 개입하였다. 선녀탕과 집까지의 거리를 확인하고 무대공간을 설정하여 극적 배경을 명확히 함으로써 나무꾼의 선녀탕과 집까지 반복된 왕복 행동이 의미하는 바를 생각하도록 하였다. 그로 인해 선녀는 압축된 결혼 과정을 돌아보고 ‘불만 많은’ 선녀라는 자기비난에서 벗어나 스스로 자신의 우울을 설명할 근거를 찾았다.
두 사례는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 중 비슷한 부분을 뼈대로 사용하여 즉흥극으로 진행되었다. 즉흥극은 참여자 차이에 따라 다르게 진행되었으며 그 차이에 적합한 치료사 개입으로 참여자의 고정된 관념이나 기존 관계 패턴을 벗어날 수 있었다. 연극치료에서 참여자의 극 중 역할 입기는 다른 사람이 되어보는 경험, 또 다른 나와 마주치는 경험인 동시에 낯선 타자인 치료사와의 관계 맺음으로 기존 정체성에서 벗어나 새로운 ‘되기’의 경험이다.
언어를 포함한 몸을 통한 즉흥극에서 치료사는 참여자의 언어뿐만 아니라 몸짓, 인상, 태도, 이미지, 침묵, 공간과 시간이 어떻게 극 속에서 변형되는지 과정으로써 진단하고 언제든 새로운 정보가 들어오면 기존의 진단을 수정해 나가야 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participant change by analyzing in detail how the analysis and use of the story of "The Fairy and the Woodman" is performed in actual theater therapy cases, how the therapist intervenes in improvisation, and what dynamics arise. In the story, the combination of the woodcutter and the fairy, who are heterogeneous beings with completely different backgrounds of heaven and earth, is made up of 'deer's reward', and the method is 'hiding the wing clothes'. Regarding the fairy as a narrative subject, the fairy's interest is not to the woodcutter, but to regain the wing clothes.
The first case of improvisation involves a one-on-one scenario, where the therapist intervenes directly as an actor portraying the fearful woodcutter, considering the angry fairy chosen by Participant A in the play. A, who had initially denied his wife's departure as a simple runaway caused by a marital argument, confessed his violence, admitted his wrongdoing, and accepted his wife's loss through the improvisation. The second case of improvisation involves a couple, who take on the roles of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this case, the therapist intervenes as a director. By asses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airy pond and the house, setting a stage space, and clarifying the dramatic background, the meaning of the repeated round trips to the house and the fairy’s journey was explored. As a result, the fairy reflected on her compressed marriage process, overcame her self-criticism as dissatisfied fairies, and found a foundation to explain her depression.
Both cases used a similar part of the story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as a framework for improvisation. The improvisation was conducted differently based on the participants' differences, and the therapist’s intervention, tailored to these differences, allowed the participants to break free from fixed notions or established relationship patterns. In theater therapy, a participant's role in the play is an experience of becoming someone else, encountering another person, and at the same time, experiencing a new "being" apart from their existing identity, by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a therapist who is an unfamiliar figure.
Through improvisation using both body and language, the therapist observed how the participant's language—along with gestures, expressions, attitudes, images, silence, space, and time—transformed within the play. This allowed the therapist to adjust existing diagnoses whenever new information emerge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