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 이전의 주몽(朱蒙) 신화(神話) -책략적(策略的) 영웅들의 행방- = Jumong Myth before the Stele for King Gwanggaet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어문논집(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48(44쪽)
제공처
이 논문은 414년에 세워진 「廣開土王陵碑」를 핵심 자료로 삼아 그 이전의 주몽 신화가 어떠했는가를 논한 것이다. 「광개토왕릉비」와 『위서』 고구려전은 주몽 전승에서 해모수-하백 대결과 유화 추방이라는 화소들이 5, 6세기보다 뒤에 첨가되었으리라는 추정의 근거로 자주 거론되었다. 그러나, 서사 단위들의 의존 관계를 분석해 보면 이 문헌 증거들의 해석은 역전되어야 한다. 유화가 금와왕의 궁궐에 갇혀 신비로운 빛을 받고 회임하려면, 먼저 수궁으로부터의 추방과 그것을 불가피하게 하는 원인이 있어야 한다. 해모수의 북부여 강림, 詭術에 의한 유화 포획, 혼사를 둘러싼 해모수-하백의 경쟁과 책략 등이 이를 위한 서사단위로 긴밀하게 얽혀 있다. 「광개토왕릉비」가 이 모두를 생략하고 추모왕의 신성한 혈통만을 강조한 것은 비문의 제약과 정치적 수사의 필요성 때문이지, 당시까지의 고구려 건국 신화가 천상에서의 행복한 혼인·출산과 주몽의 북부여 강림 및 여유로운 南行으로 구성되었다는 증거가 되지 못한다. 서두 부분과 함께 책략적 영웅의 모습이 뚜렷한 주몽-비류국왕 대결 단락은 서사 내용과 고구려 정치사의 조응 관계에서 3세기 말 이전의 정착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詭計와 주술로써 비류국왕을 굴복시키는 ``성스러운 탈취``는 주몽 신화의 桂婁部 중심적 시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치적 인식의 지형으로 볼 때 이 단락은 두 개의 동심원으로 이루어진 집단 구획에서 안쪽 원의 ``우리``인 계루부가 그 바깥의 ``저들``인 비류국과 대결하여 승리하고, ``더 큰 우리``라는 外圓에 포섭하는 이야기가 된다. 이러한 집단 의식의 중층성은 계루부 왕권의 성장이 아직 部 체제의 간극을 해소하는 데까지 이르지 못한 정치사적 상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광개토왕릉비를 이정표로 삼을 때 그 이전의 주몽 전승에 가장 가까운 것은 이규보의 「동명왕편」에 原註로 수록되어 전해지는 ``구삼국사``의 자료다. 『삼국사기』의 주몽 신화는 ``구삼국사``본의 신이한 부분을 덜어내고 축약하면서 『위서』 등을 부분적으로 참고한 재편집본의 차원을 벗어나지 못한다.
더보기This paper is to establish a clearer understanding of Jumong myth`s narrative units before the Stele for King Gwanggaeto(A.D. 414). The beginning part of the King Gwanggaeto inscription has often been quoted as an evidence for the assumption that those episodes of Haemosu-Habaek confrontation and Yuwha`s being banished to earthly region were formed after 5th or 6th century. However, close analysis of narrative dependency lying in Jumong myth tells us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is evidence should be reversed. Yuwha should be banished from the Water Palace for some inevitable reason before she become pregnant by the mystic light which came into a closed room of King Geumwa`s palace. The coming down of Haemosu to north Buyeo, his tricky seizure of Yuwha, and confrontation betweeen Haemosu and Habaek for the divine marriage, all of these episodes are closely intertwined as the narrative requirement for mystic conception. It`s because of the need for political rhetoric and the limitation of inscription text that the inscription laid great emphasis on the divine heredity at the sacrifice of these episodes. As well as the beginning episodes of the Jumong myth, the unit of confrontation between Jumong and King of Biryu has semantic correspondence which strongly suggests that it was settled down before the end of 3rd century. The episodes of divine seizure of Biryu Kingdom by way of tricks and magic has close connection with the Gyeru group centered point of view. In the map of political recognition underlying the Jumong myth, Gyeru which moved from the north takes the inner circle outrivals other native groups which take the outer circle area. This concentric circle of collective consciousness seems to be based on the political situation of Goguryeo kingship which could not dissolve the relative distances between those groups incorporated to the kingdom. Thus we may conclude that the text in the ``Old Historical Record of Three Kingdoms`` which was transmitted as commentary notes to the ``Song of Dongmyeong`` contains the nearest tradition of Jumong myth before the early 5th century. It is to be emphasized here again that the text in the ``Historical Record of Three Kingdoms`` has some narrative blanks/distortions originating from the 12th century scholars` confucian rationalization and editorial interven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