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 고혈압 환자에서 후두경하 기관내 삽관시 Propofol 혹은 Thiopental Sodium-Esmolol이 혈역학 및 혈중 Catecholamine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ropofol or Thiopental Sodium-Esmolol on the Hemodynamic Change and Plasma Catecholamine Level during Laryngoscopic Tracheal lntubation in Labile Hypertensive Patients
저자
오인영 (대전성심병원 마취과) ; 최영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정우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이일옥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공명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이미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김난숙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임상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KDC
514.24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2-129(8쪽)
제공처
중단사유
※ KISS의 원문 서비스 중단에 따라, 학술지명을 클릭하여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장기관
서론: 마취 유도 중 후두경하 기관내 삽관은 환자의혈압과 맥박을 상승시키고 경우에 따라 부정맥, 심근 허혈 또는 심근경색 등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불안정 고혈압을 보이는 환자의 마취유도시 propofol 단독 사용 또는 thiopental과 esmolol의 혼합사용이 후두경하 기관내 삽관시 심혈관계와 혈중 catecholamine 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불안정 고혈압을 보이는 미국마취과학회 전신상태 분류상 1 또는 2 등급에 속하는 36명의 계획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뒤 두 군(n = 18)으로 분류하여 1군은 propofol 3 ㎎/㎏을 2군은 thiopental sodium 5 ㎎/㎏과 semolol 0.5 ㎎/㎏을 투여하고 두 군 모두 succinylcholine 1㎎/㎏을 투여하여 전신마취를 유도하였다. 일반적인 후두경하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고 마취유지를 위해 50% 산소, 50% 아산화질소, 2% enflurane와 vecuronium 0.08-0.1 ㎎/㎏을 투여하였으며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35-40 ㎜Hg로 유지하도록 조절호흡을 시행하였다. 수술실 도착 후부터 기관내삽관 후까지 총 7차례 환자 감시장치(CRITICON DINAMAO^TM 1846SX, USA)를 사용하여 비침습적 혈압(수축기, 이완기, 평균동맥압)과 심박수를 측정하고 혈중 카테콜아민 측정을 위한 혈액채취를 하였다. 측성지간은 각각 ① 수술실 도착 후, ② 기관내삽관 직전, ③ 기관내삽관 직후, ④ 삽관 후 1분, ⑤ 삽관 후 2분, ⑥ 삽관 후 5분, ⑦ 삽관 후 10분이었다. 두 군의 각 측정치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군에서 2군에 비하여 삽관 후의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변동이 유의하게 적었으며, 2군에서 1군에 비하여 삽관 후의 심박수 변동이 유의하게 적었다. 혈중 카테콜아민 치는 두 군 모두에서 전 측정기간 중 정상이었다.
결론: 불안정 고혈압을 가진 환자의 전신마취 유도시 기관내 삽관에 따른 혈역학적 변동을 줄이는데 propofol 3 ㎎/㎏의 사용은 적절한 방법 중의 하나로 사료된다.
Background: Endotracheal intubation under the laryngoscopy is one of the most potent stimuli that increase in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and following cardiac complication such as arrhythmia, myocardial ischemia and infarction can lead to fatal situ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pofol and esmolol-thiopental sodium on cardiovascular system and catecholamine change to tracheal intubation in labile hypertensive patients.
Methods: Thirty six hypertensive patients, ASA class 1 or 2, scheduled for elective surgery were selected randoml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propofol 3.0 ㎎/㎏, Group 2: esmolol 0.5 ㎎/㎏ + thiopental sodium 5 ㎎/㎏, n = 18 in each group). Induction of anesthesia was started with propofol 3.0 ㎎/㎏ (Group 1), esmolol 0.5 ㎎/㎏ + thiopental sodium 5 ㎎/㎏ (Group 2), and succinylcholine (1 ㎎/㎏). After tracheal intubation under the routine laryngoscopic technique, vecuronium 0.08-0.1 ㎎/㎏ was injected, 50% nitrous oxide in oxygen and 2% enflurane were inhaled. Using noninvasive automatic blood pressure monitor (CRITICON DINAMAP^TM 1846SX, USA), blood pressure (systolic, diastolic and mean arterial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at 7 points; ① on arrival to operating room, ② just before intubation, ③ just after intubation, ④ 1 minute after intubation, ⑤ 2 minutes after intubation, ⑥ 5 minutes after intubation, ⑦ 10 minutes after intubat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attenuation in systolic and diastolic arterial pressure after tracheal intubation in Group 1 compared to Group 2.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blunted in Group 2 than Group 1. The catecholamine level was normal range all the time in bath group.
Conclusions: We suggest that 3.0 ㎎/㎏ of propofol as a induction dose of anesthesia could be a good choice for blunting hemodynamic changes caused by laryngoscopy and endotracheal intubation in labile hypertensive patient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