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동북아 환경협력을 위한 사회적 학습과 인식공동체: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와 한중일 환경교육네트워크(TEEN)를 통해 = Social Learning and Epistemic Community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The Case of the Tripartite Environment Ministers Meeting (TEMM) and Tripartite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TEE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63(11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Recently, the complexity, uncertainty, and diversity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have highlighted the need for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actors and cooperation among countries. Although there are different scales and levels of participation in dealing with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not many studies exist that have approache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or learning theory. Using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educational approach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with the cases in Northeast Asia. First, I addressed the necessity of epistemic community, which is knowledge-based networks of specialists for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and regional consensus on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by reviewing the case of the Tripartite Environment Minsters Meeting among China, Japan, and Korea (TEMM). From the co-management perspective for multilater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learning that takes place collectively through interaction and deliberation. In particular, I focused on the role of the epistemic community as a social learning space where various participating actors and entities could learn from each other and lead to shared understanding and action. In this respect, I examined the Tripartite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TEEN) and found that it could play a sufficient role as one of the epistemic communities by supporting government policies and providing communication platforms based on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group of experts. However, the lack of awareness and activities for common resources of the three countries as well as domestic diffusion and applications of international discussion remain challenges. The TEEN activities that aim not just the diversity of the three countries but also common regional identity and interdependence will contribute more to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더보기최근 환경문제의 복잡성과 불확실성, 광역성은 다양한 주체의 참여와 국가 간 협력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지구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범위와 수준에서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제 환경협력을 학습 또는 교육적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 연구는 국제 환경협력의 교육적 접근이 가지는 가능성과 한계를 동북아 환경협력 및 환경교육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한중일 환경장관회의가 동북아 환경협력체로 역할하기 위해서는 과학지식에 기반한 인식공동체와 환경협력을 위한 공감대 형성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자간 환경협력이라는 공동관리 관점에서는 집단 상호작용과 숙의 과정을 통한 사회적 학습이 중요함을 보였다. 특히 다양한 참여주체가 상호 학습하는 가운데 공유된 인식과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는 사회적 학습 공간으로 인식공동체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이 연구는 한중일 환경교육네트워크(TEEN)가 자발적 전문가의 참여, 정부정책 지원, 교류와 소통의 장 제공 등 인식공동체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3국간의 공유된 환경 인식, 공동 연구 및 활동의 부족이나 동북아 환경교육협력 논의를 각국에 확산하고 적용하는 일은 여전히 과제로 남는다. TEEN 논의가 3국의 다양성뿐 아니라, 공동의 지역정체성과 상호의존성을 일깨우는 방향으로 나아갈 때 동북아 환경협력에 보다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5-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8-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4-2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환경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0.9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2 | 0.94 | 0.3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