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의 악성종양은 내부장기의 악성종양과는 달리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이 비교적 쉽고 적절한 치료로 예후가 양호하나 일반적으로 타 장기암에 비해 관심이 소홀하여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유색인종의 피부암 발생빈도는 일반적으로 백인종에 비해 낮으나 우리나라도 생활수준의 향상과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각종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기회가 많아지고 또 피부암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도 점차 높아지고 있으므로, 다른 악성종양과 마찬가지로 피부암도 조기발견하여 치료할 수 있는 예가 많아지리라고 생각된다. 저자들은 최근 약 10년간의 피부악성종양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관찰하여 보고한다.
더보기From January 1981 to May 1990 the authors clinically observed 72 cases of cutaneous malignant tumors that visited the Department of Dermatology at Inje University Paik Hospital, Pusa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ellow:
1) The Incidence of cutaneous malignant tumors versus the total number of new outpatient visiting the Department of Dermatology was 0.23%.
2) There were 39 men(54.9%) and 32 women(45.1%) in this series.
3)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61.1 years with the peak incidence in the 60-69 years group(29.6%).
4) Among the 72 cases of cutaneous malignant tumor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tumor was basal cell carcinoma, 34 cases(47.2%). The next frequent tumor was squamous cell carcinoma, 31 cases(43.0%).
5) The predilection sites of the basal cell carcinoma cases were the nose(20.6%), cheek(20.6%) and forehead(17.7%). Those of the squamous cell carcinoma cases were the lower lip(25.8%) and cheek(12.5%)
6) The authors observed 5 cases of precancerous state including 2 cases of Bowen's disease, 1 case of burn scar, xeroderma pigmentosum and epidermodysplasia verruciformis, respectively.
7) The most frequent clinical type of basal cell carcinoma was noduloulcerative(58.9%) and the next was pigmented(35.8%).
8) Five cases of tumors showed metastasis at the time of diagnosis. Four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were metastasized into the regional lymph nodes.
9) Treatments were used on the 34 of the observed cases. In the 23 cases(basal cell carcinoma 16 cases, squamous cell carcinoma 7 cases), excision and skin graft were performed.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