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SCOPUS
정동적 브랜드스케이프로서의 플래그십 스토어에 대한 비평적 고찰 = Delving Critically into the Flagship Store as the Affective Brandscap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대한건축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JAIK))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1-172(1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 논문은 기업 브랜딩 형식으로서의 '플래그십 스토어' 현상의 탐구를 위해, 관련 문헌과 사례를 검토하며 나아가 이를 브랜드스케이프와 정동 이론과 연계시킨다. 플래그십 스토어의 디자인 전략은 리테일 스토어의 그것과 차별화되는데, 그 이유 중 하나로는 플래그십 스토어가 경험을 중요한 고려 요소로 삼는다는 점에서 그렇다. 두드러진 랜드마크 대신, 플래그십 스토어는 상업 환경에서 새로운 경험 방식을 창출한다. 이에 따라 지역과 지구, 원본과 복제, 그리고 진본성과 그렇지 않음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한다. 이처럼 흐리게 하고, 혼종적이며, 또는 '하이픈화'된 디자인은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는 수단 이상이 아닐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은 플래그십 스토어를 보다 넓은 차원에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업이 지역성과 분위기, 물질성과 역사, 문화 행태와 지적 역사 등 각 스토어를 둘러싼 물리적이고 비물리적인 측면들을 아우르는 방식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숙고가 필요함에 주목한다. 이러한 고려 요소들은 플래그십 디자인이 철저하게 상업적이면서 동시에 문화적으로 통합되었는지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상품 경제의 기제로서의 불만족과 감각을 동시에 촉발하는 '어셈블리지'로 기능함을 탐구하게끔 해준다. 연구 방법론과 관련하여, 본 논문은 세정제와 화장품으로 잘 알려진 브랜드 이솝의 공식 웹페이지에 게시된 네 개의 플래그십 스토어 사례 분석에 집중한다. 이를 통해 각 스토어의 디자인 요소와 그것의 표상 전략, 그리고 경험 방식을 다각도로 고찰하며, 나아가 이를 '정동적 브랜드스케이프' 현상으로 파악하기를 시도한다.
더보기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flagship stores, focusing on what is deemed the affective brandscape. These flagshipstores stand apart from regular retail stores by emphasizing the experience economy as a pivotal factor. Instead of merely being landmarks,these stores introduce fresh ways of experiencing commerce, blurring the distinctions between local and global, original and symbolic, andauthentic and artificial. This blending of elements often referred to as hybrid or hyphenated designs, serves as a means to convey brandidentit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how flagship stores function and engage potential customers, it is essential to examine howcompanies combine diverse elements related to the physical and intangible aspects of a store, including its location, ambiance, and historicalcontext. These hybrid commercial models prompt an exploration of how flagship stores are intricately woven together, creating combinationsthat are both distancing and emotionally impactful. Through case studies, including a detailed analysis of the 2002 OMA-designed PradaEpicenter, this study also compares and analyzes four selected flagship stores of the globally popular cosmetic brand Aesop. This study aimsto uncover how disparate elements are harmonized to create a branded world that extends both physically and conceptually beyond the storeitself.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