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계윤리 및 신경윤리학 관점에서 본 인공도덕행위자(AMA) 도덕성 기준과 초등도덕교육의 과제 = Morality Standards of Artificial Moral Agents(AMA) and The Tas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Machine Ethics and Neuroethic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7-92(1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다양한 사회 영역에 걸친 강력한 변형력과 심오한 영향력에 비해 AI의 개발 및 사용을 안내하는 원칙과 가치 기준 정립은 일천하다. 그러나 인류는 인공도덕행위자(AMA)의 행동을 설계하고 도덕적으로 평가할 시점에 이르렀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해 답해야 할 여러 가지 질문과 문제에 봉착했다. 기계또는 로봇을 도덕적 행위자로 인정할 수 있는가와 같은 근본적인 윤리 문제를 포함하여 보다 근원적이고 구체적인 문제에 답변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AI 응용과 설계에 있어서의 윤리, AI 자체의 윤리 모형 등은 인류가 추구해야 할 AI 산업을 위한 윤리적 기초가 된다. AI 윤리는 도덕교육, 윤리교육 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주제 및 내용 요소이다. 그러므로 학습 보조 수단으로서의 AI 역할뿐만 아니라 AI 윤리는 교육 현장에서 교육 콘텐츠로서도 주요한 자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AI 윤리 문제와 관련하여 초등학교 도덕교육 현장에서 교육 콘텐츠로서 반드시 다룰 필요가 있는 주제 및 내용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기계윤리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신경윤리학에서 기계윤리 구현 문제를 분석하였다. 셋째, 인공도덕행위자를 위한 도덕적 기준을 탐색하였다. 넷째, 초등학교 도덕과 과제로서 초등도덕에서 다루어야 할 AI 윤리 관련 내용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윤리적 다원주의와 윤리적 전문성 부족으로 설계된 AMA는 단순한 인공행위자로 전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야기된 도덕적 문제들의 피해는 고스란히 인류의 몫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뇌신경과학적, 발달심리학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 방법을 통해 중요한 교육 콘텐츠로서 AI 윤리, 기계윤리 관련 논의를 다룰 필요가 있다. 도덕적 인격 형성의 복잡성을 간과한 AMA 구축으로 인해 프로그래머와 컴퓨터 공학자들이 오류에 봉착하지 않도록 하는 노력은 초등학교 도덕교육 현장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The principles that guide the use of AI are not yet established or complete. Given that AI is causing a powerful transformation in the world, and has profound influence on social domains, we urgently need to create moral standards/rules and regulations that would prohibit certain activity deemed unhealthy for children. However, humans have created an artificial moral agent(AMA) that acts concern for morality. This is a huge problem. The technology is well ahead of the AI ethics, and our current AI ethics can't cope with all these changes. Therefore I believe that an ethics commission must be established to oversee the development of this powerful new technology, especially in the area of education. Children are vulnerable and need our protection against amoral agents in the AI arena.
In addition to the role of AI as a tool for learning, AI ethics should be a part of any education curriculum. First, the study should explore machine ethics and the task of implementing ethical behavior. Second, the task of implementing machine ethics in neuroethics is analyzed. Third, we should research possible ethical standards. Fourth, children should be educated about the opportunities and moral hazards of AI. We could create AMA to be a simple artificial agent. AI ethics should therefore be an integral part of future education programs with a special focus on early childhood psychological development. Programmers and computer engineers should avoid errors due to the AMA design that overlooked the complexity of moral character. We should deal with machine ethics for elementary student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03-0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12-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KCI후보 |
2007-05-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초등교육연구소 -> 초등교육연구원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6 | 0.96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2 | 0.89 | 1.375 | 0.1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