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구어체에서 사용하는 ‘X+A過+Y’ 비교구문 연구 - 언어접촉과 문법복제, 언어변화 = A Study of the Comparative Sentence of ‘X+A過(guo)+Y’ in Spoken Language : Language Contact, Grammar Replication and Language Change
저자
고영란 (광운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1-169(29쪽)
제공처
‘A過’식 비교구문은 위진(魏晉)부터 명청(明清) 시기까지 사용되었지만‘比’ 비교구문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면서 청(清) 중기 이후에는 사용 빈도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그러나 쇠퇴의 길로 들어선 것일 뿐 완전한 소멸은아니었다. 1910년대 이후에도 ‘A過’식의 꾸준한 사용 흔적이 발견되는 것을보면, 일부 언어사용자 혹은 지역에서 여전히 선호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980년대 개혁개방 정책이 시행된 이후에는 번역문 및 문학 작품, 신문 등다양한 자료에서 사용하였던 흔적이 있다. ‘X+A過+Y’ 비교구문의 기원에관한 견해는 월방언설과 고대중국어 계승설로 갈리지만 언어변화는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이며 연속적으로 일어난다는 문법화론의 관점에서 볼 때, 최근 유행하는 ‘X+A過+Y’ 비교구문은 빈번한 언어접촉에 의해 재탄생되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X+A過+Y’ 비교구문에 쓰인 ‘過’는 월방언권에서는 비교표지로 보는 시각이 많다. 하지만 현대표준중국어의 ‘X+A過+Y’ 비교구문에서 ‘過’는 비교표지로 단순화할 수 없으며, 형용사 뒤에서 상태를 보충 설명해주는 보어인‘過 1 ’로 판단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X+A過+Y’ 비교구문의 형식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더’에 해당하는 정도어가 붙지 않고도 우등비교의 의미를 나타낸다. 둘째, ‘過’와 결합하는 형용사에 있어 의미상의 공기제약이없다. 다만 일음절 척도형용사가 ‘X+A過+Y’ 비교구문에 자주 사용된다. 셋째, 사실상 긍정 형식으로만 사용된다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로 부정 형식은대단히 드물다. 때때로 ‘一天好過一天’, ‘一代強過一代’ 등과 같이 ‘A過’를 중심으로 동일한 구가 반복되는 형식도 관찰된다.
The ‘A過(guo)’ comparative form appears in many texts up until the Ming(明) and Qing(清) period, but its use declined sharply after the middle Qing(清) as the ‘比(bi)A’ comparative form took its place. However, it was only in decline, not extinct. The continued use of the ‘A過(guo)’ form after the 1910s suggests that it was still favored by some speakers and region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reform and opening-up policy in the 1980s, traces of its use can be found in various sources, including translations, literary works, and newspapers. There are two views about the origin of the ‘X+A過(guo)+Y’ comparative sentence: the Yue(粵) dialect theory and the Old Chinese inheritance theory. However, based on the grammaticalization theory, which posits that language change occurs gradually and continuously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recent trend of the ‘X+A過(guo)+Y’ comparative sentence was revived due to frequent language contact between standard languages and dialects.
In the comparative sentence ‘X+A過(guo)+Y’, ‘GUO(過)’ is often considered a comparative marker in the Yue(粵) dialect region. However, after verifying its various uses, ‘GUO(過)’ cannot be simplified as a comparative marker. It is better to see it as ‘GUO(過) 1 ’, which functions as a status complement. The ‘X+A過(guo)+Y’ comparative sentence has several features. First, it expresses the meaning of superiority comparison without requiring an additional degree complement like ‘more’.
Second, there are no semantic restrictions on the adjectives that can combine with ‘GUO(過)’. However, monosyllabic measurement adjectives are often used in ‘X+A過 (guo)+Y’ comparison sentence. Third, it is mostly used in the affirmative form and very rarely in the negative form.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