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南龍翼燕行詩中的中國形象研究 = A study on the image of China in NamYong-ik's Poetry of Yeonhaeng-rok
저자
孫煒喆 (延邊大學 東方文學 博士课程)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Chinese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7-78(22쪽)
제공처
남용익(南龍翼)은 17세기에 중국으로 온 연행사신(燕行使臣)이다. 명나라시대가 청나라 시대로 바꾸는 시기가 동아시아 국제질서 및 화이(華夷)관념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서 남용익은 『연행시(燕行詩)』를 통해 자기 관점으로 본 중국의 인물풍속과 자연풍물, 인문경관을 비롯한 다양한 중국 이미지를 드러냈다. 그리고, 중국에 출사가기 전에 통신사(通信使)로서 일본에출사한 경험이 있었기에 남용익은 중국 이미지를 인지하는 과정에 과거의 명나라, 당시의 일본과 조선을 대조한 바가 있다. 현존하는 5백 여 종의 연행록(燕行錄) 중에서는 그의 연행시는 동아시아 관념을 가진 드문 작품이어서매우 높은 연구가치가 있다. 본문에는 비교문학과 형상학 관점으로 그의 연행시에 대해 연구하고, 남용익의 출사 경험과 목적지로 가는 과정에서 보고 체감한 것을 알아보면서 “제3자의 눈”으로 당시 중국의 사회생활을 관찰하며, 자신과 타인을 통한 거울현상에서 명나라를 대신해 청나라 시대 초기와 같은 특수한 역사시기에 중국에 관한 조선나라가 가진 상상과 인식, 그리고 그 이미지가생성된 메커니즘을 탐구한 것이다. 남용익은 중국을 직접 경험한 후에 조선사람이 상상했던 중국의 이미지를 검증하고 수정한 부분만이 아니라 동아시아관점에 조선의 이미지를 새로 만드는 과정에 대해서도 중점적으로 탐구하여토론했다.
더보기NamYong-ik(南龍翼) was a Korean envoy who came to China in the 17th century.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change of dynasties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ffecting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and the change of Hwaee-temple (華夷观), NamYong-ik(南龍翼) presented a rich image of China in his poetry of Yeonhaeng-rok(燕行錄), mainly including Chinese characters, customs, natural scenery and cultural landscape. In addition, because NamYong-ik(南龍翼) had been sent to Japan as a communication envoy before going to China, his perception of China's image was based on the former Ming Dynasty, Japan at that time, and Korea itself. Among the more than 500 kinds of works currently used, his Yeonhaeng-rok (燕行錄)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few precious works with an East Asian vision, which has high research value.This paper adopts comparative literature imagology to study his poetry of Yeonhaeng-rok(燕行錄), understand NamYong-ik's diplomatic experience and what he saw and felt along the way, observe the social life of China at that time by using the "eyes of others", and explore the collective imagination, cognition and image generation mechanism of Korea towards China in this special historical period after the change of dynasties in Ming and Qing Dynasties through the mirror reflection of himself and oth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of verifying and correcting the image of China in the imagination of Koreans and reshaping the image of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after NamYong-ik's experience in China.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