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화교의 종족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광주지역 화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king Process of the Korean Overseas Chinese Ethnic Identity: With a Focus on the Overseas Chinese in the Gwangju A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7-89(23쪽)
KCI 피인용횟수
8
제공처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identity of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by looking into the case of the overseas Chinese in the Gwangju area. Today Korean society is rapidly evolv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result of increasing foreign workers, immigrants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the nation. Compared to them,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have not attracted particular attention even though they have lived in the nation over 100 years, maintaining their own unique cultural identity. There are a few number of studies on the current stat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verseas Chinese communities in Masan, Daegu, Jeonju, and Gunsan, but no research efforts have been made to investigate the overseas Chinese in the Gwangju area. Thu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he overseas Chinese forming their identity in the Gwangju area.
The findings regarding the identity of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around the Gwangju a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put an emphasis on the use of Chinese at home and school to maintain their Chinese cultural homogeneity, tried to preserve their lineage by keeping their closed marriage customs, confirmed their sense of solidarity through overseas Chinese schools, and reinforced their economic foundations through unofficial organizations called Hui.
Second, they received personal discriminations from Korean people known for their pride as the Korean race and were subject to many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derived from the Korean government's legal and economic discrimination policies. In Taiwan, a legal state, they were not accepted as wholly Taiwanese. In mainland China, the land of their ancestor, they were outsiders. Even the new-generation overseas Chinese living around the world did not accept them as the same race.
In short, the identity of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was formed through a dialectic process between their ethnic identification,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ir unique Chinese culture including the usage of Chinese, marriage among themselves, overseas Chinese schools, and Hui, and ethnic designation, which is granted by outsiders such as the Korean, the Taiwanese, the Chinese of mainland China, and further new generation overseas Chinese.
오늘날 한국 사회는 외국인 노동자, 국제결혼 이주자,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로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되어 가고 있지만 한국 화교는 약 100년 전부터 자신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음에도 특별한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인천과 부산을 중심으로 마산, 대구, 전주, 군산 등 지역별 화교 사회에 대한 현황과 특징을 규명한 소수의 연구들이 있지만 광주지역 화교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광주지역 화교를 대상으로 한국 화교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광주지역 화교를 중심으로 고찰한 한국 화교의 정체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화교들은 자신들의 중국적인 문화적 동질감을 유지하기 위해 가정과 학교에서 중국어 사용을 강조하였다. 또한 화교와의 폐쇄적인 혼인 관습을 유지함으로 그들의 혈통을 지키려고 하였다. 그리고 화교 학교를 통해 그들의 연대 의식을 확인하였고 비공식적 조직인 후이(會)를 통해 경제적 기반을 강화하였다.
둘째, 한국에서 화교들은 한민족 의식이 강했던 한국인으로부터 개인적인 차별과 한국 정부의 법적, 경제적 차별 정책으로 인해 많은 제약과 제재를 받았다. 법적 국가인 타이완에서도 그들은 완전한 타이완 국민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조상의 나라인 중국에서도 그들은 이방인이었다. 해외에 유입된 신화교(新華僑)들조차 그들을 같은 민족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즉, 한국 화교의 정체성은 한국 화교들이 한국에서 유지해온 중국어 사용, 화교들 간의 혼인, 화교 학교와 후이 조직 등 고유한 중국적인 문화적 토대인 그들의 종족 동일시(ethnic identification)와 한국인, 타이완인, 중국 본토인 나아가 신화교 등 외부자에 의해 주어지는 종족적 지정(ethnic designation) 간의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4-11-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 KCI등재 |
2013-12-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외국어명 : 미등록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9 | 0.49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3 | 0.70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