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립유치원의 재산권과 문재인 정부의 헌법 가치 침해 = Property Rights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Constitutional Value Infringement by MoonJaein Government
저자
김행범 (부산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73(41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Collision between private kindergartens(PKs) of Korea and Moon Jaein government(2018-2019) marked biggest value conflict since Moon got presidency. This article analyzed how underrepresented property rights of PKs were encroached in the process by Moon government. As the foundational logic for the subsequent analyses, the nature of basic provisions of law prescribing government’s fee payment for kindergarten students to PKs were identified. The payments being given to PKs are in nature not subsidy but grants, which permit discretionary disposal for PKs, implying much of criticism by media for PKs were irrelevant.
Then, three ways MoonJaein government used to control PKs were analyzed: law, enforcement ordinance, sanctions in implement process. These three ways were main tools government used to limit constitutional rights of PKs. The process Moon government employed during the confrontation partly resembles that of so-called mobocracy; mobilizing media first and then suppressing any different arguments against what government already settled, moving all power agencies including prosecution, police, and tax agency, prime minister, minister of education etc.
Main constitutional values infringed by government were identified: property rights, due compensation, equal right, limit of delegated legislation, reliability principle and, finally, proportionality principle. MoonJaein government might have tried to exploit this case as a beginning point for their ‘Private School Collectivization.’ No policy can, however, legitimize itself by paying as price the basic constitutional basic rights.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Private School Collectivization in kindergarten educations is not to abolish PKs. Whether by public or private is not point, but quality of education is more important. PKs cover 75% of kindergarten educations in Korea. So, property rights is necessary condition both for quality-education and justice. In that sense, major revision bills Moon government put to National Assembly through excessive, power-based processes for more controls against PKs, the political processes that produced that result, and even mobocracy-way of thinking need to be comprehensively reexamined.
문재인 정부와 사립유치원 간 충돌(2018-2019)은 ‘사학(私學)의 공영화’ 이념을 추진하는 정부와 이에 맞선 사립유치원 간의 큰 가치 갈등이었다. 그 갈등에서 문재인 정부 측에 비해 과소대표되었던 사립유치원측의 재산권이 어떻게 침해받았는가를 법제도적 분석으로 논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사립유치원-문재인 정부 간 기초관계를 규율하는 유아교육법24조의 법적 성격을 규명하였다. 유아학비 지원의 규범적 수급자는 원칙적으로 유치원장이 아니라 학부모이고, 학부모에게 지급되는 자금의 법적 성격은 수혜자의 지출항목이 특정되는 보조금(subsidy)이 아니라 재량적 지출이 허용되는 지원금(grants)이었다. 나아가 정부가 사립유치원의 재산권 침해 모습들을 세 가지 곧, 법률(안)에 의한 방식, 법률이 아닌 시행령 및 부령에 의한 방식, 정책집행상의 제재수단들에 의한 방식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침해된 유치원의 헌법적 가치들을 확인하였다. 어떤 유아교육 정책이든 헌법이 보장한 개인의 재산권을 무상의 비용으로 삼고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은 존재할 수 없다.
이 연구에서 다음 시사점들을 발굴하였다. 사학의 공영화는 사립교육기관을 억제하고 국공립교육기관을 확대하는 것과 동일시되어서는 안 된다. 유치원교육 공급주체가 사립/국공립 여하보다 교육의 품질이 더 중요하다. 사립유치원이 유아교육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현 상황에서, 강압적 규제보다는 재산권을 보장해 주고 건강한 이윤을 위해 고품질 유아교육 서비스로 서로 경쟁하도록 유도하는 기제가 더 시급하다. 재산권 보장 및 기타 헌법적 가치들은 그 기본 전제가 된다. 피교육자인 유아의 입장이 전적으로 도외시되는 유치원 교육정책은 통상적 정책보다 학부모, 정부,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유치원측 간 숙고와 합의가 더 중요하며, 정치적 힘의 압도로 결정되는 방식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고,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번에 거대한 파동을 겪으며 형성된 유치원 3법 및 법령들, 이를 만든 입법 구조와 과정, 나아가 군중주의 의식문화마저 이러한 헌법 가치에 충실하도록 다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4-1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제도경제학회 -> 한국제도∙경제학회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6 | 0.817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