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face challenges in adopting ESG due to their relative lack of organization, information, staff and budget compared to larger companies. Most SMEs have tight employee payroll cycles and struggle to break even. Advising them to adopt ESG may be unrealistic at this point. But they can't afford to ignore ESG any longer. If they do, their competitiveness may worsen.
This is because ESG is the key to enhancing competitiveness by favoring product sales and supply, attracting investment, and improving corporate image. The issue is that policy support from the public sector is crucial for SMEs to adopt ESG. Of course, the active willingness of SME CEOs to adopt ESG and the strengthening of their own capabilities are more important than support. Policy support should be actively provided to activate the adoption of ESG by SMEs in Gyeonggi-Do. To this end, as a short-term priority, Gyeonggi-Do should prioritize the expansion of ESG education and consulting for SMEs, promote customized ESG awareness measures differentiated by type of SME, provide customized support for the E (environment) sector differentiated by company characteristics, prepare and promote the use of ESG evaluation management indicators for SMEs, prepare ESG management guidelines for SMEs, and establish and operate the SME ESG Public-Private Council. In the mid-to long-term, it is necessary to focus support on the priority policy needs of SMEs, strengthen the certification and promotion of ESG-excellent SMEs, and strengthen companies' own response strategies in the E sector, such as switching to eco-friendly processes.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은 조직, 정보, 인력, 예산의 상대적인 열악함으로 인해 ESG 도입에 애로를 겪고 있다.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직원 월급주기도 빠듯하며 경영수지를 맞추기도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들에게 ESG를 도입하라고 권고하는 것은 아직 비현실적일 수 있다. 그렇다고 ESG를 더 이상 외면할 수도 없다. ESG를 도외시했다가는 기업경쟁력이 더 악화될 수도 있기때문이다. 제품판매나 공급, 투자유치, 기업이미지 개선에 유리한 ESG가 곧 경쟁력인 시대이기 때문이다. 쟁점은 이러한 중소기업이 ESG를 도입·운영할 수 있도록 공공부문의 마중물 역할 즉 정책지원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다. 물론 중소기업 CEO의ESG 도입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와 자체 역량 강화는 지원 보다 더 우선인 것은 당연하다. 경기도 관내 중소기업들의 ESG 도입활성화를 위해 정책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단기적 우선 추진과제로 중소기업 대상 ESG 교육·컨설팅 확대 우선적 실시, 중소기업 유형별 차별화 맞춤형 ESG 인식 저변 확대 방안 추진, 기업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E(환경)부분 맞춤형 지원 추진, 중소기업형 ESG 평가 관리지표 마련 및 활용 홍보, 중소기업 ESG 경영 가이드라인 마련, 중소기업 ESG 민관협의회 구성·운영 등이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중소기업의 최우선 정책수요 분야에 집중 지원 추진, ESG 우수 중소기업 인증 및 홍보 강화, 친환경공정 전환 등 E(환경)부분 기업 자체 대응전략 강화가 필요하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