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語 俗談의 地名語 硏究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8
작성언어
Korean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1-94(44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1) 俗談 地名語는 우리말 俗談에 사용된 地名語를 말한다. 우리말 속담에서 곳(場所) 이름, 山이름, 江이름, 섬(島)이름, 절(寺)이름, 그리고 行政區域 이름들이 유효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다.
(2) 地名은 본질적으로 固有名詞로서 固有性과 表現性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속담에 나타나는 地名語 가운데는 固有名詞로서의 기능보다는 普通名詞로서의 지명어로 변용된 것이 많다.
(3) 俗談 地名語는 漢字語 地名이 대부분이며, 固有語 地名(서울, 새재, 사근내, 다방골, 경텃절, 손돌, 순라골, 연못골, 진고개 등)도 더러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外來語 地名(豆滿江, 須彌山, 俄羅斯 등)도 混種語(hybrids) 構成型의 借音表記로 사용하고 있다. ‘南山골, 茶坊골, 孫돌(孫乭), 銅雀이, 淨土절 등도 混種 構成型으로 이루어진 지명어다.
(4) 우리말 속담에서 사용된 나라 이름은, 우리나라 칭호로 ‘高麗, 朝鮮’이 사용되었고, 중국을 ‘中國, 淸國’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印度(Indo)를 西川西域國의 준말인 ‘西川’으로, 러시아(Russia)를 露西亞의 구칭인 俄羅斯로 사용했다.
(5) 地名의 國籍을 보면, 우리 國土에 위치한 한국 지명을 제외하고는 中國 地名이 제일 많다. 물론 그 가운데는 우리 지명과 동일한 지명으로 重義的으로 사용된 것들도 있다. 江南, 江東, 涇渭, 洞庭湖, 萬里城, 萬壽山, 北邙山, 首陽山, 嵩山, 中岳(嵩山), 岳陽樓, 廬山, 長安, 荊山 등.
(6) 일본 지명은 ‘對馬島’ 하나뿐이며, 그 밖에 우리 지명을 일본식 지명으로 改名하여 사용했던 日政治下의 잔재가 俗談 地名에 보인다. 현재 서울 중구 墨井洞의 倭式 地名인 신마찌(新町)가 그것이다.
(7) 地域名稱으로 八道, 三南, 四大門, 四海, 五江, 兩極 등과 關東, 嶺南, 江南, 江東 등의 지역 명칭이 사용되었다.
(8) 分類要素別 地名으로 곳(場所)이름, 山(峰,谷,峴,臺)이름, 江(川,淵,渡,湖,沼,池)이름, 섬(島)이름, 절(寺)이름, 市場이름, 다리(橋)이름, 宮이름, 亭子이름, 官廳이름, 官職이름, 그리고 姓氏이름 등 매우 多岐하다.
(9) 俗談 地名語는 지명의 構成型的 특징보다는 각 지명이 지니고 있는 地理的 특성이나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 무엇보다 중요한 특징이다. 옛날부터 교통이 불편했던 奧地라고 하는 지리적 조건이 반영된 ‘三水甲山’, 조선조 太祖인 이성계와 아들인 太宗 이방원 간의 정치적 불화에서 생긴 ‘咸興差使’, 조선조 25대 哲宗과 江華도령, 高麗末年 정치적으로 혼란했던 시대적 배경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松都末年의 불가살이’ 등은 歷史的 背景과 관련된 俗談이다.
(10) 地名傳說과 관련이 있는 속담도 있다. ‘신창리 영감의 송사’라든가, ‘忠州 결은 考妣’, 그리고 ‘陽川원님 죽은 말 지키듯’ 등의 배경 설화는 속담의 속뜻을 잘 알 수 있는 것들이다. ‘孫乭이 추윈가’, ‘孫乭이 바람’이라는 속담은 高麗때 뱃사공 孫乭의 전설을 모르고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 어떻게 사람의 이름이 地名으로 바뀌었는가도 다음과 같은 地名傳說을 통해서 알게 된다.
高麗때 어느 왕이 배를 타고 난을 피해가는 중 孫乭이라는 뱃사공이 通津과 江華 사이의 바다 위에서 모진 바람과 파도를 잠시 피하여 가자고 한즉, 왕이 그를 도리어 의심하여 목을 베어 寃死하였음으로, 그 원한이 맺혀 음력으로 10월 20일이 되면 바람이 일고 날이 추워지는 것이라고 후세 사람들이 일컫게 되었다. 그 뒤에 江華邑에서 ...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7 | 0.603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