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통일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의 개념화 = Conceptualization of Compassionate Rational Leadership as a New Paradigm of Unification Leadership in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9-115(27쪽)
제공처
본 연구는 통일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을 제시하고 이를 개념화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통일 리더가 사회적 현장에서 수행해야 할 리더십의 주요 영역을 분석하고, 통일 리더가 추구해야 할 핵심 준거 가치를 제시하였다. 둘째, 통일 리더십의 리더십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논점과 기준들을 역사, 정치, 경제, 심리학, 문학 등 다 학문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셋째, 통일 리더십을 설명하기 위해 기존 전통적 리더십 패러다임의 특징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넷째, 통일 리더십의 맥락에서 온정적 합리주의의 개념적 틀과 내용을 기술하기 위해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을 통일 리더십과 관련하여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남북한 통일, 리더십, 정책, 행정, 사회복지, 경제, 심리, 철학적인 관점을 망라한 사회과학 문헌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는 사회과학적 변증 논증법을 택하였다. 통일 리더십은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실현하기 위해 국가, 조직, 개인 등 다양한 행동 주체(stakeholder)들이 발휘해야 할 리더십의 핵심적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 통일 리더십은 단순히 제도적 통합이나 경제적 발전에 국한되지 않으며, 인간 존엄과 생명 존중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기반으로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고 공동체의 심리적 치유를 목표로 한다. 통일 리더십의 영역은 통일을 추구하는 개인과 조직의 역할을 중심으로 크게 여섯 가지 범주, 즉 행정관리 리더십, 장학 리더십, 교수 리더십, 조직 문화적 리더십, 팀 리더십, 권한위임 리더십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통일 리더가 리더십 활동을 통해 추구해야 할 준거 가치에는 윤리성(ethics), 자유성(liberty), 효율성(efficiency), 평등성(equality), 공정성(equity), 사회적 정의(social justice) 등이 포함된다. 통일 리더십의 리더십 패러다임을 위한 논점과 기준으로서 한반도 통일 이후 북한 주민의 정치적 대표성과 사회적·문화적 통합, 경제체제의 선택문제, 제3의 길이 포함되었다. 기존의 주요 리더십 이론들, 즉 개인적 특성이론, 행동이론, 거래이론, 변혁적 이론 및 윤리 이론 등은 통일 리더십의 리더십 패러다임을 설명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의 개념화가 통일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필요하다.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합리주의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상황에 따라 온정을 베푸는 리더십을 의미한다. 이 모델은 21세기 통일 리더십이 요구하는 효율성, 평등성, 공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이를 통해 통일의 목적과 취지를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대안적 리더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특히,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이성적 상황판단, 전략적 예측, 논리적 문제해결, 최적화 수행관리, 포용적 겸손, 공감적 배려, 신뢰기반 임파워먼트, 이타적 협력이라는 8가지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통일 리더십의 통합적 모델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통일 한반도에서 자유와 평등, 효율성과 포용을 조화롭게 실현할 수 있는 적합한 리더십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aimed to present and conceptualize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as a new leadership paradigm of unification leadership in Korea. To this end, first, the main areas of leadership that unification leaders should perform in social settings were analyzed, and the core reference values that unification leaders should pursue were specifically presented. Second, the issues and criteria for establishing the leadership paradigm of unification leadership were presented from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such as history, politics, economics, psychology, and literature. Thir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raditional leadership paradigm were analyzed to explain unification leadership. Fourth, in order to describe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content of compassionate rationalism in the context of unification leadership, the rationalism paradigm was first explained, followed by the compassionate paradigm, and finally, the integrated logic of these two paradigms was explained, and as a result,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was conceptualized in relation to unification leadership. As a research method, we adopted the method of dialectical argumentation in social science that analyzes social science literature covering the perspectives of South-North Korean unification, leadership, policy, administration, social welfare, economy, psychology, and philosophy and proposes a new concept based on the analysis. Unification leadership can be defined as a core concept of ‘leadership that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the stat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must demonstrate in order to realize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bove all, unification leadership is not limited to simple institutional integration or economic development, but aims to build social trust and psychological healing of the community based on universal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and respect for life. The area of unification leadership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ix categories centered on the role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pursuing unification: administrative management leadership, scholarship leadership, faculty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al leadership, team leadership, and delegation leadership. Meanwhile, the reference values that unification leaders must pursue through leadership activities include ethics, liberty, efficiency, equality, equity, and social justice. The issues and criteria for the leadership paradigm of unification leadership include political representation and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of North Korean residents after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issue of choosing an economic system, and the third way. Existing major leadership theories, such as personal trait theory, behavioral theory, transactional theory, transformational theory, and ethical theory, have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leadership paradigm of unification leadership. Therefore, the conceptualization of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is necessary as a new paradigm of unification leadership.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refers to leadership that is based on rationalism while also providing compassion according to necessary contexts. This model simultaneously pursues efficiency, equality, and fairness required by 21st century unification leadership, and through this, it can establish itself as an important alternative leadership that can realize the purpose and intent of unification in Korea. In particular,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provides an integrated model of unification leadership based on eight core elements: rational contextual judgment, strategic prediction, logical problem solving, optimal performance management, inclusive humility, empathic consideration, trust-based empowerment, and altruistic cooperation. In conclusion,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can be established as a suitable leadership model that can harmoniously...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