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弘明集』의 「牟子理惑論」을 통해 본 도교 養生論 비판 연구 = A Study on the Criticism of Taoism Health Promotion Based on The 「Mouzi Lihuolun(牟子理惑論)」, 『Hong-ming-ji(弘明集)』
저자
김희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47-377(3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al meaning of Buddhist criticism of Taoism (Taoism) through the study of th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he 「Mouzi Lihuolun(牟子理惑論)」, 『Hong-ming-ji(弘明集)』 Consider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bargaining (interactions) in cultural exchanges, the process of Chinese acceptance of Chinese Buddhism and Chinese Buddhism in India strengthens the identity of Confucianism and Taoism in the Chinese society in a conscious way . And this is relate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cultural consciousness of experience of heterogeneous culture. In other words,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self culture is exclusively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self culture in that it is centered on the difference between other cultures and other self cultures.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heterogeneous cultures themselves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and reflect on the opportunity of reflection on their culture (self).
In this context, the criticism of Taoism's longevity and ritualism in the 「Mouzi Lihuolun(牟子理惑論)」, 『Hong-ming-ji(弘明集)』 represents the strengthening of Buddhism's exclusive self-identity to the doctrine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securing the social status of Buddhism, which challenges the social status of Taoism, is to discuss the social superiority of the spiritual culture that Buddhism can replace Taoist consciousness culture.
Therefore, the Buddhist criticism of Taoism (Taoism thought) Health Promotion in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al meaning of Taoism as an indigenous religion. At the same time, this is the process of reviewing whether the criticism of the doctrine made by Buddhism was properly made.
본 논문은 도교(도가사상)의 養生에 대한 불교의 비판이 가지는 사회적인 의미를 『弘明集』의 「牟子理惑論」에 나타나는 儒ㆍ佛ㆍ道 同異論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교류가 가지는 문화교섭(상호작용)의 사회적인 특징을 고려할 때 인도불교의 중국 전래 및 인도불교의 중국적 수용 과정은 중국사회 내에 토착종교의 의미를 가지는 유교와 도교의 정체성을 의식적인 형태로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이것은 이질적인 문화에 대한 경험이 가지는 자기(문화)의식의 강화와 연관된다. 즉 자기문화에 대한 정체성 강화는 타문화와 다른 자기 문화의 차이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다는 측면에서 자기문화의 정체성 강화는 배타성을 가진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질적인 문화에 대한 경험성은 자기문화(자아)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스스로 부여하고,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弘明集』의 「牟子理惑論」에서 나타나는 도교의 長生(神仙術)과 儀禮에 관한 비판은 도가사상에 대한 불교의 배타적 자기정체성 강화를 대변하는 내용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도교의 사회적 지위에 도전하는 불교의 사회적 지위 확보 과정은 도교의 의식문화를 대체할 수 있는 불교가 가지는 정신문화의 사회적 우위성을 논설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규명하는 도교(도가사상) 養生에 대한 불교의 비판은 현실사회에 토착종교로 기능하는 도교의 사회적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 된다. 동시에 이것은 불교에 의해 이루어진 도가사상에 대한 비판이 타당하게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검토 과정이 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51 | 0.714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