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축소시대 기독교교육의 눈으로 바라본 ‘B급 문화’ 탐색 ‐ 어린이신학과 지역 중심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가능성 = Exploring “B-Class Culture” Through the Lens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ra of Contraction: New Possibilities in Children’s Theology and Locality-Based Christian Education
저자
안정도 (장로회신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5-222(38쪽)
제공처
본 연구는 현대 한국 교회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최근 한국 사회에서 부상하는 ‘B-문화(B-Culture)’ 현상이 제공하는 시사점을 탐구한다. B-문화는 전통적인 A급 문화에 대한 대안적 가치를 제시하며, 자발성, 창의성, 공동체성을 중시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문화적 흐름은 기존의 대형교회 중심 교육 모델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성과 참여성을 강화하는 새로운 기독교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신학(Kindertheologie)의 관점에서 기존의 성인 중심적, 위계적 기독교교육 방식을 재고찰하고, 어린이를 능동적인 신학적 주체로 인정하는 대안적 교육 모델을 탐색한다. 또한 지역 중심적 접근을 통해 중앙집중적 표준화 모델을 넘어서는 상향식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며, 이를 통해 한국 교회 교육이 당면한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B-문화의 개념과 역사적 발전 과정을 고찰하면, 초대교회, 종교개혁, 경건주의 운동, 해방신학 등 신학적 흐름과의 유사성이 드러난다. 또한 어린이신학과 B-문화의 접점을 탐색함으로써, 신앙교육에서 창의성, 자발적 참여, 지역성과 같은 요소들이 강조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B-문화의 원리를 적용한 지역 중심 기독교교육 모델을 제안하며, 소규모 교회와 지역 사회가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신앙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모색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축소 시대를 맞이한 현대 한국 교회가 신앙 교육의 방향성을 전환하고, 지역성과 창의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교육 모델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B-문화가 보여주는 창조적 가능성과 어린이신학의 대안적 접근이 결합될 때, 기독교교육은 보다 포용적이고 실천적인 신앙 공동체 형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다.
더보기This research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the emerging ‘B-Culture’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as part of seeking a new paradigm for modern Korean church education. B-Culture presents alternative values to traditional A-grade culture, emphasizing spontaneity, creativity, and community. This cultural trend offers possibilities for new Christian education models tha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arge church-centered educational structures by strengthening locality and participation.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Theology (Kindertheologie), this study reconsiders traditional adult-centered, hierarchical Christian education methods and explores alternative educational models that recognize children as active theological subjects. Additionally, it investigates bottom-up educational possibilities that transcend centralized standardization models through a locality-centered approach, thereby presenting ways to transform the crisis facing Korean church education into new opportunities. Examining the concept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B-Culture reveals similarities with theological movements such as the early church, the Reformation, Pietism, and liberation theology. By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Children’s Theology and B-Culture,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voluntary participation, and locality in faith education. Furthermore, the research proposes a locality-centered Christian education model applying B-Culture principles, identifying specific ways for small churches and local communities to collaborate in practicing sustainable faith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emphasizes that modern Korean churches, facing an era of decline, need to shift the direction of faith education and introduce new educational models that prioritize locality and creativity. When the creative possibilities demonstrated by B-Culture are combined with the alternative approach of Children’s Theology, Christian education can become a powerful tool for forming more inclusive and practical faith communiti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