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침해 사고가 정보보호 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
저자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9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사이버보안학과 , 2019. 2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The influence of cyber infringement accident on the value of information security companies
형태사항
vi, 96장 : 도표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권헌영
부록: 1. 정보보호기업 4거래일~6거래일 누적평균비정상수익률 데이터, 2. 정보보호기업 7거래일~30거래일 누적평균비정상수익률 데이터, 3. IT대표기업 4거래일 및 5거래일 누적평균비정상수익률 데이터 외
참고문헌: 장 79-82
UCI식별코드
I804:11009-000000082666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우리나라는 ICT 기술의 발달로 빠른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와 정보 공유를 통해 편리한 생활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생활을 윤택하게 해주는 ICT 기술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정보시스템 마비, 사이버 공격, 정보 유출 등 여러 건의 다양한 사이버침해 사고가 있었다. 이러한 사이버 공격에 대해 최근에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사고 대상기업의 재무적 가치 하락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선행되었다.
사이버 침해 사고 발생 시 기업의 단기적인 기업가치 하락과 대내외 신뢰도 및 평판도 하락으로 인한 영업환경 악화 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이버 공격에 대해 사전에 예방하고 침해 사고 발생 시 빠른 대응을 위하여 정보보호를 위한 솔루션과 정보보안 서비스를 정보보호 기업으로부터 제공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개인정보 유출에 의한 피해기업 대상이 아닌 실제 사이버공격에 의한 사이버침해 사고 발생 시 반대급부를 얻을 수 있는 정보보호 기업에 대한 가치 변화 여부를 국내 정보보호 기업의 주가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사건연구(Event Study) 방법과 가설 검증을 통해 연구하였다. 사이버침해 사고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 보도된 실제 사이버공격에 의한 침해사고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 정보보호 기업은 주가변화를 통한 기업 가치변화를 확인, 검증할 수 있는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29개 기업으로 선정하여 모집단에 대해 추정하였다. 사건연구방법에서 정보보호 기업의 가치변화 연구는 주가지수와 연동한 시장조정수익률모형을 사용하였고 가설검증은 통계패키지인 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95% 신뢰도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이버침해 사고는 침해사고에 대한 보도일(D일) 기준으로 D-1일에서 D+3일까지의 5거래일까지 정보보호 기업에 대한 누적평균수익률이 주가지수 대비 단기간 증가하였고 그 이후에는 유의미한 차별성이 없었다. 반면에 정보보호 기업과는 다르게 사이버 침해사고에 의한 IT 대표기업의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없었다. 또한 정보보호 기업의 업종과 사이버침해 사고의 피해대상 개수, 현재 또는 과거에 발생한 사이버침해 사고 여부와 관계없이 침해 사고에 대한 보도 공지는 대상 정보보호 기업의 가치에 동일하게 영향을 주었다.
지금까지 사이버침해 사고와 사고대상 기업의 재정적 가치변화에 대한 연구와 개인정보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대한 정보유출 대상기업의 주가 변화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대상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기존의 연구범위를 넓혀 다양한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사이버침해 사고에 대하여 정보보호 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기업 가치를 주가와 비교하기 위해 국내 상장기업으로 한정하여 전체 정보보호 기업에 대해 통계 추정한 한계점이 있으며 상장 정보보호 기업의 주가에 대하여 사이버침해 사고 이외의 다른 호재나 악재를 본 연구에 반영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we are enjoying convenient life through change to information society and sharing information.
However, based on ICT technology that will enrich our live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cyber infringement accidents, including paralysis of information system, cyber attacks, and leakages of informati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uch cyber attacks, those involving a falling financial value of an accident target company for personal information leaks lately.
Protecting short-term company value reduction and worsening business environment due to a decrease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edibility and reputation in the event of a cyber breach, solutions and information security services are provided to prevent cyber attacks and to respond swiftly in case of cyber infringement.
In this study, the case study has been conducted by event-study methodology on domestic information security companies about changes in the company's share price that can be compensated for cyber attacks, not for victim companie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Cyber-infringing accidents were targeted at actual cyber attacks reported online and offline, and estimated the popul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firms value by selecting 29 companies that could identify changes in corporate value through stock price changes.
In the event study method, the value change study of information protection companies used a Market Adjusted Return Model linked to the stock price index, and hypothesis testing was verified with 95% confidence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R program.
As a result, based on the day of reporting on cyber infringement accidents the cumulative average return on information Security companies was increased for a short period 5 days during D-1 to D+3 ,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wards.
On the other hand, unlike information security companies, there was no impact on the company value of IT representative firms by cyber-infringing accidents. In addition, the reporting notice of an infringement accident, regardless of the industry of the information protection firm, the number of victims of cyber-infringement incidents, and whether they were currently or have occurred in the past, has equally affected the value of the target information security firm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limited to changes in the value of victim firms of cyber-infringing accidents and personal information leaks and investigated the impact on information security companies regarding various cyber attack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n this study because it was conducted statistical estimation not all information security companies but selected companies. And regarding information security company stock price, it did not reflect any favorable or adverse factors other than cyber infringement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