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러시아의 특별군사작전과 라트비아의 언어 상황 연구 = A Study on Russia’s Special Military Operation and Latvian Language Situ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1-249(1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라트비아는 1991년 독립 이후 여러 법령과 시행 조치를 통해 러시아어를 점진적으로 축출하려는언어정책을 펴 왔는데,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내 특별군사작전이 이를 더 가속화했다.
소련 합병과 함께 도입되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러시아어는 소련 해체 즈음까지 다 민족국가인 라트비아에서 민족 간 의사소통수단이었을 뿐만 아니라 다수 주민의 모어 역할을 했지만, 독립과 함께 그 지위의 하락과 사용영역의 축소, 배제는 피할 수 없었다. 상대적으로 라트비아어는 유일한국어의 지위를 보장받고 국정 각 영역에서 그 사용영역을 넓히고 있는데, 이와 같은 두 언어 지위의변화와 이와 관련된 사용영역 변화는 여러 법령과 이에 따른 행정, 교육 및 실제 생활 관련 분야에서정부의 강제적인 정책에 의한 것이었고 이에 반발한 러시아인을 중심으로 한 러시아어 사용자들의저항도 2012년 2월 18일 국민투표로 표출되었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이후 러시아어 학교에서까지 교육 언어로서의 러시아어 사용금지와 러시아적 교육 진행에 대한 탄압이 심해졌고, 라트비아에 충성스러운 사람만이 교육자가 되게끔 한것은 남아있는 러시아인들의 정체성을 파괴하는 것이었다. 특히 2022년 2월 말 러시아의 특별군사작전이후 러시아인의 라트비아인으로의 동화, 아니면 동화를 거부하는 러시아인의 추방 조치, 그리고 매스컴에서의 러시아어의 전면적인 사용금지는 라트비아 정부와 라트비아 민족 출신이 보기에는 당연하지만, 러시아연방과 러시아인에게는 민족 정체성의 상실로 이의 보전은 이들의 최우선 과제이다. 특히 러시아어 사용자들이 다수를 이루는 러시아와의 접경지역에서는 러시아어의 지위 부여 여부도 계속해서 문제가 될 것이고 이는 러시아의 라트비아, 더 나아가 발트지역의 개입 구실이 될 수는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language policy since Latvia’s independence in 1991 has been researched by various laws and enforcement measures, and stronger anti-Russian, Russian, and Russian expulsion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due to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in 2014 and Russia’s special military operation in Ukraine in February 2022.
The status of the Russian language, which had been introduced and grown since 1940, was not only a means of inter-ethnic communication in multiethnic Latvia until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but it was also found that the decline in its status, the reduction of its use, and the exclusion of its use were inevitable along with independence. Latvian language is expanding its scope of use in various areas of state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real life. On February 18, 2012, a referendum demonstrated the resistance of Russian speakers, mainly Russians, to this end, and the only language status is guaranteed.
Since 2014, the ban on the use of Russian as an educational language and the crackdown on Russian education have intensified, and only those loyal to Latvia have become educators. The removal of Russians who assimilate or reject Russians as Latvians after the 2022 Special Military Operation in Ukraine, and the ban on the use of Russian in the media are understandable measures for Latvia, but for the Russian Federation and Russians, protection of overseas Russian diaspora and maintaining the functioning of Russian as an inter-ethnic communication language will be the top priority. The status of Russian will continue to be a problem in the border with Russia, where there are many Russian speakers, and this could serve as an excuse for Russia’s intervention in Latvia and further the Baltic reg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