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코메디아 델라르테 연구 - 유형 , 배우 , 무대형태를 중심으로 = Etude sur La Commedia dell`arte - Aperqus sur les types , les acteurs , la forme sceniqu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07-243(37쪽)
제공처
소장기관
La raison d`e^tre de cette e´tude est d`informer une forme de the´a^tre qui a ope´re´ une conside´rable influence dans l`histoire de l`art the´a^tral europe´en : la Commedia dell`arte. Cette come´die improvise´e, art si foncie´rement italien, avait passionne´ pendant pre´s de trois sie´cle les beaux esprits et les grands seigneurs de presque toute l`Europe. Mais ce the´a^tre, fre´quente´ surtout par le peuple, porte un caracte´re de´mocratique et se rapproche par son style de la place publique. On ne songs pas au grand style, mais on s`attache a` plaire au public, a` attirer et a` faire de bonnes recettes. La Commedia dell`arte accordait une grande liberte´ a` l`acteur et ouvrait un vaste champ a` son activite´. Ce the´a^tre ne risquait pas de se figer, mais il pouvait aise´ment perdre le sens de la mesure. Mail il re´gnait dans ce the´a^tre une certaine unite´ de style qui l`a pre´serve´ longtemps de la de´cadence. Notre propos est de de´gager les e´le´ments les plus caracte´ristiques qui peuvent servir a` de´finir la commedia dell`arte. Nous en arrivons a` re´sumer comme suite ses me´thodes de travail : cre´ation collective, personnages fixes, large place laisse´e a` l`invention du come´dien (improvisation), intime contact avec la salle, emploi du demi-masque, geste stylise´. On serait facilement enclin, a` partir de ces e´tudes, a` affirmer que l`Italie de la Renaissance a invente´ un syste´me du the´a^tre extre^mement curieux a` peu pre´s inde´pendant de la litte´rature et e´troitement lie´ a` l`art de l`acteur. La Commedia dell`arte, au cours du XXe´me sie´cle, soutenue par des metteurs en sce´nes tels que Gordon Craig, Meyerhold, Jacques Copeau et Arianne Mnouchkine, jouit l`esprit des contemporains. Ce fait tre´s significatif noes fait comprendre combien il est ne´cessaire de l`envisager en me^me temps comme une tradition toujours vivante et agissante, comme une force dont la valeur persist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