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글로벌 문화유산으로서의 20세기 한・일 대중음악 ― 트로트, 엔카, 그리고 가요 = Trot and Enka as Global Cultural Heritage: Reinterpreting 20th-Century Korean and Japanese Popular Music through the Concept of “kayo”
저자
박진수 (가천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22(1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20세기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전통 대중가요인 트로트와 엔카는 흔히 각국 고유의 음악 장르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양 장르는 1920~30년대 제국 일본의 문화산업 체계 안에서 형성되었고, 감정 표현 양식, 음악 형식, 유통 방식 등 여러 면에서 공통점을 가진 ʻ쌍생적 장르(twin genres)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트로트와 엔카의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배경을 고찰하고, 해방 이후 양국의 정치・사회적 맥락 속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표상되고 분리된 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ʻ장르ʼ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역사적 담론 속에서 구성되고 재정의된다는 이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양 장르의 공통성과 차별성이 형성된 과정을 추적한다.
이를 통해 트로트와 엔카를 단순히 각국의 ʻ전통가요ʼ로 규정하는 이분법적 시각을 넘어, ʻ가요(歌謠)ʼ라는 포괄적 개념으로 비교문화론적 접근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한일 대중음악을 동아시아 근대사의 산물로 재위치시키며, 이들의 문화유산적 가치를 재평가하고자 한다.
Trot and enka, widely regarded as traditional popular music genres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are often viewed as culturally and nationally distinct.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two genres share a common origin as “twin genres” that emerged within the same cultural-industrial system of imperial Japan during the late 1920s to 1930s. They evolved in parallel, sharing emotional modalities, musical formats, and distribution channels.
By exploring their historical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cultural production and political contexts in East Asia. After 1945, the two genres underwent divergent processes of national represent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reflecting each countryʼs media policies and identity politics. This paper adopts a discursive and comparative framework, viewing genre not as a fixed category but as a fluid construct shaped by historical and social conditions.
Based on this perspective, it proposes the term “kayō (歌謠)” as a shared analytical category to examine the mutual influences and differences between trot and enka. In doing so, the study challenges the conventional bifurcation that defines them solely through national boundaries. Reframing these musical forms as part of a shared East Asian cultural history, the paper contributes to a more inclusive understanding of their legacy as global cultural heritag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