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설학(雪壑) 이대기(李大期)의 유배기 한시 연구 = A Study on the Exile Poetry by Seolhak, Lee Dae-g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116(34쪽)
제공처
본고는 광해군조 남명학파가 극심한 분열과 갈등을 겪던 시기에 중북(中北)으로 활동하다가 유배되었던 설학(雪壑) 이대기(李大期, 1551-1628)의 유배기 한시 13제(題) 15수(首)를 상세히 고찰하였다. 설학은 황강(黃江) 이희안(李希顔, 1504-1559)·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수우당(守愚堂) 최영경(崔永慶, 1529-1590)의 문인으로, 남명학의 요체인 경의(敬義)로 대변되는 삶을 살았다. 그는 계축옥사(癸丑獄事)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이 죽임을 당하여 폐정(弊政)이 본격화되는 기미가 발동하자 관직에서 물러났고, 동계(桐溪) 정온(鄭蘊, 1569-1641)·역양(嶧陽) 문경호(文景虎, 1556-1619) 등과 함께 대북(大北)에서 이탈하여 정치적 입장을 같이하다가 70세인 1620년 2월 황해도 백령도(白翎島)에 유배되었다.
설학의 시는 『설학집(雪壑集)』에 자작시 27제 31수가 전한다. 이 가운데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13제 15수가 유배기에 지어졌고, 그밖에 만시(挽詩) 10제 12수와 기타 4제 4수가 더 있을 뿐이다. 설학은 유배지에서 4제 5수를 짓고 시와 함께 「백령도지(白翎島誌)」·「허와기(虛窩記)」·「무회옹자서(無懷翁自序)」·「신해생갑회지도(辛亥生甲會之圖)」 등을 남겼으며, 거제도로 이배(移配)되어 가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해배(解配)되어 고향으로 돌아온 객로에서 9제 10수를 짓고 일기 「남행록(南行錄)」을 남겼다. 이 때문에 유배기에 지어진 시는 창작된 연월과 날짜·장소까지도 명확히 파악이 가능하고, 또한 유기적으로 생생한 복원과 분석이 가능하다.
유배지에서 지은 시에는 곤액(困厄)에 처했지만 근심걱정하거나 불평하거나 한탄하지 않고, 존망·안위를 이치로 미루어 헤아림으로서 마음을 비우고 현실을 달가워하며 지냈던 도학자의 풍모가 잘 드러나 있다. 그리고 객로에서 지은 시에는 이배되면서 지나쳐온 장소, 꿈속에서의 정경, 곤궁하고 핍박당했던 상황, 날씨, 풍경, 해배되어 귀향할 때의 정서 등이 잘 드러나 있다. 설학은 경의로 서로 전해온 남명학의 정통을 계승한 신비로서, 그의 유배기 한시에는 평생 심신을 수양하고 의롭게 처신했던 남명학파 선비의 정신과 사상이 완연하게 배어 있다.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the exile poerty with 13 poems 15 verses written by Seolhak, Lee Dae-gi (1551-1628), who was exiled amidst the intense division and conflict within the Kwanghaegun regin’s Nammyeong School because of his active as Jungbuk. Seolhak was a litarati associated with the Hwanggang Ri He-an (1504-1559), Nammyeong Cho Sik (1501-1572), and Suudang Choi Yeong-gyeong (1529-1590). He exemplified the essence of Nammyeong school’s spirit, which emphasized integrity and righteousness in life.
He withdrew from his official duties when signs of the the decline of the reign became apparent after the assassination of Prince Yeongchang because of Gye-chuk oksa. Alongside Donggye Jeong On (1569-1641) and Yeokyang Moon Gyeong-ho (1556-1619), he seperated from Daebuk, sharing the same political stance. At the age of seventy, he was exiled to Baekryeong Island in the Yellow Sea in February 1620.
Seolhak’s poetry is presented in Seolhak Collection, consisting of 27 poems and 31 verses. Among them, 13 poems and 15 verses, were composed during his exile, with the remaining Mansi 10 poems and 12 verses along with additional 4 poems and 4 verses. During his exile, Seolhak composed 4 poems and 5 verses, leaving behind works such as 'Baekryeongdoji', 'Heowagi', 'Muhoeongjaseo', and 'Sinhae-saenggab-hoejido'. Later, after being shipwrecked while being deported to Geojedo, he returned to his hometown due to the King Injo Restoration and composed 9 poems and 10 verses, leaving behind his diary 'Namhaengrok'. Consequently, the poems composed during his exile allow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reation date, month, and location, enabling organic restoration and analysis.
In the poems composed during his exile, Seolhak’s characteristics as a Neo-Confucian scholar are well manifested, as he faced adversity without expressing worry, complaints, or regrets, but rather, by emptying his mind and finding solace in the present moment, considering life and death and safety and danger as matters of principle. Moreover, the poems composed during his return to his hometown vividly depict the places he passed during his exile, the scenary from his dreams, the dire and persecuted situations he endured, the weather, scenery, and the emotions he felt upon returning home after being shipwrecked. Seolhak, as a successor of the genuine spirit of the Nammyeong School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embodies the profound thoughts and ideals of the Nammyeong scholars who dedicated their lives to nurturing their minds and upholding righteousness. These elements are deeply ingrained in his exile poetr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