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선사상 교재의 구성 목차와 수록 내용 = Table of Contents and Contents of Textbooks of Seon Thought
저자
김진무 (원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65-290(2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This thesis sought the direction of compilation textbooks for university education on Chinese Seon thought formed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It is often said that the end point of Chinese Buddhism is Patriarchal Meditation. This is because Chinese Confucianism and Taoism were perfectly fused in the Patriarchal Meditation. Therefore in understanding Chinese Seon, it is necessary to have an ideological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Buddhism being introduced and forming Patriarchal Medit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I presented the following seven directions for the direction of textbook compilation on the Chinese Seon, and based on this, I presented the overall table of contents of textbook compilation.
First, it is an understanding of Seon Arithmetic, the mainstream of early Chinese Buddhism. Second, an understanding of early Chinese Banya Studies should be prec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ideological differentiation from the Dharma Seon and the Dongsan Dharma Talk. Fourth, it is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of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and the development of the five families from the southern school of Seon. Fifth, Mukjoseon and Ganhwaseon appear as a reflection on the Literary Seon in Song Dynasty and develops to unity of Seon and Pureland thought. Sixth, the flow of Seon thought after the Ming dynasty should be considered. Seventh, the modern ‘Life Seon’ should be discussed from the modern ‘Human Buddhism’.
본 논문에서는 불교가 중국에 전래되면서 형성된 중국선사상에 대한 대학 교육용 교재 편찬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흔히 중국불교의귀숙(歸宿)은 조사선(祖師禪)이라고 말하는데, 조사선의 성립에는 중국 본토의 유·도 양가 사상과 완벽하게 융합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선의 이해에 있어서는 불교의 전래로부터 조사선의 형성과정에 대한 사상사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입장에서필자는 중국선의 교재편찬의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입각하여 전체적인 교재 편찬의 목차를제시하였다.
첫째, 초기 중국불교의 주류인 선수학(禪數學)에 대한 이해이다. 둘째, 초기 중국 반야학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달마선, 동산법문으로부터의 사상적 분화를 논해야 할 것이다. 넷째, 육조 단경의 출현과 남종선의 분화로부터 오가(五家)의 전개과정이다.
다섯째, 송대의 문자선(文字禪)과 그에 대한 반성으로 출현한 묵조선(黙照禪)과 간화선(看話禪)의 출현, 그리고 선정일치(禪淨一致)에 대한전개과정이다. 여섯째, 명대(明代) 이후의 선사상의 흐름을 고찰해야 한다. 일곱째, 근대의 ‘인간불교’로부터 현대의 ‘생활선(生活禪)’을논해야 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