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충렬왕대 文散階의 복원과 운영 = The Restoration and Operation of the Mun’san-gye(文散階) rank system during Chung’ryeol-wang’ reign – Focusing on the Dae’bu-gye(大夫階) sec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3-263(31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본고는 현존하는 고려시대 묘지명을 토대로 충렬왕 원년 및 7년의 문산계, 그 중에서도 11등급의 대부계를 복원하고 그 운영방식을 고찰한 것이다.
충렬왕 원년, 원에 의해 관제가 격하되는 가운데, 문산계도 개정되었다. 그리하여 금자광록대부는 광정대부, 은청광록대부는 봉익대부, 광록대부는 중의대부로 바뀌었고, 대중대부 이하 중대부, 중산대부, 조의대부, 조청대부, 조산대부는 문종 30년의 문산계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한편 충렬왕 6년 2차 일본 정벌과 관련하여, 원에서는 고려의 관료들에게 원의 관직을 하사하고 일본 정벌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당시 고려의 문산계는 원의 문산계와 그 명칭이 같은 것이 많았었다. 고려의 관료이면서 원으로부터 관직을 받게 됨에 따라, 양자간의 충돌, 즉 위계질서 상의 문제가 생길 여지가 있었다. 그리하여 충렬왕 7년, 다시 문산계를 개정하였다. 그 결과 대부계는 광정 · 봉익 · 정헌 · 정승 · 조의 · 영렬 · 중렬 · 조봉 · 조현 · 조청 · 조산대부로 변화되었다.
충렬왕대에는 두 차례에 걸쳐 문산계가 변화되었다. 충렬왕대 문산계는 그 명칭이 고려전기와 많이 달라졌다. 그렇지만, 충렬왕대 문산계는 문산계와 관직의 품계가 일치하지 않고, 11등급의 대부계를 차례차례 모두 받지 못하고, 같은 관직이라도 서로 다른 문산계를 받는 등 그 운영 방식은 고려전기와 같았다.
This article attempts to restore the Mun’san-gye rank system in the first and seventh year of Chung’ryeol-wang’s reign, and among them, the Dae’bu-gye section of eleven ranks, on the basis of in-grave epitaphs from the Goryeo dynasty.
In the first year of Chung’ryeol-wang’s reign, the Mun’san-gye rank system was revised in midst of the demotion of the political system by Yuan. Therefore, Geumja-gwang-rok-daebu(金紫光祿大夫) was changed into Gwangjeong-daebu(匡靖大夫), Eun-cheong-gwang-rok-daebu(銀靑光祿大夫) was into Bongik-daebu, and Gwang-rok-daebu(光祿大夫) into Jung-ui-daebu(中義大夫). Below Daejung-daebu(大中大夫), Jungdaebu(中大夫), Jungsan-daebu(中散大夫), Joui-deabu(朝議大夫), Jocheong-daebu(朝請大夫), and Josan-Daebu(中散大夫) used the same Mun’san-gye rank system from the thirtieth year of the reign of Munjong.
Meanwhile, in relation to the second conquest of Japan in the sixth year of Chungryeol-wang’s reign, Yuan awarded the public offices of the dynasty to the governmental officials in Goryeo and made them join the conquest. At that time, the Mun’san gye rank system in Goryeo had many same titles with the Mun’san-gye rank system in the Yuan dynasty. As they received the public offices of Yuan as Goryeo officials, there might be mutual conflicts, such as clashes between the two hierarchies. Therefore, in the seventh year of Chung’ryeol-wang’s reign, the Mun’san-gye rank system was revised again. As a result, the Dae’bu-gye class was changed into Gwangjeong · Bongik · Jeonghun(正憲) · Jeongseung(正承) · Joui · Yeongryoel(榮烈) · Jungryeol(中烈) · Jobong(朝奉) · Johyeon(朝顯) · Jocheong and Josan-dae’bu.
There were two revisions in the Mun’san-gye rank system during the reign of Chung’ryeol-wang. The titles in the Mun’san-gye system during Chung’ryeol-wang’s reign were much changed from the early Goryeo dynasty. However, its operation ways were same as the early Goryeo dynasty in the following ways: the ranks of the offices in the Mun’san-gye rank system were not identical with the Mun’san-gye rank system, the Dae’bu-gye class of 11 ranks was not received sequentially by all, and same offices received separate Mun’san-gye rank system.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6-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5 | 0.65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69 | 1.438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