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장애인건강권법 제15조 ‘재활운동 및 체육’의 정의와 시행방안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the definition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e implementation plan on Article 15 of the Disabled Health Rights Act
저자
박지영 ( Jiyoung Park ) ; 강동헌 ( Dongheon Kang ) ; 은선덕 ( Seon-deok Eun ) 연구자관계분석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692.379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7-173(17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운동 및 체육’의 원활하고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국내·외에서 실시되는 장애인의 체육활동을 살펴보고, '재활운동 및 체육'의 정의와 서비스 시행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와 「장애인복지법」,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 등에 명시된 장애인의 체육활동에 대한 용어를 확인하여 본 결과 재활치료, 재활운동, 운동재활, 재활체육, 재활운동 및 체육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장애인의 체육활동에 대한 용어가 주로 사용된 국내 학술지 분야를 확인하여 본 결과 재활치료는 의약학 분야 46.88%, 공학 22.22%, 사회과학 13.55% 등의 비율 순으로 의약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재활운동은 예술체육학 47.55%, 공학 26.96%, 의약학 14.46% 등으로 재활체육은 예술체육학 80.97%, 사회과학 12.08%, 공학 3.69% 등으로 체육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2018년 6월 10일 삭제된「장애인복지법」제29조 제2항의 ‘재활체육’과 2017년 12월 30일 시행된「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재활운동 및 체육’은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으나 용어의 통일이 되지 않아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는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활성화의 저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재활운동 및 체육'의 정의에 대하여 살펴보고, '재활운동 및 체육'의 원활한 서비스 시행을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vious studies on physical activities for the disabled to provide a smooth and systematic service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en discuss the definition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and necessary matters for service implementa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terms of physical activity for the disabled as specified in the preceding research and the 「Act on Disabled Welfare」 and 「Act on Guarantee of Right to Health and Access to Health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tc., rehabilitation treatment, rehabilitation exercise, exercise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physical education,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etc., it was used in various ways. Besides, it has identified the fields in which the terminology for physical activity of the disabled is used in domestic journals. In the case of rehabilitation treatment, 46.88% in medicine, 22.22% in engineering, 13.55% in social science were mainly used in the medical science field, and in the case of rehabilitation exercise, art and physical education 47.55%, engineering 26.96%, medicine 14.46%, etc., rehabilitation In the case of physical education, 80.97%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12.08% of social sciences, and 3.69% of engineering were confirmed to be mainly used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In particular, 'rehabilitation sports' in Article 29 (2) of the 「Disabled Persons Welfare Act」 deleted on June 10, 2018, and 'rehabilitation exercises and physical education' specified in the 「Act on Guarantee of Health Rights and Medical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used in the same meaning. However, the terms are not unified, which intensifies confusion. This can act as a deteriorating factor in activat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specified in the 「Act on Guarantee of Right to Health and Access to Health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ed matters necessary for smooth service implementation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
2022-02-0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8 | 1.31 | 1.18 | 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