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국사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국사교과서 서술의 특징 = Changes in the Korean History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s of Textbook Descriptions
저자
조성운 (상명대학교 동북아역사문화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7-92(46쪽)
제공처
본고는 대한민국 국사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러일전쟁을 중심으로 한 교과서 서술의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반공주의 교육과정에서는 미군정 이래 반공주의가 국사과 교육과정에 일관적으로 적용되었으며, 특히 한국전쟁 이후에는 국토 방위와 국제집단안전보장을 강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북한 괴뢰군과 중공군’이 반공의 구체적 대상이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반공방일교육요항」으로 대표되는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한국전쟁 이후 일본이 공산권과의 교류를 확대하자 이 일본의 외교정책을 ‘용공정책’이라 규정하면서 ‘반공방일’을 강조하였다. 이는 5⋅16군사정변 이후 군사정권이 들어서며 철폐되었다.
민족주의 교육과정은 반공주의와 함게 국사과 교육과정의 핵심적인 가치였다. 특히 일제의 지배로부터 해방되어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발전 과정에서 국민을 동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63년 제2차 교육과정 이후 제3차 교육과정에 이르는 시기는 민족사관의 확립과 근대화를 강하게 내걸었으나 박정희 정권의 빈약한 정통성을 극복하는데 이용되었다는 측면이 강하였다. 제4차 교육과정 이후에도 민족사관은 지속적으로 강조하였고, 역사적 사고력 함양도 새로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국사과 교육과정은 국사교과서의 서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것은 제3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까지는 러일전쟁의 원인을 러시아의 침략에 일본이 대응한 식으로 서술하였으나 제4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부터는 러시아와 일본 양국의 제국주의적 침략 과정에서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여 한반도를 식민지화하였다는 서술로 변화하였다. 이는 제3차 교육과정기까지의 국사교과서의 러일전쟁 서술이 조선총독부가 펴낸 초등국사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결국 해방 이후 제6차 교육과정까지 한국의 교육과정은 반공주의와 민족주의를 강조하였다. 이는 국사교과서의 서술에 그대로 영향을 미쳤으며, 러일전쟁의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the Korean history department curriculu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xtbook descriptions focusing on the Russo-Japanese War. In the anti-communism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anti-communism has been consistently applied to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History Department since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and that homeland defense and international collective security were especially emphasized after the Korean Wa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North Korean puppet army and the Chinese army’ were the specific targets of anti-communism. In the first curriculum period, represented by 「Anti-communist and anti-Japanese education essentials」, as Japan expanded exchanges with communist countries after the Korean War, Japan’s foreign policy was defined as ‘communist policy’ and ‘anti-communist and anti-Japanese’ was emphasized. This was abolished when the military regime came into power after the May 16 Military Coup.
The nationalist curriculum, along with anti-communism, was a core value of the National History Department curriculum. In particular,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obilizing the peopl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developing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he period from the 2nd curriculum in 1963 to the 3rd curriculum strongly advocated the establishment and modernization of the national view of history, but there was a strong aspect that it was used to overcome the poor legitimacy of the Park Chung-hee regime. Even after the 4th curriculum, the national view of history continued to be emphasized, and the cultivation of historical thinking skills also began to be newly emphasized.
This national history curriculum had a direct impact on the descriptions of national history textbooks. Wha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was that until the 3rd curriculum period, the cause of the Russo-Japanese War was described as Japan's response to Russia's invasion, but from the 4th curriculum period, the cause of the Russo-Japanese War was described as an imperialistic invasion by both Russia and Japan. In the process, it changed into a narrative that Japan won the Russo-Japanese War and colonized the Korean Peninsula. This can be said to show that the description of the Russo-Japanese War in national history textbooks up to the 3rd curriculum period did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Elementary National History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