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후기 西岳書院의 건립과 '西岳志' 편찬의 의미 = The Founding of Seoakseowon and the Intellectual Significance of the Compilation of Seoakji(西岳志) in Late Joseon Korea
저자
임근실 (단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5-164(30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은 16세기에서 17세기까지 경주 西岳書院의 건립과 '西岳志'의 편찬이 가지는 의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16세기에서 17세기까지 경주지역 지식인의 고민과 사유의 일면을 살펴보고, 그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16세기 중엽에 조선의 지식인은 性理學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였다. 성리학의 연구를 위해 조선의 지식인들은 다량의 宋・明의 性理書를 학습하고, 조선에서 刊行하였다. 그리고 조선의 지식인들은 성리학적 이상 세계를 가시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書院을 설립하였다. 그 과정에서 조선의 도학적 계보인 道統論도 정비되었다. 서원에서는 祭享하는 인물에 대한 성격을 규정하였으며, 도학의 계보를 정립하였다.
16세기 경주지역에서는 武德을 지닌 金庾信을 제향하는 서원의 건립이 추진되었다. 경주부윤 李楨은 김유신을 제향할 사우를 건립하고, 인근에 강학 공간인 精舍를 건립하였다. 이후 서악정사는 유학자인 薛聰과 崔致遠을 함께 제향하며 무덕자인 김유신의 색채를 줄이고자 하였다.
17세기 경주지역에서는 서악정사를 중건하고, ‘서원’으로 賜額을 추진하면서 그 과정을 수록한 서악지를 편찬하였다. 張顯光의 문인인 鄭克後는 임진왜란으로 불탄 서악정사를 중건하였고, ‘서원’으로 사액을 받았다. 이때 서원의 제반 사항과 제향인물의 言行과 행적을 모은 서적을 편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송·명대 성리학자의 言行錄을 모방하여 서원지인 서악지를 편찬하였다.
서악서원은 16세기 退溪學派에 의해 무덕자를 제향하는 정사로 건립되었다. 그리고 17세기 旅軒學派에 의해 중건되면서 서원으로 사액을 받았고, 서원지를 편찬하여 그 전말을 수록하였다. 이처럼 서악서원은 건립을 추진한 인물과 제향인물, 중건 및 사액, 서원지의 편찬을 추진한 인물들이 모두 역사적·사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ruction of Seoakseowon(西岳書院) in Gyeongju(慶州) and the compilation of Seoakji(西岳志) from the 16th to 17th centuries. And from the 16th to 17th centuries, it was intended to examine one aspect of the concerns and thoughts of intellectuals in Gyeongju and to grasp its historical meaning.
In the mid-16th century, Joseon intellectuals intensified their research on Neo-Confucianism. For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Joseon intellectuals studied a large number of Song(宋) and Ming(明)'s Neo-Confucian books and published them in. In addition, Joseon intellectuals established a seowon to visually realize the ideal world of Neo-Confucianism. In the process, the theory of Taotong(道統論), a moral genealogy of Joseon, was also reorganized. Seowon defines the character of the person who holds a memorial service and establishes the genealogy of Taotong.
In the 16th century, the construction of a seowon honoring Kim Yu-shin(金庾信), who was a virtue of martial(武德), was promoted in the Gyeongju area. Lee Jeong(李楨) a local government official in Gyeongju, built Myowoo(廟宇) to honor Kim Yu-shin, and Jeongsa(精舍), a lecture space, was built nearby. Since then, Seoakjeongsa has held a memorial service for Seolchong(薛聰) and Choi Chi-won(崔致遠), both Confucian scholars, reducing the color of Kim Yu-shin, a virtue of martial.
In the 17th century, Seoakjeongsa Temple was reconstructed in the Gyeongju area, and it was recognized by the state as 'Seowon', and a Seoakji was compiled containing the process. Jang Hyeon-gwang(張顯光)'s disciple, Jeong geuk-hu(鄭克後), reconstructed Seoakjeongsa, which was burned down in the Imjin War, and received national recognition as a 'Seowon'. At this time, it was intended to compile a book that collected all the matters of the seowon and the words and deeds of the characters. In addition, Seoakji, a seowonji, was compiled by imitating the Eonhaengroklike(`言行錄`類) Books of Song and Myung's Neo-Confucian scholars.
Seoakseowon was built in the 16th century by Toegye School as an Jeongsa for the ritual of virtue of martial. In the 17th century, when it was reconstructed by the Yeoheon School, it was recognized by the state as a seowon, and the seowonji was compiled and recorded in its entirety. As such, the people and people who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Seoakseowon, the process of rebuilding and obtaining state approval, and the people who promoted the compilation of books all have historical and ideological meaning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