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중록』과 『가게로닛키(蜻蛉日記)』의 패러디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21-457(3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고에서는 일기문학들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근거로, 2장에서 헤이안조(平安朝)와 조선조의 일기문학 속에 나타난 반복과 변형의 패러디의 특징을 고찰하고, 3장에서 『가게로닛키』와 『한중록』의 작품 속에 나타난 패러디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여 일기문학의 한 특징을 파악해 보고자 했다. 『가게로닛키』하권의 양녀 맞이 기사의 모노가타리적 요소는 당연히 불필요한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권의 모노가타리적 성격은, 작자가 이 작품을 단순한 체험의 기록으로 쓰지 않고 의도적으로 넣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일종의 모노가타리, 즉 읽을거리로 양녀 맞이 기사를 삽입하여, 양녀뿐만 아니라 예상 독자들로부터도 흥미와 관심을 끌기 위한 전략이었을 것이다. 『도사닛키(土佐日記)』가 이를 증명하며, 작자는 자신의 경험과 처지를 일기화 하여, 모노가타리처럼 구성한 텍스트들이 ‘옛 모노가타리 (古物語)’와도 필적하는 재미있는 읽을거리로서 존재할 수 있음을 당시의 독자들에게 보여준 것이다. 『한중록』에서 임오화변을 회상하는 헤경궁은 기1에서 서술하지 않았던 비극의 정황 을 4편에서는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임오화변의 진위를 객관적으로 서술하 기보다도, 제3자들의 대화체를 도입하여 비극적인 여주인공으로 자신을 등장시키고 있 다. 고소설에 필적하는 흥미로운 읽을거리의 존재감을 당시의 독자들에게 내보이려는 ‘세초하지 않을 마누라의 수적’이며, 이는 중독된 패러디에 의한 것이다. 『한중록』과 『가게로닛키』의 서발문에서 보인 글쓰기 의식과 자아성찰의 생산적인 패러디는 새로운 일기문학을 제시함으로써, 진정한 패러디의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패러디를 통해 얻은 순간적 욕망이 창조적 힘으로 상승되지 못하고, 더 강한 패러디를 쫓다 보면 중독된 패러디가 되어 환상으로 변질되게 마련이다. 하권 양녀 맞이 와 기4의 임오화변의 서술은 패러디의 중독이며, ‘진귀함(めづらしきさま)’과 ‘마누라 수적의 미사(美事)’를 추구한 끝에 온 패러디의 패러디이다. 삶의 반복강박이 불러온 과도한 집착과 욕망이 일기문학의 한계이다.
더보기This paper is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between diary literature. In Chapter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ody of repetition and transformation that appeared in the diary literature of Heianjo and Joseonjo were examined. In Chapter 3, I tried to identify a characteristic of diary literature by tracking the process of parody changes in the works of Kageronikki and Hanjungrok. The description of accepting adopted daughters at Part 3 of “Kageronikki” is certainly unnecessary. Nevertheless, the novel nature of Part 3 can be said to have been deliberately inserted by the author without writing this work as a record of experience. This would have been a strategy to attract interest and attention not only from the adopted daughter but also from expected readers by inserting a narrative that accepts the adopted daughter as a reading. Needless to say,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ry history of Kageronikki is the achievement of self-help literature, but it can be inferred that it was a form following the trend of autobiographical works, a new trend at the time. Tosanikki proved this, and the author wrote a diary of his experience and situation, and showed readers at the time that texts composed like Monogatari could exist as interesting reading materials comparable to the old Monogatari. The author, who recalls ImoHwabyeon in Hanjungrok, specifically records the situation of the tragedy that was not described in Part 1. However, rather than logically describing the core of the event, the author introduces a dialogue of third parties to make himself appear as a tragic heroine. Hanjungrok’s Part 4 is more of an autobiographical novel written with awareness of the reader than an essay, because the intention of a consistent author who is conscious of the reader is behind the realistic record. Hanjungrok is a work that attempts to show readers the presence of interesting reading materials comparable to old novels, and this is due to an addictive parody. We have no choice but to accept it as another charm of Hanjungrok, a work that was predicted to be ‘a beautiful thing (美事)’. The productive parody of writing consciousness and self-reflection at the preface and end of Hanjungrok and Kageronikki can be said to have served as a true parody by presenting new diary literature. The true parody of the two writers was to awaken the reality of the time and their lives through criticism of the male Chinese diary and old novels. However, if the author does not raise the momentary desire gained through the parody to creative power, and if he pursues a stronger parody, the diary literature will become an addicted parody and turn into an illusion. The description of welcoming the adopted daughter in Part 3 and the description of imohwabyeon in Part 4 are parody addiction, parody that came after pursuing ‘uniqueness (めづらしきさま)’ and ‘a beautiful thing (美事)’. The limitations of diary literature are caused by the excessive obsession and desire brought about by repetition compulsion (Wiederholungszwang) in lif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42 | 0.641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